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8월 31일 목요일

The mission of unification / Park Chung-he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has always tried to negotiate with North Korea, even if South Korea's national power does not surpass North Korea. If North Korea made provocations, South Korea continued to try to negotiate while preventing them.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could not give in to the idea tha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unusual and that the unified Korean Peninsula was its original appearance.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t the end of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it was important to encourage a cheerful and warm spirit of cooperation for the future of the glorious unified country that will forever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had a strong sense of independence that we should solve our problems. As a result, there was occasional friction with the Carter administration in the U.S.

 

Since the U.S. is simply a liberal country, it is better to describe it as the policy of the ooo administration of the U.S. rather than as "U.S. policy." On the one hand, it also meant that if South Korea believes in the policy line of any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as it is, it may have something to regret later. In the next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may go a completely different way than Korea expected.

 

In particular, Vietnam's experiences have strengthened the idea that Korea should never rely solely on the United States.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must have experienced the evils of ideology (communism) and ways to awaken the spirit of the people through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Indeed, South Korea became a turning point for overwhelming North Korea becaus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s mental strength overwhelmed that of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Kim Il-sung missed a period of development that could naturally come after the war, focusing on strange symbolic policies, iconography, and parts rather than the whole. Later, I also saw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s sense of mission and spirit to former President Roh Moo Hyun. At the same time, I learned that pragmatic politics requires a strong mentality toward goals.

 

Over time, Korea became democratized with the efforts of many people. On the other hand, political power, which pursues individual interests without a sense of mission, often aimed at niche markets. When their profit-seeking activities were blocked by barriers, they talked about anti-communism and engaged in ideological activities. There was no better issue than that to draw the emotional sympathy of the old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Korean War. However, if ideology is used as the main issue or agenda of the regime, the economy and diplomacy are damaged. This is because it goes to conflict and confrontation, not persuasion and negotiation. In the end, even if they pull out ideological azenda, a situation with a bad end will be created as realistic economy or diplomacy collapses.

 

In particular, my thoughts on North Korea were expected to lead to the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ead to the path of cooperation,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nefit each other. In the long run, North Korean President Kim Jong-un was considered to be able to carry out Deng Xiaoping or Zhou Enlai-style reforms. As I said a lot in the previous article, North Korea does not seem to have the capacity and environment to hastily change its system.

 

I watched with interest because I heard that there was a bold plan for North Korea when the current government of South Korea took office. However, I was shocked to see the current government leading the situation to a bold and mature ideological debate.

 

Political leaders should have a sense of duty. That way, political leaders can be cautious and focused. In particular, not only South Korea's political leaders but also North Korea's political leaders. It must be acknowledged that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s abnormal. Of course, the armed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a very strange phenomenon. After 20 years of research, I realized that I could not interpret it rationally but only psychoanalytically.

  

통일의 사명감 / 박정희

박정희 전 대통령은 한국의 국력이 북한을 월등히 능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도 항상 북한과의 협상을 시도했다. 북한이 도발을 하면 도발을 막으면서 계속 협상을 시도했다. 한반도의 분단 상황은 이례적인 것이고 통일된 한반도의 모습이 원래의 모습이라는 생각은 양보할 수 없었다. 말하자면 국민교육헌장 마지막에 기술한 것 처럼 길이 후손에 물려 줄 영광된 통일 조국의 앞날을 위하여 명랑하고 따뜻한 협동 정신을 북돋는 것이 중요했다.

 

한 편으로는 박정희 정부는 우리의 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한다는 자주 의식이 강했다. 그러다 보니 간혹 미국 카터 행정부와의 마찰도 있었다.

 

미국은 그야말로 자유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의 정책이라고 표현 하기보다는 '미국의 oo행정부의 정책' 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낫다. 한편으로는 미국의 어느 행정부의 정책 노선을 그대로 믿으면 한국은 나중에 후회할 일이 생길 수도 있다는 뜻이기도 했다. 미국의 다음 행정부에서는 대외 정책이 한국의 예상과는 완전히 다른 길을 갈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베트남의 경험 들은 한국은 절대 미국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강하게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일본군 시절을 겪고 남로당 시절을 겪으면서 국민의 정신을 깨우는 방법과 이념(공산주의)의 폐해를 몸소 체험했을 것이다. 실로 한국이 북한을 압도하는 분기점이 된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신력이 북한의 김일성 주석의 정신력을 압도한 데 이유도 있었다. 김일성 주석은 이상한 상징 정책과 우상화 그리고 전체보다는 부분에 몰두하면서 전쟁 후에 당연히 올 수 있게 되는 발전의 시기를 놓치게 되었다. 훗날 나는 그 사명감과 정신력을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도 보았다. 그러면서 실용주의적인 정치는 목표를 향한 강한 정신력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도 알았다.

