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5월 20일 토요일

Reading and Effort / Peter Singer

Last year, I visited a large bookstore in downtown Seoul, and after a long time,  Ha-joon Chang, an economics professor at Cambridge University, published his new book, Edible Economics. I was glad to have read [Economics the user's guide] several times because of the author's tendency to solve it easily and interestingly, not only in formalistic discourse. But I didn't have time at the time. So if the Korean translation of Edible Economics had been published, it would have taken less than two hours to read the book. However, in order to read it in the English version, the cover was almost worn out by carrying it around. After reading it twice,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was published.


In addition to the burden of being able to read English books quickly in order to gain wider knowledge, I also thought that I should do at least manifold basic languages. But a lot of ways have messed up my head. So I organized it simply and ideologically. I didn't care about the results and planned to memorize a book one by one, even if it took time. What had to be done now was a matter of willpower and action. - Ideology is used at times like this.


It is said that the reason why Singapore achieved phenomenal economic development is because English was used as the official language. This is the result of inducing many citizens to exchang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not peripheral. When North Korean President Kim Jong-un was in power, I thought that President Kim Jong-un's English skills would be helpful to solve the difficulties facing North Korea. However, I thought that the heavy reality of North Korea would take a lot of time and effort. And in the long run, I thought that young people in North Korea would need a lo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through reading is important. I have emphasized a lot the fact that blind ideology or blind religion eliminates the acquisi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rational thinking. It was seen as an example of Mao Zedong that even blind ideologies could not be established by biased reading. - Mao Zedong returned to a feudal attitude even after a difficult communist revolution,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ooks Mao Zedong read mainly were feudal books related to Chinese past history. Mao Zedong imitated feudal emperors as he grew older.

 

I think it's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fact that something must be done urgently to reduce the pain and suffering of others" than to "promote various other values such as beauty, knowledge, autonomy, or happiness" through the book. The fact that I still emphasize the responsibility of books to make a better world also means that I still have not abandoned my belief in rational thinking. Books should be a place of rational critical thinking, and I think reading books is finally completed when enlightenment through this process is practiced in the field of life.

 

- Peter Singer -

 

독서와 노력 / Peter Singer

작년에 서울 시내 대형서점에 들렸더니 오랜만에 장하준 캠브리지 대학 경제학 교수가 신간인 [Edible Economics]를 내놓았다. 형식주의적인 담론에만 빠져있지 않고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저자의 성향 때문에 [Economics the user’s guide]를 몇 번 읽은 경험이 있어서 반가웠다. 그런데 시간이 없던 때라서 [Edible Economics]의 한국어 번역판이 나왔으면 2시간도 안 걸려서 읽을 책의 분량을 영어 원서로는 표지가 헤지도록 들고 다니면서 읽어야 했다. 두 번을 읽고 나서야 한국어 번역판이 나왔다.

 

더 폭넓은 지식을 얻기 위해서 영어 원서를 빨리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부담과 함께 외국어 몇 가지를 기본만이라도 해야겠다는 구상도 해봤다. 그런데 많은 방법이 머릿속을 어지럽혔다. 그래서 단순하게 정리해서 이념화 시켰다. 결과에 연연치 않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책 한권씩을 외우기로 계획했다. 이제 남은 것은 의지력과 행동력의 문제였다. - 이념이란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다.

 

싱가포르가 경이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한 배경에는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많은 시민들이 지엽적이지 않고 폭넓은 정보를 주고 받도록 유도한 결과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할 당시에 북한이 처한 난국을 풀어나가기 위해서 김정은 위원장의 영어 능력이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북한의 무거운 현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북한의 젊은이들에게 외국어 교육이 많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도 했다.

 

독서를 통한 정보의 획득은 중요하다. 많이 강조했지만 맹목적인 이념이나 맹목적인 종교는 다양한 정보의 획득과 이성적인 사고를 무력화 시킨다. 심지어는 맹목적인 이념조차도 편향된 독서에 의해서 자리를 못 잡는 경우도 있음을 마오쩌뚱의 예로 보았다. - 마오쩌둥은 어렵게 공산주의 혁명을 성공하고도 봉건적인 태도로 회귀했는데 마오쩌뚱이 주로 읽은 책들이 중국 과거 역사와 관련된 봉건적인 내용의 책들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오쩌뚱은 나이가 들어서 봉건적인 황제를 모방했던 것이다.

