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The natural law of the Constitution

In my youth, I argued about Japan's aggression on the website of Mensa. I am not a member of Mensa. A parent said that it is understandable considering Japan's natural conditions such as earthquakes. The parents tried to make me aware of the logic of understanding and relativity. But he wasn't talking about the minimum that humans should keep.

 

Natural law refers to the absolute ethics that humans must abide by, no matter how the times and environments change. Violations of natural law are acts that destroy human society, and the concept of forgiveness and amnesty does not intervene in such acts. However, natural laws are often violated because actions between states are dominated by the logic of power that has no control other than conscience and morality. And for the weak, whose natural legal rights have been violated, it remains forever as a counterattack(kings wrath).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D%97%8C%EB%B2%95%ED%95%99%EC%9E%90


In the early days of modern German law, positivist constitutional scholars such as Hans Kelsen and Georg Jellinek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constitutional academia related to the political paradigm. For this reason, justification is given as long as it is made into a positive law, resulting in neglect of natural law. Later, constitutional scholar Carl Schmitt advocated the deterministic constitutional study that the decisive will of the powerful is unconditionally correct. Decisive constitutionalism affects Nazism along with positivist constitutionalism.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bad laws should be followed.

 

Later in Germany, there was criticism of formal rule of law centered on actual law as a reflection on Nazism's human rights abuses. And the legal principle of human-centered practical rule of law emerged, creating human-centered legal logic. However, since German law was inherited by Japanese law and Korean law was inherited by Japanese law, Japan and Korea have a conservative attitude that does not comply with German changes in human rights or natural law issues.

 

In fact, legal personnel located in Korea's political area are talented people who embody the legal sentiment of Karl Schmidt and legal positivists. During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 legalist constitutional scholar like Hans Kelsen named Park Il-kyung created the Yushin Constitution. And for quite a while, Carl Schmidt's deterministic constitutional studies have become a trend in the Korean legal community. Therefore, I think that the idea of human rights or natural laws has been neglected.

 

In reality, there are many things that should not be done in international relations. Japan's invasion of Korea, Russia's invasion of Ukraine, China's expansionism, and even more ancient European imperialist aggression policies. It is also a state act that should never be made a choice, but it is a fundamental unethical act that violates natural laws that have no concept of forgiveness.

 

 

헌법속의 자연법

청년기에 멘사 홈페이지에서 일본의 침략성에 관하여 논쟁한 적이 있다. 나는 멘사회원이 아니다. 어느 학부모가 지진과 같은 일본의 자연적 여건을 생각하면 이해가는 일이라고 했다. 그 학부모는 이해심과 상대성의 논리를 나에게 인식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인간이 지켜야 할 최소한에 대하여는 말하지 않고 있었다.

 

자연법이라는 것은 시대와 환경이 아무리 변하여도 인간으로서 지켜야 하는 절대적인 윤리를 말한다. 자연법을 어긴 행위는 인간 사회를 파괴하는 행위이며 그런 행위에는 용서와 사면이라는 개념이 개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가 간의 행위는 양심과 도덕 외에는 통제할 길이 없는 힘의 논리가 지배하기 때문에 자연법이 침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침해당한 약자에게는 역린으로서 영원히 남는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D%97%8C%EB%B2%95%ED%95%99%EC%9E%90 


근대 독일법의 초기에는 한스 켈젠(Hans Kelsen)이나 옐리네크(Georg Jellinek) 같은 실증주의 헌법학자들이 정치적인 파라다임과 관련된 헌법학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 때문에 실정법으로 만들어지기만 하면 정당함이 부여되다 보니 자연법에 소홀해지는 결과가 생겼다. 훗날 헌법학자 칼 슈미트(Carl Schmitt)의 권력자의 결단적 의지는 무조건 옳다는 결단적 헌법관과 더불어 나찌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말하자면 악법도 지켜야 한다는 의미다.

 

훗날 독일에서는 나찌즘의 인권유린에 대한 반성으로 실정법 중심의 형식적 법치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고, 인간 중심의 실질적 법치주의라는 법학원리가 등장하게 되어 인간 중심의 법학논리를 만들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법을 일본이 계수 받고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계수 받았기 때문에 일본이나 한국은 인권이나 자연법 문제에 대해서 독일의 변화에 따르지 못하는 보수적인 태도를 지니게 된다.