 

시간이 흘러 한국은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민주화가 된 반면에 사명감 없이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 권력이 틈새시장을 노리는 일이 잦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이익 추구 활동이 난관에 부딪히면 반공을 이야기하면서 이념팔이를 했다. 6.25를 겪은 구세대들의 감정적인 동조를 끌어내는 데는 그보다 좋은 이슈가 없었다. 그러나 이념을 정권의 주된 이슈나 아젠다(agenda)로 삼으면 경제나 외교가 손상된다. 설득과 협상이 아닌 분쟁과 대립의 길로 가기 때문이다. 결국 이념적 아젠다을 끌어내도 현실적인 경제나 외교가 폭망 하면서 끝이 안 좋은 상황이 만들어진다.

 

특히 북한에 대한 내 생각은 한반도의 안정을 가져 오면서도 협력의 길로 나아가 북한과 한국이 서로 이익을 보는 환경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했다. 장기적으로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등소평이나 주은래식 개혁을 할 수 있는 인물로 생각되었다. 앞에서 계속 밝혔지만 북한은 성급하게 체제를 바꿀만한 역량과 환경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나는 한국의 현 정부가 들어설 때 북한에 대해서 담대한 계획이 있다고 해서 관심 있게 지켜 보았다. 그런데 정말 담대하게 철 지난 이념 논쟁으로 상황을 몰고 가는 것을 보고 경악했다.

 

정치 지도자는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 조심스러워지고 집중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정치 지도자는 물론이고 북한의 정치 지도자도 마찬가지다. 분단된 한반도는 비정상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물론 한국과 북한 사이의 무력 분쟁은 아주 기이한 현상이다. 이성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고 정신분석학적으로만 해석해야 한다는 사실을 나는 무려 20년 동안 연구 끝에 깨달았다.

  

2023년 8월 29일 화요일

A warrior of practice / Hong Beom-do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re campaigning for independence under Japanese imperialism, set an example of truth-seeking ideas and action. Some independence activists worked with guns, and some writers spread enlightenment ideas. All of them were "actually" fighting to save the national community at their own expense against Japanese oppression. However, the weak ideas, which are confused by the idea of ideology, disparage and insult practitioners who are respected as "universal."


In the future, Korean education should provide education aimed at how it will help society when fostering talent. 

실천의 무인(武人) / 홍범도

일본 제국주의 통치하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상의 모범을 보여 준 분들이다. 독립운동가들은 총을 들고 활동한 무인도 있고, 계몽사상을 전파한 문인도 있었다. 모두 일제의 탄압에 맞서 자신을 희생하여 민족공동체를 구할려고 실제로투쟁하던 분들이다. 그런데, 이념이란 관념에 어지렵혀진 문약한 생각들이 보편적으로 존경받는 실천가를 폄하하고 모욕을 준다.

 

차후에 한국 교육은 인재를 키워낼 때 사회에 어떤 도움이 될 것인가를 지향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Leadership / Finland

A long time ago, there was a president who thought of the country and the people as his profit structure. Naturally, the people did not follow the president. He used the intelligence agency, the president's direct agency, to inspect civilians and conduct craft politics. I was oppressed by the problem and unintentionally observed the president to reverse the pressure. I studied why such an immature leader was born. At the end of the presidential term, it seems that all state agencies, including intelligence agencies, abandoned the president. The price of not doing politics that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emphasized "prioritizing efficiency and substance with public interest and order at the forefront" had a very bad impact on the president himself and the people.

 

As I observed the problem, I thought the root of the problem was education. Throughout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Cold War, we lived by confusing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with the concept of "communism." It was partly due to the poor position of the times and geopolitics, but the generations who failed to learn humanities and received competitive education did not have the ability to objectively think about reality and the future. These days, there is such a problem even if you look at the generations that gave birth to the current administration, the political prosecution organization, and even the president's neighbors and key figures. There were many times when I wished that the current administration would have a broader and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in managing state affairs. Many years have passed, and I have also learned that people's thoughts do not change quickly.

