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9년 7월 26일 금요일

Abe's egocentricity (아베의 아집)

Twelve years ago, the start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was decided in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 on that day, TV news showed a mood of self-congratulation as the president-elect and his aides drank instant coffee. However, there was no desire for power to start a business. Something about the atmosphere of the beginning was frivolous and shallow, so it was assumed that they could not handle much work. In the short term, for the sake of unification or for prosperity in the long run, there seemed no intention of discussing unification 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outh and North Korean issues don’t seem to be getting anywhere fast. That is why those in power with narrow views are a difficult problem to handle.


A few days ago, Masatoshi Muto, Japan’s former ambassador to South Korea, told the JoongAng Ilbo that South Korea’s current president is the worst president to think only about North Korea. Sure. The current president of Korea is the worst Korean president for Japan, and Masatoshi Muto was a Japanese patriot. Unlike previous president,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better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an with Japan. That is an intolerable problem for Ambassador Muto and Japanese politicians. Until now, Japan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good thing.


In the last article, Abe and the Japanese people are aging seriously, which is why Japan’s policy toward Korea shows a regressive tre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r the aged ruling party has problems.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he was able to handle the difficulties of starting a business, although he had problems with pro-Japanese activities and dictatorships. He was utilitarian at first. And he was fully aware of the potential causality in reality and the environment. But the period was short. Later, it showed the regressive nature of long-term power. Mannerism blurs judgment. U.S. President Reagan, who became president at the age of old, did well in politics because he was beginner.


Abe has been in power for too long. The same is true of the LPD. The world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lations between countries are much intertwined. Not only geographical territory is important, but technical or cultural territory is also important. But the elderly in Japanese politics don’t know that. Even Ambassador Muto doesn’t know that. Older people don’t make the world difficult, old people’s egocentricity make the world difficult. Japan’s younger generation or opposition parties should seriously judge the issue. Otherwise, Japan’s long-term outlook is very bad. Of course, Muto and Abe are patriots. But They an old man. 



 
십이년전에 한국의 대통령선거에서 보수정부의 시작이 결정된 날, 대통령 당선인과 측근들이 일회용 커피를 마시면서 자축하는 분위기가 TV뉴스에 방영되었는데, 창업하는 권력의 의욕이 보이지 않았다. 뭔가 시작의 분위기가 경망스럽고 얄팍한 권력이 많은 일거리를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평화를 위해서, 장기적으로는 번영을 위해서 통일이나 아니면 적어도 북한과의 협력에 관해서 논의해야 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남북한 문제는 성과가 급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다. 시야가 좁은 권력은 감당하기 힘든 문제다.


몇일전 일본의 무토 마사토시 전 주한일본대사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현 대통령이 북한 문제외에는 생각하는 바 없는 최악의 대통령이라고 폄하하였다. 물론이다. 일본에게는 최악의 한국 대통령이고, 무토 마사토시는 일본의 애국자였다. 한국의 문재인대통령은 이전 대통령과는 달리 일본보다는 북한과 사이가 좋은 것이 무토대사를 비롯한 일본의 정치권에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다. 그 동안 일본은 한반도의 분단상황을 좋아했다.


지난 글에서 아베와 일본국민들의 노령화가 심각한 것이 일본의 대한국정책에서 퇴행성을 보여주는 이유라고 서술했다. 보수정부와 노령의 집권자가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박정희 전 대통령은 친일과 민주주의발전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창업의 어려움은 충분히 감당하고 있었다. 그는 처음에는 공리적이었다. 그리고 현실과 환경속에 잠재해 있는 인과관계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다. 다만 그 기간이 오래 가지 않았다. 나중에 장기권력의 퇴행성을 보여주었는데, 매너리즘은 판단력을 흐리게 만든다. 노령의 나이에 대통령이 된 미국의 레이건이 정치를 잘 한 이유는 초심의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베수상은 너무 오래 권력을 갖고 있었다. 자민당도 마찬가지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전 세계는 옛날과 같지 않다. 국가와 국가간의 관계는 많이 얽혀 있다. 지리적 영토만 중요한 것이 아니고 기술적 영토나 문화적 영토도 중요하다. 하지만 일본의 정계에 포진해있는 노인들은 그걸 모른다. 무토 마사토시도 그걸 모른다. 노인이 세상을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고 노인의 아집이 세상을 힘들게 한다. 일본의 젊은 세대나 야권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판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일본의 장기전망은 없다. 물론 무토 마사토시도 아베 수상도 국민을 사랑하는 애국자다. 그러나 옛날 노인이다.