 

나는 책을 통해 아름다움, 지식, 자율, 혹은 행복과 같은 여러 다른 가치들을 장려하는 것보다다른 사람의 고통과 괴로움을 줄이기 위해 무엇인가 화급하게 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좀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여전히 책의 소임을 강조하는 것은 아직도 이성적 사유에 대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책은 이성적 비판적 사유의 장이어야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한 깨달음이 삶의 현장에서 실천될 때 비로서 책읽기가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 Peter Singer -    

2023년 5월 13일 토요일

Practical work and the general situation

In the 1970s, when interest rates were lowered in Japan to invest in manufacturing, market funds flocked to real estate investment, forming a real estate bubble. And the real estate bubble soon went out and Japan entered an era of long-term recession. This reality soon hit Korea. In-kind investments such as real estate have been praised as an inflation hedge and, above all, as a way to make big money without the pain of work. When the real estate bubble turns off, sincere people who have invested in real estate with steady savings through work will be the final victims of losses.

 

Japan and Korea have a tradition of Confucian countries and have a social structure with severe vertical class differentiation. Japan and Korea are societies that have a strong tendency to neglect or avoid sincere work. Because American-style capitalism was adopted without internalization of social equality, the development of social laws such as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is constantly required.

 

Originally, work was fun. Economic psychologist Dan Arielly found out that parrots also prefer hard-to-eat food to easy-to-eat food in an experiment with a parrot named Jean Paul.

 

In the past, many of my co-workers lived on retirement pensions and repeated drinking every day, but they became workers to regret and live faithfully. In addition to the social role, work is also one's own pleasure. This point is not well known to immature politicians who have never worked and have been entertained by their vertical desire to rise.

 

It was when I was driving a neighborhood bus that I felt that working was fun but often not. I drove a neighborhood bus looking around various areas even though I had a lot of experience and could drive a long distance with good conditions. But at that time, I felt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Korea. As a bus driver who works poor in areas where apartment prices are high, I have suffered a lot of insignificant treatment and conflict. And at the same time, I saw real estate prices collaps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prosecution 


On the other hand, at that time, I was also interested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prosecution, an office worker, and the police, a working-level worker. Eventually, the president from the prosecution was elected and prosecution personnel were assigned to key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as predicted but not hoped, the management of state affairs went peripherally and passively. In particular, the long-anticipate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has become an unimaginable reality. The global trend did flow into the New Cold War era.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failed to actively mitigate the bad situation and seemed to take the lead in amplifying it. It always disturbed m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imagination 


If someone interprets it from the perspective of ideas and reality, it feels like it is regressing into a society dominated by ideas and imagination these days. Korea's geo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will constantly demand the general situation policy direction and realistic policy direction through de-ideology.

 

실행적인 근로와 대국주의(the general situation)

70년대 일본에서 제조업에 투자하라고 금리를 낮추자 시중 자금이 부동산 투자에 몰려 부동산 버블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부동산 버블은 곧 꺼지고 일본은 장기불황의 시대에 들어섰다. 이런 현실은 곧 한국에도 닥쳤다. 부동산과 같은 현물 투자는 인플레이션이 닥쳐도 영향을 받지 않고(inflation hedge), 무엇보다도 근로의 고통 없이 큰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으로 찬양 받았다. 부동산 버블이 꺼지면 근로를 통한 꾸준한 저축으로 부동산 투자를 했던 성실한 사람들이 손실을 떠안는 최종 희생자가 된다.

 

일본과 한국은 유교국가의 전통이 있고, 수직적인 계층 분화가 심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다. 성실한 근로를 천시하거나 기피하는 현상이 강한 사회다. 사회적 평등이 내면화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식 자본주의를 받아들인 탓에 끊임없이 노동법이나 사회보장법과 같은 사회법의 발전이 요구되기도 한다.