 

In the past unreasonable presidency, on the one hand, I have long explored the role model of a leader in search of an ideal direction of improvement, resenting his behavior. Of course, it is even more so now. At home, I ideally thought of President Park Chung-hee's sense of duty and Roh Moo Hyun's democratic rule. And Prime Minister Lee Kuan Yew, who was committed to Singapore's development despite his long-term rule, Kemalpasha, who reformed Turkie, and Uruguay's President Jose Muhika, like Saint, taught me what a leader should think. A good leader shouldn't be too personal. And I think socialist countries should use Deng Xiaoping and Zhou Enlai as role models for leaders.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various conditions in Korea, I considered Finland an ideal country as a role model for Korea. Finland's national system and education method presented what Korea needs most. The common value for all parts of Finland was 'public interest'. In particular, Finland's educational ideology that requires the ability of inferior students to be educated as talents useful to the country due to Finland's conditions that cannot neglect one's ability has many implications for the reality in Korea, where competitive education is being fed back as a very bad result.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of Finnish leaders are honesty, directness, stability, pragmatism, rationality, determination, result-oriented, realistic, task-oriented, respect for others, humility, introversion, silence, listening, distrust of unnecessary talk, service concept, mid- to long-term perspective, combination of individualism and teamwork, and the coexistence of optimism and pessimism.

 

- [ Finland, Cultural Lone Wolf ] by Richard D. Lewis -

double translation

 

In Korea, there is a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for a long time, so it is difficult to accept it easily, but Finland's education and leadership behavior must be accepted quickly for the future of Korea.

지도자의 리더쉽 / 핀란드

오래전 국가와 국민을 자신의 수익구조로 생각하던 대통령이 있었다. 당연히 국민들은 대통령을 따르지 않았다. 대통령의 직속기관인 정보기관을 이용해 민간인 사찰을 하고 공작정치를 했다. 나는 그 문제 때문에 억압받다가 압박을 뒤집기 위해서 본의 아니게 대통령을 관찰하게 되었다. 왜 그런 미성숙한 지도자가 탄생했는지 연구했다. 대통령 말기에는 정보기관을 비롯한 모든 국가기관도 대통령을 버렸던 것 같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강조하던 공익과 질서를 앞세우고 능률과 실질을 숭상하는정치를 하지 않은 댓가는 대통령 자신과 국민에게 아주 나쁜 영향을 주었다.

 

나는 그 문제를 관찰하면서 문제의 근원은 교육에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일본 제국주의 시절과 냉전 시절을 겪으면서 공익(public interest)’이라는 개념을 공산(communism)’이라는 개념과 혼동하며 살았다. 시대적이고 지정학적인 위치가 조악한 탓도 있었지만 인문철학적 학습을 하지 못하고 경쟁적인 교육을 받았던 세대들에게는 현실과 미래를 객관적으로 생각할만한 능력이 없었다. 요즘 들어 현 정부을 탄생시킨 세대들과 정치적인 검찰조직, 심지어는 대통령을 비롯한 그 주변인들과 핵심인물들을 보아도 그런 문제가 있다. 국정 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좀 더 넓고 포괄적인 관점을 가졌으면 하는 생각이 든 때가 많았다. 세월이 많이 흘렀는데, 생각은 빨리 바뀌지 않는다는 깨달음도 얻었다.

 

과거 불합리했던 대통령 시절에 한편으로는 분개하면서 이상적인 개선의 방향을 찾아 오랫동안 지도자의 역할 모델을 탐구했다. 국내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사명감, 노무현 대통령의 민주적 통치등을 이상적으로 생각했지만 장기집권임에도 싱가포르의 발전에 헌신했던 리콴유 수상, 튀르키에를 개혁시킨 케말파샤, 중국을 개방시킨 덩샤오핑과 저우언라이, 성자 같은 우루과이의 호세무히카 대통령은 지도자가 어떤 생각을 가져야 하는지 가르침을 주었다. 훌륭한 지도자는 너무 개인적이면 안 된다.