2019년 7월 19일 금요일

A warrior and a gangster(무사와 깡패)

When I was in high school, I read a lot of current affairs magazines without studying. At that time, I knew that there were many a highly educated gangsters in Korea. Especially, I remember an article that I enjoyed reading. Military generals and politicians had a drinking party together. The army brigadier general punched the opposition leader at the drinking party. And there was' a piece of pottery' incident where I was too ashamed to describe the content. It was fun, but it was a pathetic scene even in the eyes of a high school student. These days, a high-ranking prosecutor in his 50s was sentenced to prison for a young female prosecutor’s untouchable campaign. It could be seen as an incident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protested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who are power-oriented and faithful to the logic of power without social philosophy.    


In my early years in society, I once managed a company with about 40 highly educated employees. Middle-aged people were different from young people. First, they had a strong power-oriented nature and looked at all the problems from a conflict-based perspective. Second, treat young people or the weak with high pressure. Third, They received a lot of education but there was no education on social philosophy. When I mentioned the subject, I blamed myself for the gloom of the world.


After that, I thought the problem was serious when I looked around religious when I looked around religious groups, special military groups, and industrial sites. The political atmosphere, the pinnacle of the nation, was so, let alone the social atmosphere. South Korea has a younger generation resisting such problems, but Japan does not. That is why Japan is increasingly backward.



Japanese people think self-discipline is important. There was a warrior, Miyamoto Musashi, respected by Japanese who were familiar with the spirit of a warrior. It is said that it is not the best ability. However, he has a record that he has never lost. It is said that he fought only against an opponent that he could win. That’s right. only the weak are beaten. There is a sense of equality in the world that cares for the weak. However, Japanese history and philosophy teach that it is not a shame to submit unconditionally to a strong person. I once practiced martial arts training to improve my physical strength and concentration. In the meantime, I despised martial artists who bragged about their religious views. I trained for a moment in martial arts by practical needs. I couldn’t understand that fighting became a philosophy.


In the United States technical and traditional methods of self-discipline are relatively undeveloped. The American assumption is that a man, having sized up what is possible in his personal life, will discipline himself, if that is necessary, to attain a chosen goal. Whether he does or not, depends on his ambition, or his ‘instinct of workmanship,’as Veblen called it. He may accept a Stoic regime in other to play on a football team, or give up all relaxations to train himself as a musician, or to make a success of his business. He may eschew evil and frivolity because of his conscience. But in the United States self-discipline itself, as a technical training, is not a thing to learn like arithmetic quite apart from its application in a particular instance.

-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by Ruth F Benedict -


Self-discipline by the Japanese is a roundabout calculation that does not take it off but becomes superior to others. If you think about it, you can see why Japan has a strong vertical power relationship and is closed compared to the U.S. an open democracy. The efforts of the Japanese are focused not on getting better, but on competition to beat others. So, it is not a pioneer spirit, but an invasive spirit. There are also people with such ideas in Korea who experienced Japanese colonization. Such remnants must be settled quickly.


As mentioned a few times, it is clear that the North Korean socity is behind closed-door or nuclear armament as a defence against Japan’s bad philosophy of state. Young people in Japan should be able to resist the bad philosophy of the older generation like Korea. As long as Japan’s older generations hand over their negative legacy to their younger generation, Japan’s revival will be difficult. 

