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3년 12월 30일 월요일

한국의 이념과 윤리적 바탕


자본주의는 개인의 무한한 이익의 추구가 본질이다. 개인의 이익이 공동체의 이익으로 집합되는것으로 봐서 분명히 자본주의의 발달은 인류사회에 공헌하는 바가 컸던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자본주의 시장이 발달하기 시작할 무렵부터 많은 사상가들은 자본주의가 화폐축적수단을 이용하여 끊임없는 욕망의 함정으로 사람들을 타락시킬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마르크스의 과학적사회주의는 자본주의의 타락과 부패의 결과물이며, 타락한 자본주의에 대하여 증오심같은 감정적인 문제가 개입되어있는 감정의 산물이기도 한것 같다. 마르크스시대의 자본주의는 부패와 타락의 정점에서 많은 사람들의 공분(共憤)을 사고 있는 배경과 가난에 시달린 마르크스의 개인적인 사정이 맞아떨어진 점이 있었던듯 하다. 게다가 산업혁명이 무르익고, 과학적인 발견이 가속화됨으로 과학적인 추세가 급속도로 확장되던 시절에 영리한 마르크스는 민중의 감정과 자신의 불만, 사회적 추세를 절묘하게 결합시킬 수 있었던 인재였던듯 하다.

극도의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이 꾸준히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을 생각해 보았다. 항상 미국의 풍부한 자원과 전성기때 축적된 자본은 한국이 미국식 자본주의를 흉내낼수는 있어도 결과물은 결코 같을 수 없다는 한계를 보여주는것 같다. 게다가 미국은 다민족,다인종국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회전반적으로 '애국'과 '세계평화'을 강조하는 분위기를 사회이념으로 투입시켜서 미국식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사상적으로 보완하고 있는듯 하다.

독일의 사회학자인 베버( Max Weber 1864 ~ 1920 )는 자본주의가 급속하고 완전하게 타락할 수 있는 이념임에도 불구하고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구사회의 또 하나의 사상적 배경인 개신교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이 있다고 하였다. 종교개혁 무렵에 캘빈이 주장했던 성실,근면, 금욕으로 근면하게 재산을 축적해야 한다는 캘비니즘은 자본주의가 무한한 욕망과 개인적인 일탈로 종말을 맞이하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인간이 가장 중요하다'는 이념의 윤리적바탕을 잃어버린 과학적사회주의(공산주의)의 종말은 필연적인듯 하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서 '먼저 해결해야 할 인간중심 또는 공동체중심의 본질적인 바탕의 개선없이 '신자유주의'라는 명분으로 사회발전을 과거로 회귀시키는 추세가 생기기도 하는것 같다. 원래 신자유주의란 정부가 노를 저어주지 않고 키잡이 역할을 하는 건설적인 의도였지만 이념의 바탕이 되어줄만한 더욱 '근본적인'윤리사상이 부재(不在)하여 마르크시즘(공산주의)과 같이 부패와 일탈로 종결을 짓는 예정된 수순을 밟고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언급하기도 민망할 정도로 캘비니즘과는 안드로메다 만큼의 거리가 있던 종교적 윤리를 정치에 개입시켰던 지난 정부의 일탈은 두고 두고 후유증을 남기는것 같다. 윤리적 바탕이 없는 이념대립으로 한국사회가 63년전과 같은 과오를 되풀이 해서는 안될듯 하다. 북한의 예에서 보듯이 '인간을 생각하지 않는 이념'이란 천천히 사회공동체를 무너뜨리는 머리좋고 인내심이 많은 적군인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