 

한 편으로는 한국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역할 모델로 핀란드를 이상적인 국가로 생각했다. 핀란드의 국가시스템과 교육방식은 한국에게 가장 필요한 것들을 제시해 주었다. 핀란드의 모든 부분에 있어서 공통된 가치는 공익이었다. 특히 한 사람의 능력도 소홀히 할 수 없는 핀란드의 여건상 열등한 학생의 능력도 끌어내어 국가에 소용되는 인재로 교육시켜야 한다는 핀란드의 교육 이념은 경쟁적 교육이 아주 나쁜 결과로 피드백 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핀란드인 나아가 핀란드인 지도자에게서 가장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은 정직성, 단도직입성, 안정성, 실용주의, 합리성, 결단력, 결과중심, 현실성, 눈으로 본 것에 대한 믿음, 과제중심, 타인에 대한 존중, 겸양, 내향성, 침묵의 활용, 경청, 다변에 대한 불신, 봉사의 개념, 중기계획( the moddle period plans), 개인주의와 팀워크의 결합, 낙관주의와 비관주의의 공존이다.

 

- [ Finland, Cultural Lone Wolf ] by Richard D. Lewis -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이상과 현실의 갭이 너무 커서 잊고 있었던 핀란드의 교육과 지도자의 행태는 요즘 한국에서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2023년 8월 16일 수요일

An ideological nation and start-up nation / Israel

I couldn't compete with my classmates in school. The problem I had to deal with was not within the realm of competition with colleagues. When I was a student, my thoughts were all three: poor family environment, bad health,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I was about to die, I knew the names of high-ranking North Korean generals well.

 

And I respected President Park Chung-hee, who always faithfully expressed his interest in unification. If any of my colleagues think of me as a competitor, I secretly cut him off. The reason is that I could not allocate my insufficient energy to competition. Since then, several presidents' interest in unification has accumulated a lot of future-oriented energy on the Korean Peninsula.

 

A few days ago, I was surprised to see the current president of South Korea's Liberation Day speech criticizing the communist forces in the country. First of all, if there is a real force, it will be an outdated cliche and lethargic so pitiful force. What really worries me is the concern of a head of state who cannot allocate finite mental strength and energy to desperate economies and diplomacy right now. I was worried that the consequences of ideological state management, such as the current government's tax cuts on the rich (supply-oriented economics), impractical and ideological diplomacy, would be like a tsunami in the long run. And I missed the careful contemplation of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and President Roh Moo Hyun. A leader's cautious attitude gives members a sense of security and energy.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Reagan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5%EA%B8%89%EC%A4%91%EC%8B%9C%EA%B2%BD%EC%A0%9C%ED%95%9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mossad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C%82%AC%EB%93%9C


Israel, which has very poor geopolitical conditions like Korea, is a very future-oriented country even though it is experiencing political disruptions these days. I think the current political stalemate will also be easily stabilized by the need for stable conditions. The people of Israel have a consensus that the nation will not be able to survive if energy is consumed by internal conflicts.

 

Israel, which easily won the six-day war, was unable to prepare for an Arab surprise operation due to a misjudgment by the bureaucratic military intelligence agency Aman, which almost destroyed the country. That led to the creation of a global intelligence agency, Mossad. In addition, Israel could not afford to devote energy to vertical relations (power relations), so discussion and expression of opinions among its members were free and not vertical.For this reason, start-up activities are also active.

 

You feel very relieved when you go beyond the level of pride being hurt. The Israelis know very well what others think of me because they rarely talk behind their backs. Therefore, it does not waste time on useless psychological warfare.

 

- omission -

 

Mooly Eden, the seminar operator, said, "After living in the United States for five years, there is nothing more unique than Israeli culture. The Israelis did not form a culture that was very obedient to authority or order. Therefore, I am taught to challenge the obvious, ask questions all the time, discuss everything, and innovate from the time I am in the womb."

 

- [ START-UP NATION ] BY DAN SENOR & SAUL SINGER -

double translation

 

Israel has a national consensus for national purposes, so there is no cliche in the minds of the people that hinders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n the other hand, in Korea, it is a big problem that sometimes the leader leads the way and divides the people, hindering the achievement of the country's purpose. Perhaps the problem of Korean education has emerged over time. Talents who have grown up in a competitive system that has to beat colleagues who have faced each other for many hours, if not a global awareness of the situation, are now social leaders. And they're working on regressing social development. Japan also has such a problem. People who lead Korean society should ask themselves a question. Is the person who bullies themselves a competitor or a person who is harmful to the country and society...