고등학교시절에 공부는 안하고 시사 잡지를 많이 읽었는데, 그때 한국에 배울 만큼 배운 깡패가 많다는 사실을 알았다. 특히 재미있었던 기사 한 가지는 군 장성과 정치인들이 함께 술자리를 했는데, 패기 넘치는 초급 장군이 야당 총재를 주먹으로 두들겨 팬 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내용을 차마 서술할 수 없는 사금파리 사건 등이 있었다. 재미는 있었지만 고등학생의 관점으로 무척 한심했다. 요즘에 젊은 여검사의 미투 운동으로 50대의 고위급 검사가 징역 판결을 받은 사실이 있는데, 철학이 없이 수직적 권력관계나 힘의 논리에 충실했던 과거 세대에게 젊은 세대가 항의한 사건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 학력이 좋은 직원 40명 정도가 있는 업체를 관리한 적이 있는데, 중년이 된 직원들은 젊은 세대와 많이 달랐다. 첫째, 권력 지향적 성격이 강해 모든 문제를 갈등론적인 관점으로 보았다. 두 번째, 어린 사람들이나 여성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고압적으로 대한다. 세 번째 교육은 많이 받았으되 사회철학에 관한 교육이 없었다. 그 문제를 거론하면 세상 물정에 어두운 나를 탓했다.

그 이후로 종교단체, 특수군인단체, 산업현장을 돌아보며 문제가 좀 심각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국가의 정점인 정치적 분위기가 그랬으니 사회분위기는 말할 것도 없었다. 요즘 일본을 생각하면 한국에는 그런 문제를 인식하고 저항하는 젊은 세대가 있지만 일본에는 그런 젊은 세대가 없음이 일본을 점점 퇴행 시키고 있다는 생각이다.

일본인들은 자기 수양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무사도정신에 익숙한 일본인들이 신처럼 떠받드는 미야모토 무사시라는 무사가 있었다. 실력으로는 3단이기는 강하고 4단이기는 약하다는 평이다. 그러나 무패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자기가 이길 수 있는 상대하고만 싸웠다고 한다. 그렇다 만만한 놈에게만 싸움을 거는 것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에게는 약자에 대한 배려와 강자에 대한 저항정신이 기반이 된 평등의식이 일반적으로 내재해 있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와 철학은 강자에게 무조건 복종함으로써 생명을 보존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교육하고 있다. 나도 체력과 집중력을 키우기 위해 무예훈련을 아주 잠깐 한 적이 있다. 그 와중에 종교적인 관점을 가지고 뽐내는 무예인들이 있으면 경멸했다. 나는 실용적인 필요에 의해서 잠시 스쳐가는 과정이었을 뿐이었다. 싸움이 철학이 된다는 점이 이해가 안 갔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자기 수양의 방법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다. 미국인들은 자신의 일생에서 무엇이 가능할지 추측이 되면, 선택된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하다면 자신을 단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야망이나 양심, 혹은 베블린이 말한 공장 본능’(솜씨나 기량을 보이고 싶어하는 본능, 장인 본능)에 기대어서든 아니든 말이다. 그는 풋볼 팀에서 활약하기 위해 금욕 기간을 받아들일 수 있고, 음악가로서 훈련하기 위해 혹은 사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 모든 휴식을 포기할 수도 있다. 그는 양심을 위해 악행과 망동을 거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 자기 수양 그 자체는 기술훈련으로서, 산수(算數)처럼 특정 상황에서의 적용과 동떨어져 배우는 것이 아니다.

- [국화와 칼] by 루스베네딕트 -


어떻게 보면 일본인들의 자기 수양방식은 덜어내고자 하는목적이 아닌 극한 의지를 발휘해서 타인의 우위에 서고자 하는 우회적 계산법이 작용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생각해 보면 발달된 민주주의 국가이며 개방사회인 미국에 비해 내면적으로 수직적 권력관계가 강하고 폐쇄사회인 일본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일본인들의 노력더 나아지고자 하는목적이 아니고 남을 이기고자 하는상대적인 경쟁심에 집중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개척자 정신보다는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내부 지향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를 경험한 한국내에서 오랫동안 그런 사회적 분위기를 지속하고 있었고, 아직도 그 잔당이 남아 일본의 결점에 대해 순응하는 것을 보며 빨리 청산해야 할 잔재라는 생각이 든다.

