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2년 8월 23일 화요일

Aging Population and Reform Politics

I saw a lot of middle-aged people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s imitating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in my workplace where I worked for quite a long time in my youth. Middle-aged people were not copying the leader who passionately led the nation's growth, but imitating the terminal symptoms shown by the aging president, such as authoritarianism and problems with women. Over the years, I observed carefully while driving a bus, but the appearance of middle-aged people was not new. Perhaps it is thought to be the despair of an unbearable existence brought by physical and mental changes.

 

Economist Paul Krugman says in his book "THE RETURN OF BEPRESSION ECONOMICS" that no matter how much Japan implements economic stimulus through public programs, it has not stimulated the Japanese economy. He says the biggest problem is demographic reality. The aging phenomenon is very severe in Japan. Of course, Korea or Russia will be more serious than Japan.

 

I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eve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Ukraine, the leadership role of the new generation of politicians expressed a lot of expectations that the country's future will be quite good. On the one hand, however, the new generation of politics has the burden of breaking through the gateway to conservative past generations of people and old generations of politics supported by them.

 

It is inevitable that middle-aged people and older cannot have a reformative tendency. Human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easily bound to past memories and habits, and the problems caused by biological aging are tasks that individuals and society must solve together.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life as a more continuous process and to have an utilitarian perspective of thinking about the future and future generations.

 

This problem is also the biggest problem in Korea these days. Problems related to Korea's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conservative regimes, the advancement of conservative inner groups such as prosecutors, and harmony with conservative foreign governments are much dimming the country's future prospects. The world without reform is a dark world. Such a tendency has path dependence and progresses more rapidly.

 

In fact, the issue of unif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s an important issue for future gener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round the world. We cannot let future generations live atrophy under the threat of war. However, Russia and Ukraine are also showing the same dark future as the Korean Peninsula.

 

Korea needs to change its people and government into a reformed and public-interest attitude. In addition, since Korea has a goo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pace for growth of industry and population by focusing on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areas. First of all, reform and fresh reform and growth energy should be created in the political world.

 

 

인구고령화와 개혁정치

청년기에 꽤 오래 일한 일터에서 학력이 높은 중장년들이 박정희 전 대통령을 모방하고 있는 모습을 많이 보았다. 열정적으로 국가성장을 주도했던 지도자의 모습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고 권위주의, 여성편력 등 노쇄한 대통령이 보여준 말기적 증상을 모방하고 있었다. 세월이 지나 버스 운전 등을 하면서 유심히 관찰했는데, 중장년들의 모습은 새롭지 않았다. 아마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가져다 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절망감으로 생각된다.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교수는 [THE RETURN OF BEPRESSION ECONOMICS]에서 일본이 아무리 공공프로그램등을 통하여 경기부양책을 실행해도 일본경제에 자극을 주지 못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장 큰 문제는 인구통계학적 측면이라고 말한다. 일본은 고령화현상이 매우 심하다. 물론 한국이나 러시아도 그 이상이다.

 

북한이나 한국 심지어는 프랑스와 우크라이나등의 국가에서도 신세대 정치인의 지도적인 역할은 국가의 미래에 상당히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를 많이 표현했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신세대 정치들은 보수적인 과거세대와 그들의 지지를 받는 구세대정치라는 관문을 뚫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중장년세대 이상이 되면 개혁적인 성향을 가질 수 없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인간은 과거의 기억과 습관에 얽매이기 쉬운 특성이 있다, 그리고 생물학적인 노화가 가져다 주는 문제점은 개인과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인생을 좀 더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미래와 후손들을 생각하는 공리적인 관점을 갖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이 문제는 요즘 한국에서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는 점이기도 하다. 한국의 급속한 인구노령화, 보수적인 정권, 검찰 같은 보수적인 내집단의 정계진출 ,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보수적인 외국정부들과의 조화와 관련된 문제들은 한국의 미래전망을 많이 어둡게 하고 있다. 개혁하지 않는 세계는 어두운 세계다. 그런 성향은 경로의존성을 가지고 있어서 더욱 급속하게 진행된다.

 

사실 남북한의 통일과 협력문제도 한반도와 전 세계의 미래세대에게 중요한 문제다. 전쟁의 위협아래 위축된 삶을 살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도 한반도와 같은 어두운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국민과 정부가 총체적으로 개혁적이고 공리적인 태도로 전환해야 한다. 그리고 교통인프라가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의 균형발전에 치중하여 산업과 인구의 성장공간을 창출해야 한다. 우선은 정치권에서 개혁적이고 신선한 개혁과 성장의 에너지가 만들어져야 한다

2022년 8월 8일 월요일

New Cold War and Disturbance of Circulation

Franch thining on economics changed. Maybe wealth wasn’t a stockpile of silver like Colbert thought. Maybe wealth circulates though a body. Laws, regulations, tariffs, subsides, and so on would get in the way of that netural circulation.

 

- [HOW OUR ECONOMY WORKS] by MICHAEL GOODWIN -

 

French agricultural economist Franisois Quesnay (4 June 1694 16 December 1774) took the first step in liberal economic thought, complementing the protectionism of commercial economist Colbert. Although mercantilism and protectionism are acknowledged to be quite effective for the French economy, the poverty problem in France has not been solved by Louis XIV, who started the war. This point has much to suggest in that the current trend of pursuing protectionism is also pursuing war. War is just destruction and regression.