 

이념 국가와 창업 국가 / 이스라엘

나는 학창시절에 동급생들과 경쟁을 할 수 없었다. 내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동료들과 경쟁의 영역 안에 있지 않았다. 내 학창시절의 생각은 불우한 가정환경, 나쁜 건강 그리고 남북한 문제등 이 세 가지가 전부였다. 당장 죽을 지경인데도 북한의 고위 장성들 이름은 잘 알고 있었다.

 

그리고 통일에 관한 관심을 항상 성실하게 표현했던 박정희 대통령을 존경했다. 동료들 가운데 누군가 나를 경쟁상대로 생각하면 슬그머니 인연을 끊었다. 부족한 에너지를 경쟁에 배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도 몇몇 대통령들이 통일에 관한 관심을 보여온 것은 한반도에 많은 미래 지향적인 에너지를 축적해왔다.

 

며칠 전 한국의 현 대통령이 한국 내에 준동하는 공산당 세력을 비난하는 광복절 연설을 보고 깜짝 놀랐다. 우선 진짜 그 세력이 있다면 시대에 뒤떨어진 진부하고 무기력한 그래서 측은한 세력일 것이다. 정작 걱정이 되는 것은 유한한 정신력과 에너지를 당장 절박한 경제와 외교에 배분하지 못하는 국가원수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부자 감세(공급중시경제학), 실용적이지 못하고 이념적인 외교 등 이념적인 국가운영으로 인한 결과가 장기적으로 쓰나미처럼 닥칠 일을 걱정하며 박정희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신중하게 고민하던 모습이 그리웠다. 지도자의 신중한 태도는 구성원들에게 안정감과 에너지를 준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5%EA%B8%89%EC%A4%91%EC%8B%9C%EA%B2%BD%EC%A0%9C%ED%95%9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C%82%AC%EB%93%9C


한국처럼 지정학적인 조건이 매우 열악한 이스라엘은 요즘 들어 정치적인 파행을 겪고 있지만 매우 미래지향적인 국가다. 현재의 정치적인 파행도 절박한 조건의 필요성에 의해 쉽게 안정되리라고 생각한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내부 갈등에 에너지를 소모하면 국가의 존속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공감대를 모든 국민이 가지고 있다.

 

6일 전쟁에 쉽게 승리한 이스라엘이 관료화된 군 정보기관 아만의 오판으로 아랍의 기습작전에 대비하지 못해서 국가가 멸망할 뻔한 일도 있었다. 그 일 때문에 세계적인 정보기관인 모사드가 창설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은 수직적 관계(권력관계)에 애너지를 쏟을 여유가 없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토론과 의견표현이 자유롭고 수평적이다.그 때문에 창업활동이 활발하기도 하다.

 

자존심이 상하고 말고 하는 차원을 초월하면 아주 홀가분해진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뒤에서 수군거리는 일이 드믈고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잘 알고 있다. 그러다 보니 쓸데없는 심리전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 중략

 

세미나 운영자인 슈무엘 에덴은 이렇게 미국에서 5년을 살고 보니 이스라엘 문화보다 독특한 것이 없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권위나 질서에 아주 잘 순종하는 문화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뱃속에 있을 때부터 당연한 것에 도전하고, 질문들을 항상 던지며, 모든 것에 토론하며, 혁신하도록 가르침받는다.”고 말했다.

 

- [ START-UP NATION ] BY DAN SENOR & SAUL SINGER -

 

이스라엘은 국가 목적을 향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이 되어 있어서 목적 달성을 방해하는 진부한 행위는 국민의 마음속에 없는 것이다. 반면에 한국은 가끔 지도자가 앞장서서 국민을 분열시켜 국가의 목적달성을 저해하는 일이 있는 것은 큰 문제다. 아마 한국교육의 문제점이 시간차를 두고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글로벌한 정세 인식까지는 아니더라도 많은 시간 동안 얼굴을 맞대고 있는 동료를 이겨야 하는 경쟁 시스템 속에서 성장한 인재들이 이제는 사회 지도자가 되어 사회발전을 퇴보시키는 일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일본도 그런 문제에 걸려 있다. 한국 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들은 한 번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 봐야 한다. 자신을 괴롭히는 사람은 자신의 경쟁자인지 아니면 국가와 사회에 유해한 사람인지......  