몇 번 언급했지만 북한 사회가 폐쇄성을 가지고 핵무장까지 하게 된 배경은 일본의 불안정한 국가철학에 대한 방어작용임은 명백한 사실이다. 일본 내에서도 젊은 세대들은 기성세대들의 전 근대적인 사회철학이나 국가철학에 저항하는 분위기가 되어야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데, 기성세대는 정치적 분위기와 국가시스템, 교육을 통해 신세대들의 정신을 그대로 순응하게 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일 것이다. 일본의 기성세대들이 일본의 젊은 세대들에게 부정적인 유산을 넘겨주는 한 일본의 회생은 어려울 것이다.

2019년 7월 11일 목요일

An old-weak nation, Negative nation(노쇄국가 음성적국가)

When you get older, the problem you will be afraid of is that negative minds overwhelm positive ones. Maybe it’s because you’re frustrated with your otherwise slow biorhythm or perhap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nostalgia for the splendid past and the shabby reality. I’ve been seeing people of all ages for a long time. I realized that everyone needed to develop a new field and cultivate their inner world with a positive and altruistic mind. Otherwise, i’m sure the negative mind and the old mind will make you and your surroundings very difficult.

Japan’s Abe cabinet, which launched a trade war against South Korea, will be a case in point to show Japan’s negative side of its aging population. Whether Tokyo has a past imperial delusion to use its hostility toward the outside world to win votes in the upcoming upper house elections, or attempts to establish a pro-Japanese government by crush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all is evidence that Japan is an old-weak nation. Or, Japan seems to have anxiety that the upcoming cooperation between Seoul and Pyongyang will greatly dampen Japan.


Japan is a country that wants to go in a small and inner direction, a Korean scholar(Lee Eu-ryeong) once criticized, and so is the case. Japan is a country that has not been democratized internally,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rticles. Politicians like Abe use such weaknesses of the Japanese as a political tool by instigating them religiously and ideologically. That is proof that Japan is a old-weak state and a minus state.


China is also turning neighboring countries into debt colonies through its new Silk Road policy. Like Japan, it is a minus-state. The Japanese media and Hongkong’s citizens also try to rebel against the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owever, believes that citizens of old age society are gaining energy by reflecting on the imperial era in the past. The Chinese government seems to be well aware of the limitations of its people, who are revolutionaries but have no democratic experience. The Chinese government will try to eliminate the people’s desire for democracy from the ground up. So take an expansionist policy.


In the longer term, South Korea is the most democratic and benign country in North-east Asia and has a future. North Korea is a young country that predicts openness and rapid development. Unlike Japan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the global economy and peace.    

나이 들면 두려워해야 할 문제는 부정적 마음이 긍정적인 마음을 압도하기 시작하는 점일 것이다. 아마 그것은 마음과는 다르게 느려지는 생체리듬에 좌절을 느낀 탓도 있을 것이고, 화려했던 지난날에 대한 향수와 초라해진 현실과의 괴리감의 문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각 연령층의 사람들을 만나 본 결과,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찾아 나서고 긍정적이고 이타적인 마음으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양성화 시키지 않으면 음성적인 늙은 마음은 자신과 주변을 많이 어둡게 할 것임을 확인했다.

한국과 무역전쟁을 일으킨 일본 아베내각은 노화된 일본의 부정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일 것 같다. 일본 정부가 다가오는 참의원 선거에서 외부에 대한 적대감을 이용해 국민들의 표를 집권당으로 집중시키고자 하는 과거 제국주의적 망상을 갖고 있든지 아니면 한국 정부의 경제정책을 무너뜨려 친일 정부를 만들고자 하든지 하는 시도는 지극히 과거 지향적인 노인정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어쩌면 앞으로 있을 남한과 북한의 협력관계가 일본을 매우 위축 시킬 것이라는 불안감의 사전적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본을 축소지향적인 성질을 갖은 국가라는 한국 학자(이어령)의 비판이 과거부터 있었지만 일본은 과거 지향적이고 내적으로 응축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한 음성국가이다. 저번 글에서도 지적했지만 일본이 내면적으로 민주화되지 못하고, 아베와 같은 정치인은 일본인의 그런 약점을 종교적이고 이념적인 선동으로 정치권력의 도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데, 그런 의도는 일본이 확실하게 노쇄한 국가이며 음성(마이너스)국가로 존재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국이 일대일로 정책으로 주변 국가들을 채무의 덫으로 옭아 맨 음성적 결론이나 일본의 끊임없는 한국 괴롭히기 정책들의 이면에는 자국내에서 민주적이고 양성적인 정치를 만들어내지 못한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 간혹 일본의 언론들이나 홍콩의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에 반항을 해보기도 하지만 일본 정부는 노령사회의 국민들이 아직도 과거 제국주의 시절의 전성기를 그리워하며 그 추억에서 힘을 얻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혁명은 있었으되 민주화된 사회는 가져 보지 못한 국민들의 한계를 잘 알고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근본부터 제거하고자 할 것이다. 그래서 역시 팽창주의 정책이다.