 

사실 한국의 정치권에 자리 잡고 있는 법조 인력들은 칼 슈미트와 그 이전의 법학 정서를 온 몸에 체화시킨 인재들이다. 박정희 정부 때는 박일경 이라는 법실증주의 헌법학자가 유신헌법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후에 꽤 오랫동안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 헌법학이 한국 법학계의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인권이나 자연법에 대한 생각은 소홀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현실적으로 국제관계에서 있어서는 안 될 일들이 많이 생긴다. 일본의 한국 침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팽창주의, 더 옛날로 돌아가면 유럽의 제국주의 침략정책 같은 것이다. 절대 선택을 하지 말아야 할 국가행위이기도 하지만 용서한다는 개념도 없는 자연법을 어긴 근본적 비윤리 행위이다.

 

 

 

2023년 3월 13일 월요일

From Third World To First / Real Estate

Prime Minister Lee Kuan Yew's autobiography, which has developed Singapore into Asia's best country while serving as Singapore's prime minister for a long time, is titled [From Third World To First]. Prime Minister Lee Kuan Yew had politics independent of ideology. He also advised Vietnam's Secretary-General Do Muoy on how to convert a socialist country such as Vietnam into a capitalist state. And he made Singapore's economy healthy by implementing a non-capitalist real estate policy with the principle of one household and one house.

 


I found something surprising while driving a neighborhood bu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Residents' pride in the number of apartments they live in was great, and many people worked desperately in shabby clothes to pay off their apartment loans. Three years ago, I joked and advised passengers who were close to me to move to a neat local city where I am located and live leisurely with the remaining real estate prices because the real estate bubble is about to collapse like Japan. Then the answer came back that they could not live in a place without jobs.

 

 

Korea's real estate problem (Japan and China also have serious real estate problems, and the U.S. also suffered a great shock from the Lehman Brothers incident around 2008) is the number one factor in moving from a first-class country to a third-class country. All industrial demand was concentrated on real estate, and the development of other fields was stagnant,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local area was not achieved, intensif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Perhaps the biggest reason why Korea has become a low birth rate country is real estate prices. Individuals cannot afford to raise their children because they have poured all their economic resources into real estate. Also, the state and society have poured all their economic resources into real estate, so the state and society cannot afford to support citizens. The reason why Singapore and Germany's economies are solid is that the government has prevented the country's human and economic resources from being concentrated on real estate. In Germany, real estate is also treated as a "public asset" to the extent that the majority of residents live in rental apartments. It will not be easy in Korea because of ideological logic.

 

 

Leaders should not be swayed by ideological support from the people, and should pursue pragmatic policies with clear goals for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Singapore's politics is worth referencing to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uth Korea will have to find a way to convert to a more public form in Singapore, and North Korea will have to find a way to convert to a much more private form in Singapore.

 

 

 

 

일류국가의 길( From Third World To First ) / 부동산

오랫동안 싱가포르 총리로서 재직하면서 싱가포르를 아시아 최고의 국가로 발전시킨 리콴유(Lee Kuan Yew) 총리의 자서전 제목이 [일류국가의 길]이다. 리콴유 총리는 이념으로부터 독립된 정치를 하였다. 그는 베트남 같은 사회주의 국가를 자본주의 국가로 전환하는 방법을 베트남의 도무오이 서기장에게 조언하기도 하였으며 싱가포르는 1가구 1주택을 원칙으로 하는 비자본주의적인 부동산 정책을 펴서 싱가포르의 경제를 건강하게 만들었다.

 