2023년 8월 5일 토요일

The source of successful political action / sincerity

I gave the people enough rights. Nothing has been taken away and nothing has been added to that honor. I have not deliberately unjustly treated anyone who is respected by having power and property. I stood up with a strong shield for both sides and allowed no unjust victory for either side. I have done these things as promised, harmonizing coercion and justice by the power of the law. I applied justice to everyone without discrimination and wrote the rules equally for the humble and the noble.

 

- In Aristotle's book, The Athenian System, Solon's speech -

 

I have been talking about ideological disput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South Korea for nearly 20 years. The reason why I have been talking about ideological issues as the top priority of what I want to do for 20 years is that ideological issues have been a priority of what needs to be resolved on the Korean Peninsula. I spoke of this matter with great sincerity. However, it was not as easy to solve for human society as Solon, a wise Greek politician, was troubled by such problems 2,000 years ago. Greece's Athens or modern democracies would have called disputes between community and personal interests an ideological dispute in a more abstract and noble way. Solon tried to settle this dispute 'sincerely'. Solon reformed Athens and developed Athens into a powerful Greek power. Any Korean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or higher may have heard of the term "reform of solon."

 

Korea is not doing what Athens did 2,000 years ago. Aside from ideology, I consider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hee and former President Roh Moo Hyun as Korea's supreme leaders. Because they were sincere. Sincerity overwhelms ideology. Sincerity becomes a force to reform the national community in a future-oriented way. However, if an untrustworthy person becomes a leader, the national community will face a disaster. Those who are not sincere seek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or internal groups rather than the public interest. Therefore, lazy politicians consider the national community, the people, or the social community or citizens as external beings and set up confrontations. In a democratic society, a leader is also employed by the people, and disloyalty cannot seem good. Such an insincere leader has a far-right or far-left ideological spectrum when logic is poor. It is natural for a lazy person to try to take an easy and comfortable path.


I have criticized religious fantasies as well as ideological fantasies. When fantasy overwhelms reality, it becomes insincere. Anyone who tries to perform a miracle without effort will eventually become the source of disaster. I originally had a neutral attitude. However, whenever a conservative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Korea, I saw unfaithful and bizarre figures involved in state affairs and tried to find a connection. The problem was sincerity. I've seen a great figure in the conservative camp, and a small figure in the progressive camp. In the end, however, a government that falls into ideological or religious fantasies without a sense of duty causes accidents. The current conservative government in Korea should reflect. It's a little dangerous. It's time for insincerity to make an accident and it's making an accident.

 

Why is it that even religious leaders and adults with fantastic looks are constantly respected. Because there is sincerity.

 

I know an interesting story about Muhammad. 


Muhammad preached that if anyone had faith, they could move the mountain. One day, people asked Muhammad to show evidence of faith in moving mountains. Muhammad led the crowd to the mountains. And ordered the mountain to come here. The mountain pretended not to hear. Muhammad repeatedly drew the maximum of all faiths and ordered the mountain to come near. But the mountain didn't snort. (Let's be honest how the mountain moves) Then Muhammad shouted to the crowd. "If the mountain cannot come to us, we can go to the mountain."And the crowd swarmed into the mountains.

 

The crowd did not believe in Muhammad's art, but in sincerity and seriousness.

 

A man's walk is, after all, a series of countless failures. Humans must struggle under these harsh conditions of life. In some cases, humans collapse and are severely humiliated, but they must always rise again with tears and repentance and move forward again. So was Muhammad's life. Muhammad's success is due in the end to his integrity.

 

- From Thomas Carlyle’s [On Heroes, Hero-Worship and the Heroic in History] -

double translation

성공한 정치 행위의 근원 / 성실함

나는 민중에게 충분한 권리를 주었다. 그 명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빼앗지 않고 또 덧붙이지도 않았다. 권력과 재산을 가짐으로써 존중받는 사람에 대해서도 애써 부당한 취급을 하지 않았다. 나는 양편을 위하여 강한 방패를 들고 일어섰으며 어느 편에게도 부당한 승리를 허용하지 않았다. 나는 이러한 일을 법의 힘에 의하여 강제와 정의를 조화시켜가며 약속한대로 이루어 놓았다. 나는 모든 사람에게 차별없이 정의를 적용시켰고 비천한 자에게나 고귀한 자에게나 평등하게 계율을 작성하였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아테네인의 국가제도중에서 솔론의 연설문 내용-

 