 

The modern economy has been developing by complementing and complementing, but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there is a movement to regress in the form of a cold war in which the ideological cold war has been transformed. This movement is based on generational egoism, rigid dictatorship, and hegemonis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t is urgent to find out what makes the economic cycle rigid.

 

North Korea's economy is not large. However, even if North Korea pursues a self-reliant economy, there is room for expansion if it tries to circulate internally. As mentioned before, North Korea will follow the Singapore model.

 

Like the late Qing Dynasty, the Chinese economy pursues 地大物博 (land is wide and goods are diverse). Under the leadership of President Xi Jinping, who deeply retains Mao Zedong's communist ideas, communist politics and capitalist economy are showing a separate behavior. This behavior will interfere with the global economic cycle in the long term and wide area.

 

Japan also has a capitalist economic structure, but the cycle has faced limitations as it failed to globalize and the color of protection trade strengthened. Now, it has become a system dominated by rigid thinking of the old generation rather than open thinking of the new generation, and it has become a phase of non-circulation.

 

One day, while reading Russian President Putin's autobiography, I thought that President Putin may be included in the viewpoints of the war (World War 2) as much as the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in Korea, where war trauma was succeeded through the parents' generation. Perhaps that is not just a matter for Putin. All the middle-aged and older generations of Russia will also be incorporated into the perspective of the time of war by combining the bad and glorious memories of that time. Russia has too many factors to cooperate with non-circulation. The problem of geographical isolation is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Korean politics has focused on circulation through globalization and trade, but sometimes, under the pretext of conservative politics, non-cyclical political attitudes have emerged and are resisted and withdrawn.

 

There is still a movement to seek a solution to the problem through ideological bisection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but it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merican-style capitalism is not necessarily right, but communism has naturally been confirmed as an unreasonable ideology. The important thing is to circulate. This is because the speed of the cycle is the size of the economy. In this respect, the capitalist economic ideology is a basic ideology.

 

새로운 냉전과 순환의 방해

Franch thining on economics changed. Maybe wealth wasn’t a stockpile of silver like Colbert thought. Maybe wealth circulates though a body. Laws, regulations, tariffs, subsides, and so on would get in the way of that netural circulation.

 

- [HOW OUR ECONOMY WORKS] BY MICHAEL GOODWIN -

 

프랑스의 중농주의 경제학자 프랑소와 케네(François Quesnay, 169464~ 17741216) 는 중상주의 경제학자인 콜베르(Colbert)의 보호무역주의 경제사상을 보완하면서 자유방임주의 경제사상의 첫 발을 디뎠다. 중상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프랑스 경제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인정하지만 전쟁을 일으킨 루이 14세에 의해서 프랑스의 빈곤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이 점은 보호무역주의를 추구하는 요즘 추세가 전쟁을 추구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전쟁은 그냥 파괴와 퇴보일 뿐이다.

 

현대경제는 보완에 보완을 거듭하면서 발전해 오고 있지만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이념적인 냉전이 변형된 냉전의 형태로 다시 퇴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세대이기주의, 경직된 독재, 패권주의 등이 바탕이 된 것이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경제의 순환을 경직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문제가 시급하다.

 

북한의 경제규모는 크지 않지만 자립경제를 추구할 지라도 내부에서 순환을 시킬려고 노력하면 얼마든지 확장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저번에도 언급했지만 싱가포르 모델을 따르면 될 것이다.

 

중국경제는 청나라 말기처럼 지대물박(地大物博/땅은 넓고 물건도 다양하다)을 추구한다. 마오쩌뚱의 공산주의 사상을 깊이 간직한 시진핑 주석의 주도아래 공산주의 정치와 자본주의 경제가 분리된 행태를 보이고 있는데, 장기적이고 광역적으로 세계경제의 순환을 방해할 것이다.

 

한 때 일본도 자본주의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세계화에 실패하고 보호무역의 색채가 강해지면서 순환이 한계에 부딪힌 적이 있다. 지금은 신세대의 개방적인 사고보다 구세대의 경직된 사고가 지배하는 체제가 되면서 비 순환으로 전락하는 국면을 맞이했다.

 

어느 날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자서전을 읽다가 부모세대를 통하여 전쟁 트라우마가 승계된 한국의 중장년 이상 세대만큼 전쟁(2차대전)때의 관점에 많이 포섭되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 푸틴 대통령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러시아 중장년 이상의 세대들도 모두 그 시절의 나쁜 기억과 영광된 기억들이 복합되어 전쟁시점의 관점에 포섭되어 있을 것이다. 러시아는 비 순환에 협조하는 요인들이 너무 크다. 지리적인 고립문제는 차후에 집중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다.

 

한국정치는 세계화와 무역 등을 통해 순환에 집중해 왔지만 가끔 보수정치라는 명분아래 비 순환적인 정치적 태도가 생겼다가 저항을 받고 물러나곤 한다.

 

아직도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이념적인 양분론으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는 움직임도 있지만 다른 관점으로 생각해 봐야 한다. 미국식 자본주의가 반드시 옳은 것도 아니지만 공산주의는 당연히 문제가 큰 것으로 공인되었다. 중요한 것은 순환(circulation)을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순환의 속도가 경제규모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 자본주의 경제구조는 기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