 

원래 근로는 즐거웠다. 경제심리학자인 댄 에리얼리(Dan Ariely)는 장 폴이라는 앵무새를 통한 실험에서 앵무새도 쉽게 먹을 수 있는 먹이보다 수고를 들여서 먹을 수 있는 먹이를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과거 내 직장 동료는 퇴직 연금으로 생활하면서 매일 음주만 반복하다가 살기 위해 근로자가 된 이도 많았다. 근로는 사회적인 역할 외에도 본인의 즐거움이기도 한 것이다. 이 점은 근로 한 번 해 본적이 없고 수직적인 상승 욕구로 즐거움을 얻었던 철없는 정치가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기도 하다.

 

내가 즐거워야 할 근로의 한계를 느낀 것은 근린버스를 운행할 때였다. 장거리 운행을 할 수 있는 경력이 있음에도 여러 지역을 돌아보며 근린 버스를 운전했는데, 한국의 미래에 대해서 비관적인 생각이 들었다. 하필이면 아파트 값이 높은 지역에서 빈한하게 근로를 하는 버스 운전자로서 많은 천대와 갈등을 겪으면서 동시에 부동산 가격이 무너지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80%EC%B0%B0 


한 편으로는 사무실 인력인 검찰과 현장인력인 경찰의 갈등이 있는 상황도 관심 있게 보았던 때다. 결국 검찰 출신 대통령이 당선 되고 검찰 인력이 행정부 요직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예상했던바(기대했던 것은 절대 아니다) 국정운영은 지엽적이고 소극적으로 흘러갔다. 특히 오랫동안 기대했던 북한과의 협력은 상상할 수도 없는 현실이 되었다. 세계적인 추세가 신냉전 시대로 흘러가긴 하지만 한국 정부는 나쁜 상황을 적극적으로 완화조정 하지 못하고 앞장서서 증폭 시키는 듯 하여 항상 심란하였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3%81%EC%83%81%EB%A0%A5 


관념과 현실의 장으로 해석을 한다면 관념과 상상이 지배하는 사회로 퇴행하는 느낌이다. 한국의 지정학적인 특색과 경제학적인 특색은 끊임없이 탈이념을 통한 세계주의적이고 대국적인(the great nationalism이 아닌 the general situation) 정책 방향과 현실적인 정책방향을 요구할 것이다.            

2023년 5월 6일 토요일

Simple Reasons for the New Cold War and Ideology

In my youth, I had been in a universal and unusual religious group for six months to study ideological issues. Six months later I was caught there with no faith and was (please) urged to go out. The clergy were charismatic, and the congregation was enthusiastic. However, a believer who seemed to have a strong faith asked me if I came to catch one person to marry. Yes, the truth lies in its simplicity. That's what the faithful did, too.

 

Dr. Felicitas Ausperg,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Vienna, wrote this.

 

When they were admitted to the (mental hospital), the diary was also interpreted in an unusual way, and they wrote down the events at the hospital or their experiences over time, which the medical staff regarded as another evidence of the psychological obsession of the mentally ill and never asked for it. The so-called pathological attitude of mentally ill patients was originally taken for granted in the 1970s when Rosenhan's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few people had serious and deep questions about the cause.

 

However, a person who was curious about the patient's unusual behavior or gestures directly asked the patient for the reason, and an unexpected answer came out. For example, there was a patient who was constantly going back and forth in the hallway, and when asked if it was because he was anxious, he replied like this. "No, I'm so bored!" As such, all of the patient's behavior was recognized only within the radius of the view of a specific disease, and the result did not change even if the behavior was caused by hospital illusion or inappropriate treatment, or even simply not enduring boredom.

 

In retrospect, I was not fascinated by the charisma of the clergy at the time. And it did not give the priest the satisfaction of evangelism. The reason was unfortunate for the priest that I loved reading too much. Reading books on geography, history, economics, etc., my mind didn't stay in a peripheral place.

 

A priest who wanted to be involved in politics was shouting, "God will die to me if he messes with me." However, there were believers who sympathized and sympathized. Both the clergy and the believers must have had practical reasons for using faith as an excuse. Power, money, jobs, etc, etc.