나는 지난 20년 가까이 남북한과 한국내의 이념적 분쟁을 화제로 삼아 의견을 토로해 왔다. 20년 동안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의 가장 우선순위로 이념문제를 토로해 온 이유는 이념문제는 한반도에서 해결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였기 때문이다. 나는 이 문제를 매우 성실하게 토로했다. 그러나 2000년전에 그리스의 현명한 정치가인 솔론도 그런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던 만큼이나 인간 사회에 있어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긴 하다. 그리스의 아테네나 현대의 민주화된 국가들은 공동체 이익과 개인적 이익간의 분쟁을 좀 더 추상적이고 고귀한 표현을 해서 이념분쟁이라 칭하였을 것이다. 솔론은 성실하게 이 분쟁을 해결할려고 노력했다. 솔론은 아테네를 개혁시키고 아테네를 그리스 최강국으로 발전시켰다. 중학교 이상을 졸업한 한국인들은 누구나 솔론의 개혁이란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2000년 전에 아테네가 했던 일을 한국은 못 하고 있다. 나는 이념을 떠나서 한국의 박정희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한국의 최고지도자로서 생각한다. 그들은 성실했기 때문이다. 성실함은 이념을 압도한다. 성실함은 국가공동체를 미래 지향적으로 개혁시키는 힘이 된다. 그러나 성실하지 못한 자가 지도자가 되면 국가공동체는 재앙을 맞게 된다. 성실하지 못한 자는 공익보다 개인의 이익이나 내집단의 이익을 추구한다. 그래서 게으른 정치인은 국가공동체나 국민 아니면 사회공동체나 시민을 외부의 존재로 생각하고 대립각을 세운다. 민주사회에서는 지도자도 국민에게 고용된 자인데 불성실함이 좋아 보일 리가 없다. 그런 불성실한 지도자는 논리가 빈곤하면 극우나 극좌적인 이념 스펙트럼을 가진다. 게으른 자가 쉽고 편한 길을 갈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

 

나는 이념적 환상과 마찬가지로 종교적 환상을 비판해 왔다. 환상이 실체를 압도하면 불성실해지기 때문이다. 노력 없이 기적을 행하는 자가 결국 재난의 근원이 된다. 나는 원래 중립적 태도를 가졌다. 하지만 한국에 보수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불성실하고 기괴한 인물들이 국정에 관여하는 것을 보고 그 연결고리를 찾을려고 노력했다. 문제는 성실함이었다. 나는 보수진영에서도 훌륭한 인물을 보았고, 진보진영에서도 하찮은 인물을 보았다. 그러나 결국은 사명감 없이 이념적 환상이나 종교적인 환상에 빠져서 들뛰는 정부는 사고를 친다. 한국의 현 보수 정부는 성찰해야 한다. 좀 위험하다. 불성실함이 사고를 칠 때가 되었고 사고를 치고 있다.

 

환상적인 모습을 가진 종교지도자나 성인이 꾸준히 존경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성실함이 있기 때문이다.

 

마호메트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알고 있다.

마호메트는 누구라도 믿음을 가지면 산을 옮길 수 있을 거라고 설교헸다. 어느 날 사람들이 마호메트에게 산을 옮기는 믿음의 증거를 보여 달라고 했다. 마호메트는 군중을 이끌고 산으로 갔다. 그리고 산에게 이리 오라고 명령했다. 산은 못들은 척 했다. 마호메트는 반복해서 모든 믿음의 극대치를 끌어모아 산에게 다가 올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산은 콧방귀도 안 뀌었다. (우리 솔직하게 말해보자 산이 어떻게 움직이겠는가) 그러자 마호메트가 군중들에게 외쳤다. “산이 우리에게 올 수 없다면 우리가 산으로 가면 된다.”그리고 군중들은 산으로 몰려갔다.

 

군중들은 마호메트의 도술을 믿은 것이 아니고, 성실함과 진지함을 믿은 것이다.

 

한 인간의 걸음걸이란 결국 무수한 실패의 연속이다. 삶이라고 하는 이 거친 조건 속에서 인간은 투쟁해 나가야만 한다. 쓰러져 심한 굴욕을 당하는 경우도 있으나, 항상 눈물과 회개로 다시 일어나, 다시 또 앞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마호메트의 생애도 그런 것이었다. 마호메트의 성공은 결국 그에게 진실성이 있기 때문이다.

 

- 토마스 카라힐의 [영웅의 역사]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