한국의 수도권에서 근린버스 운전을 하면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거주하는 아파트 평수에 대한 주민들의 자부심은 대단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 융자금을 갚기 위해 소박한(?) 옷을 입고 결사적으로 일을 했다. 3년 전에는 친하게 지내는 승객들에게 한국도 일본과 같은 부동산 버블을 겪을지 모르니 내가 터를 잡고 있는 깔끔한 지방 도시로 이사를 가서 남은 부동산 가격으로 여유롭게 생활하라고 농담 겸 조언을 했다. 그랬더니 일자리가 없는 곳에서 살 수는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한국의 부동산 문제( 일본과 중국도 마찬가지다. 미국도 2008년경 리먼부라더스 사태로 큰 충격을 겪은 적이 있다 )는 이념과 전통이 어우러져 1류 국가에서 제 3세계로 향하게 하는 제 1의 요인이 되고 있다. 모든 산업수요는 부동산에 집중되어 다른 분야의 발전이 정체되었으며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인구의 수도권 편중현상이 심화되었다. 아마 한국이 저출산 국가가 된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가격일 것이다. 개인의 모든 경제자원을 부동산에 쏟아 부어 아이를 양육할 여유가 없으며 국가와 사회도 모든 경제자원을 부동산에 쏟아 부어 시민들을 부양할 여유가 없어지는 것이다. 싱가포르와 독일의 경제가 탄탄한 이유는 국가의 인적, 경제적 자원이 부동산에 쏠림을 방지한 원인이 있다. 독일도 대다수의 주민들이 임대아파트에서 생활할 정도로 부동산은 공적 자산으로 대접 받는다. 한국에서는 이념논리 때문에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이념화된 국민들의 지지에 끌려 다니지도 않으면서 국가 발전의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실용주의 정책을 펴고 있는 싱가포르의 정치는 한국과 북한이 참조할 만한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은 좀 더 공적인 형태로. 북한은 많이 사적인 형태로 전향할 수 있는 길을 싱가포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2023년 3월 6일 월요일

An error in conservative government policy

Conservative political sentiment is expanding around the world as the new Cold War intensifies. Human psychology is path depend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state is relativistic, so conservative political psychology is deepening. There will be a day when it will stop due to necessity, but it will be after a lot of sacrifices.

 

South Korea is no exception, bringing up the anti-communist issue again, and North Korea says it will strengthen its ideological armament. In particular, Korea's ruling party has come up with conservative economic policies without deep consideration, which is thought to have made blind and ideological judgments that do not fit the present time.

 

1) About tax cuts for the rich.

 

First of all, this argument implicitly assumes that employers will hire additional workers if they can afford it. But just because someone can afford to do something doesn't necessarily mean they do it. For example, you don't buy CDs of singers you don't like just because you can afford them.

 

- [The Darwin Economy] by Robert Frank -

 

One might say my ideological bias is that I quoted a leftist book. But if I hadn't had objective and neutral thinking, I would have sat on the sidelines to make automatic adjustments in the bad future.

 

I have described the problems of tax cuts for the rich a long time ago. I once mentioned the fact that President Reagan of the United States failed to implement anti-communist ideology and tax cuts on the rich in a set and why. Since the marginal consumption tendency of non-rich people is greater, the policy of supporting the poor has a much greater growth effect when considering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0%88%EC%9D%B4%EA%B1%B4


2) Problems with working hours

 

A long time ago, there was a time when workers worked hard and wanted to buy color TV and refrigerators. Workers endured the pain of work by comparing economic income and the pain of work. These days, Korean workers try to work hard for a long time with all their might or never do such thing. Therefore, I think that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want to work hard with the determination to die. And this issue will have the biggest political repercussions. It is likely to be the main culprit to show a bad evaluation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in the future.

 

The sector that will most benefit from long-term work is the manufacturing sector, which has long been suffering from severe job shortages due to the long-term effects of harsh working conditions and low wages. Limiting working hours to 52 hours a week lowered the turnover rate, which was beneficial to companies in the long run. I have worked in manufacturing for a long time myself, and most of the workers avoided working long hours.

 

The bus industry, which is not a manufacturing industry but was conservative compared to other sectors, has begun to be shunned by workers due to long hours of work and low wages. There will be confusion due to the lack of bus drivers for a long time in the future. Although Korean buses are public goods, they are privatized, so even management owners do not make profits, so the burden of profits was passed on to bus drivers, and working conditions were very severe.

 

3) a low birth problem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experienced low birth rates, but Korea has a faster and steeper birth rate. There are reasons for this that the social structure is vertical, competitive, and unhealthy.

 

In other words, Korean society is vertically career-oriented, neighbors and classmates are rivals, and healthy workers are neglected. And everyone is treated dearly if they invest in real estate and live rich. So Korea is becoming hell. It is not a social system to actively encourage growing children. Moreover, the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is not a good environment to raise children. I know the issu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ell because I have suffered myself. I think it is the most annoying problem at the bottom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We should not distinguish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but strive for prosperity. Ideology and political strife cost a lot of opportunity.