좀 더 장기적인 전망을 생각하면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민주화된 양성적인 한국이나 앞으로 개방과 급속한 발전을 전망하고 있는 젊은 국가인 북한은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세계 각국의 경제와 평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2019년 7월 6일 토요일

Pro-Japanese and anti-Communist(친일과 반공)

Many conservatives in Korea are very close to Japan and very anti-Communist. It is a product of classism ideas. They hate an equal society. They don’t think an equal society is a democratic one, but a communist one. They have a wrong ideological perspective that has long been imprinted on them while living in the Cold War era.

They think they belong to the upper class because they have a vested interest. So they think they are superior. Of course, they recognize individuals or groups that are superior to them. So they adore the strong. And they persecute the weak. They take such behavior for granted.
  
Look at the people around you. He who flatter the strong is always cold-blooded to the weak. They think of the world as a jungle where the strong eat the weak. They are less civilized. They generally lack reading and cultural ability. According to my experience, when you collide with such people, you may be good treated unexpectedly if you react harshly and react strongly. That's why they becomes pro-Japanese.

In addition, faith-like beliefs focus on only one thing. It is difficult to hold two beliefs in one bowl. The enemy’s enemy is a friendly. For example, if you hate socialist ideas, you will believe in ideas that are opposite to those of socialism. It’s clear that you like it and hate it. The opposite is the same. There is a human nature that tries to take an easy and comfortable path rather than reasoning and thinking the situation. Such a case is like a case of a madman in a religion with no philosophy. When you get older, it happens even more because you are annoyed to think.

한국에서 보수주의자들 중에는 매우 친일하고 매우 반공하는 자가 많다. 그것은 계급주의 사상의 산물이다. 그들은 평등한 세상을 싫어한다. 그들은 평등한 사회는 민주주의 사회라고 생각하지 않고 공산주의 사회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오랫동안 냉전 시대를 살아오면서 각인된 잘못된 이념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층의 계급에 속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들은 자신들보다 우월한 사람이나 집단을 인정한다. 그래서 강한 자를 흠모한다. 그리고 약한 자를 핍박한다. 그들은 그런 행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주변 지인들을 살펴보라. 강한 자에게 아부하는 자는 반드시 약한 자에게 냉혹하다. 그들은 세상을 갈등관계로 해석한다. 그들은 세상을 약육강식의 정글로 생각한다. 그들은 문명화가 덜 되어 있다. 그들은 대체로 독서와 교양이 부족하다. 내 경험으로는, 그런 사람들과 충돌하는 일이 있으면 모질고 강하게 반응하면 의외로 대접받는 경우가 있다. 그들이 친일하는 경우는 그런 이유다.

게다가 신앙과 같은 믿음은 한 가지만 집중하게 된다. 한 그릇에 두 가지 믿음을 담기 힘들다. 적군의 적은 우군이다. 예를 들면, 자신이 사회주의 사상을 싫어하는데 그 사회주의 사상을 싫어하는 사상이 있다면 그것은 자신의 사상이 된다. 좋고 싫음이 분명해진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이치를 따지고 상황을 생각하기보다는 쉽고 편한 길을 갈려는 인간의 속성이 작용한다. 그런 경우는 철학이 없는 종교에 미친 사람처럼 몰두하는 경우와 같다. 나이가 들면 생각하기를 귀찮아하기 때문에 더욱 그런 현상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