Powered By Blogger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대인(大人)을 향하여 / 포트래취


캐나다의 밴쿠버섬에 있는 크와키우틀족의 추장들은 자기의 부하들이나 이웃 부락의 추장들로부터 존경받는 것을 넘어서 추장으로서의 자격과 합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포트래취라는 잔치를 연다. 이 잔치를 여는 추장들은 손님들에게 선물할 물건들을 크게 쌓아놓고 자랑한다. 손님으로 방문한 다른 추장들은 자신의 포트래취에서는 더 많은 선물을 쌓아놓고 자랑하고 분배할 것을 결심하며 복수를 꿈꾼다. 그리고 초청한 추장의 선물이 별 볼일 없다고 냉정하게 비웃는다. 서로 그렇게 복수혈전을 벌이다가 어느 추장은 "나 말고 이렇게 여러분들을 따뜻하게 해 줄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라는 혼언장담을 하면서 자기 집의 천장에 기름을 뿌리고 불을 붙여 포트래취의 제물로 바치기도 한다.

대인이 되기위한 추장들의 노력은 경쟁적인 측면도 있지만 '재산의 이동'이란 역할도 한다. 생산력이 낮은 부족의 추장은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서 포트래취를 연 추장을 위대하다고 치켜 세우기만 하면 된다.   

-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중 발췌요약 -

미국의 사회비평가인 반스 팩커드(Vance Packard)는 미국이라는 나라는 위신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자들로 이루어진 국가라고 말한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경쟁이 사회동력으로 작용하는 곳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열망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닌듯 하다. 크와키우틀족 같은 미개한 문명의 본능적인 분배방식과 인간의 위신에 대한 열망이 선진문화와 자유라는 포장으로 미국과 같은 발전된 사회에서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논외로 한다면 그 결과나 사회감정의 측면에서 보면은 그다지 나쁠것이 없기 때문이다.사람들을 사회에 공헌하는 인물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미국은 기회의 나라이며 그 기회를 이용하여 능력을 발휘할 자유가 주어져 있고,그만한 사회적 댓가를 받는다는 사실은 정당성에 의문을 품을 이유는 없는듯 하다.

문제는 마빈해리스도 지적하고 있지만 이런 위신에 대한 열망을 호혜적인 댓가를 치루지 않고, 세습적 제왕의 지위나 고귀한 신권을 움켜쥔 지배자들이 포트래취가 아닌 군대의 힘으로 도전자들을 굴복시켜서 위신을 얻어내는 경우가 있는듯 하다. 조금 완화된  형태로는 이런 위신을 얻어내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일탈의 방법을 사용하는 사회도 있는듯 하다.

가끔 그런 생각이 든다. 만약 그런 위신을 인정하지 않는 평등한 관점이 지배하는 사회라면 '대인'이 되고자 하는 열망은 어떻게 표현될까 하는 의문이 든다. 댓가를 바라지 않는 단순한 시혜성(施惠性)을 지닌 대인이 등장하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터론토 대학교의 리처드 리(Richard Lee)교수는 항상 사냥감이 변변치 못한 칼라하리 사막의 부시맨족을 관찰하면서 거대한 숫소를 사다 주었는데, 부시맨족의 태도는 냉정했다. 하지만 충분히 게걸스럽게 먹었는데, 리 교수가 이런 점에 의문을 품자 부시멘이 대답했다. "좋소, 물론 우리는 이 숫소가 굉장히 좋은 고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소. 그러나 한 젊은이가 많은 사냥감을 잡게 될 때에 자신을 마치 대인이나 추장같이 여기게 되죠. 그리고 우리 나머지 사람들을 마치 자기의 종인 것처럼 생각하거나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죠. 우리는 이 점을 인정할 수 없는 것이요. " 그는 말을 이었다. "우리는 자랑하고 다니는 놈들을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그의 자만심이 언젠가 그로 하여금 누군가를 죽이게 하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항상 그가 잡아온 고기가 별 쓸모없다고 해주지요. 그래야만 그의 심장은 식게 되고, 겸손해지게 되지요.

-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중 발췌요약 -

물질적인 풍요가 진전된 사회에서 문명이란 외형을 지녔지만 부시멘보다 못한 정신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회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풀기 어려운 또 하나의 '문화의 수수께끼'인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