 

한국의 보수정부 정책의 오류

신 냉전이 격화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수적인 정치심리가 팽창하는 중이다. 인간의 심리는 경로 의존성이 있고 국가와 국가의 관계는 상대성이 있어서 보수적인 정치심리는 점점 깊어지는 중이다. 필요에 의해서 멈출 날이 있겠지만 많은 희생을 치루고 난 후의 일일 것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라서 반공 이슈를 다시 꺼내들고 북한 역시 사상무장을 강화하겠다고 한다. 특히 한국의 집권당은 깊은 고려 없이 보수적인 경제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현 시점에 맞지 않는 맹목적이고 이념적인 판단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1) 부자감세 정책에 대해서

 

우선 이런 주장은 고용주가 여유가 있으면 노동자를 추가 고용할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누군가가 무언가를 할 여유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 일을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여유가 된다고 해서 싫어하는 가수의 CD를 구매하지는 않는다.

 

- [The Darwin Economy] by Robert Frank -

 

혹자는 내가 좌파적인 책을 인용했다고 나의 이념 편향성을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사고를 갖지 않았으면 안 좋은 미래에 자동조정이 되도록 방관했을 것이다.

 

나는 부자 감세정책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오래 전에 기술한 적이 있었다.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반공이념과 한 세트로 묶어서 시행했다가 실패한 사실과 그 이유도 언급한 적이 있었다. 부자가 아닌 사람들의 한계소비성향이 더 크기 때문에 국가경제 전체로 생각하면 빈자 부양정책이 훨씬 더 큰 성장효과가 있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0%88%EC%9D%B4%EA%B1%B4


2) 근로시간 문제

 

오래전 근로자들이 열심히 일해서 컬러티브이도 구입하고 냉장고도 구입하고 싶어 했던 시절이 있었다. 경제수입과 근로의 고통을 비교형량해서 근로의 고통을 감내했다. 요즘 사람들은(요즘 근로조건은) 죽을 각오로 열심히 일하거나 아니면 그런 일을 하지 않는데, 아무래도 죽을 각오로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사람은 많이 적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정치적인 반향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차후에 보수 정부에 대한 안 좋은 평가를 나타낼 주범이 될 것 같다.

 

장시간 근로로 가장 효과를 볼 분야는 제조업 분야인데, 이미 제조업 분야는 가혹한 근로조건과 낮은 임금의 장기적인 영향으로 구인난이 심각해진지 오래다. 52 시간으로 근로시간을 제한 한 것은 이직률을 낮춰서 기업에는 장기적으로 이익이 있었다. 내 자신이 제조업에서 일하면서 보니 근로자들은 대부분 장시간 근로를 기피하였다.

 

제조업은 아니지만 다른 분야에 비해서 보수적이었던 버스 업계가 장시간 근로와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들의 기피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앞으로 장기간 버스기사 구인 대란이 일어날 예정이다. 한국의 버스는 공공재임에도 불구하고 민영화 되어있어서 경영주도 수익이 나지 않는 구조이다 보니 수익에 대한 부담이 버스기사에게 전가되어 근로조건이 매우 참혹했다.

 

3) 저 출산 문제

 

많은 선진국들이 저 출산 문제를 겪었지만 한국은 저 출산 현상이 이르고 더욱 가파르다. 여기에는 사회구조가 수직적이고, 경쟁적이며, 건강하지 못하다는 원인이 있다.

 

환언하면 한국사회는 출세 지향적이며 이웃과 학우들은 경쟁 상대이고, 근로자는 천대받고 부동산에 투자하여 부우자로 살아야 사람대접 받는 지옥도가 되어 간다는 것이다.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적극 권장할 사회시스템이 아닌 것이다. 게다가 남북분단의 긴장상태도 아이들 키우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다. 남북분단 문제는 내 자신이 혼쭐이 나봤기 때문에 잘 안다. 남북한 국민들의 의식의 저층에서 가장 괴롭히는 문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보수와 진보를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번영을 위해서 힘써야 한다. 이념과 정쟁은 많은 기회비용을 지불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