 

In the era of the New Cold War, the state of political leaders and the people is very serious. For practical reasons such as economic recession, mental weariness, physical weariness, lack of knowledge, and fixation of past consciousness, leaders and people are avoiding their responsibilities while amplifying their ideological consciousness. Psychiatry says the first condition of mental illness is to blame others. I think it is probably because there is no time and effort to find a solution due to liability avoidance.

 

I read several economics books and tried to find problems, especially in North Korea and the world economy. However, ideology has a very realistic background, and if no one treats such ideology coldly, it will only lead to a vicious cycle. As partially stated in the previous article, the current global economic recession and war are the result of shallow desires expressed in grand ideologies.

신 냉전과 이념의 단순한 이유

청년기에 이념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자의반 타의반으로 보편적이면서도 특이한 종교집단에 6개월 있은 적이 있었다. 6개월 후에 그 곳에서 믿음이라고는 개뿔도 없음을 들킨 나는 (제발)나가 달라는 권유를 받았다. 성직자는 카리스마가 있었고, 신자들은 열광했다. 그런데 진짜 믿음이 강해 보였던 신자 한 명이 내게 결혼할 상대 한 명을 낚기 위해 왔느냐고 물었다. 그렇다 진리는 보편적인데 있었던 것이다. 예의 그 신자 역시 그랬던 것이다.

 

비엔나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였던 펠리치타스 아우슈패르크(Felicitas Auersperg)박사의 저서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이들이 (정신병원)에 입원했을 때 일지를 작성했던 일 역시 비숫한 방식으로 해석 되었다, 이들은 병원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본인이 겪은 상황 등을 시간별로 고박꼬박 써내려갔는데 의료진은 이를 정신질환자 특유의 병적인 집착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증거로 여길 뿐 단 한 번도 내용을 보여 달라거나 한 적이 없었다. 정신질환자가 보이는 이른바 병적인 태도는 로젠한의 실험이 이루어졌던 1970년대 당시에는 원래 그런 것으로 당연시 되었으며 그 원인에 대해 진지하고 깊은 의문을 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환자의 특이한 행동이나 몸짓에 궁금증을 가진 사람이 환자에게 직접 이유를 물어본 결과 예상 밖의 대답이 나왔다. 예를 들어 쉼 없이 복도를 왔다 갔다 하는 환자가 있었는데, 불안해서 그러느냐는 물음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아니요, 너무 심심해서요!” 이처럼 환자의 모든 행동은 하나로 뭉뚱그려져 특정 질병이라는 시야의 반경 안에서만 인식 되었고 혹여 그 행동이 병원의 착각이나 부적절한 치료로 인해 나타났거나 또는 심지어 단순히 무료함을 참지 못해 나타난 것이라고 해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생각해 보면 당시 성직자의 카리스마에 매료되어 줌으로써 성직자에게 전도의 만족감을 주지 못한 이유는 내가 너무 다방면의 독서를 좋아했다는 안타까운 이유가 있었다. 지리, 역사, 경제학 등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 내 마음은 지엽적인 곳에 머물지 않았다.

 

어느 정치에 관여하고 싶은 성직자가 하느님도 까불면 나한테 죽는다고 소리치며 자아도취에 빠져 일갈하고 있었다. 그런데 공감과 동조를 하는 신자도 있었다. 성직자와 신자들 모두에게는 믿음을 핑계로 한 현실적인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권력, , 일자리 기타 등등 기타 등등.

 

신냉전 시대에 정치지도자들과 국민들의 상태는 매우 심각하다. 불경기, 정신적인 노쇄, 신체적인 노쇄, 지식의 부족, 과거의식의 고착화 등의 현실적인 이유로 지도자와 국민들은 이념의식을 증폭시키면서 자신들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정신의학에서는 정신병의 첫째 조건이 남의 탓을 하는 거라고 한다. 아마도 책임회피로 인해 해결책을 찾을 시간과 노력이 없는 탓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여러 경제학 책을 읽고 특히 북한이나 세계 경제의 문제점을 찾아보려고 했지만 매우 현실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는 이념을 냉정하게 대하지 않으면 악순환만 거듭할 뿐이다. 앞서 부분적으로 밝혔지만 요즘의 세계경제불황과 전쟁은 얄팍한 욕망이 거창한 이념으로 표현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