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9년 7월 26일 금요일

Abe's egocentricity (아베의 아집)

Twelve years ago, the start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was decided in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 on that day, TV news showed a mood of self-congratulation as the president-elect and his aides drank instant coffee. However, there was no desire for power to start a business. Something about the atmosphere of the beginning was frivolous and shallow, so it was assumed that they could not handle much work. In the short term, for the sake of unification or for prosperity in the long run, there seemed no intention of discussing unification 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outh and North Korean issues don’t seem to be getting anywhere fast. That is why those in power with narrow views are a difficult problem to handle.


A few days ago, Masatoshi Muto, Japan’s former ambassador to South Korea, told the JoongAng Ilbo that South Korea’s current president is the worst president to think only about North Korea. Sure. The current president of Korea is the worst Korean president for Japan, and Masatoshi Muto was a Japanese patriot. Unlike previous president,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better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an with Japan. That is an intolerable problem for Ambassador Muto and Japanese politicians. Until now, Japan considered the situation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good thing.


In the last article, Abe and the Japanese people are aging seriously, which is why Japan’s policy toward Korea shows a regressive trend.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r the aged ruling party has problems.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he was able to handle the difficulties of starting a business, although he had problems with pro-Japanese activities and dictatorships. He was utilitarian at first. And he was fully aware of the potential causality in reality and the environment. But the period was short. Later, it showed the regressive nature of long-term power. Mannerism blurs judgment. U.S. President Reagan, who became president at the age of old, did well in politics because he was beginner.


Abe has been in power for too long. The same is true of the LPD. The world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lations between countries are much intertwined. Not only geographical territory is important, but technical or cultural territory is also important. But the elderly in Japanese politics don’t know that. Even Ambassador Muto doesn’t know that. Older people don’t make the world difficult, old people’s egocentricity make the world difficult. Japan’s younger generation or opposition parties should seriously judge the issue. Otherwise, Japan’s long-term outlook is very bad. Of course, Muto and Abe are patriots. But They an old man. 



 
십이년전에 한국의 대통령선거에서 보수정부의 시작이 결정된 날, 대통령 당선인과 측근들이 일회용 커피를 마시면서 자축하는 분위기가 TV뉴스에 방영되었는데, 창업하는 권력의 의욕이 보이지 않았다. 뭔가 시작의 분위기가 경망스럽고 얄팍한 권력이 많은 일거리를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평화를 위해서, 장기적으로는 번영을 위해서 통일이나 아니면 적어도 북한과의 협력에 관해서 논의해야 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남북한 문제는 성과가 급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다. 시야가 좁은 권력은 감당하기 힘든 문제다.


몇일전 일본의 무토 마사토시 전 주한일본대사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현 대통령이 북한 문제외에는 생각하는 바 없는 최악의 대통령이라고 폄하하였다. 물론이다. 일본에게는 최악의 한국 대통령이고, 무토 마사토시는 일본의 애국자였다. 한국의 문재인대통령은 이전 대통령과는 달리 일본보다는 북한과 사이가 좋은 것이 무토대사를 비롯한 일본의 정치권에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다. 그 동안 일본은 한반도의 분단상황을 좋아했다.


지난 글에서 아베와 일본국민들의 노령화가 심각한 것이 일본의 대한국정책에서 퇴행성을 보여주는 이유라고 서술했다. 보수정부와 노령의 집권자가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박정희 전 대통령은 친일과 민주주의발전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창업의 어려움은 충분히 감당하고 있었다. 그는 처음에는 공리적이었다. 그리고 현실과 환경속에 잠재해 있는 인과관계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다. 다만 그 기간이 오래 가지 않았다. 나중에 장기권력의 퇴행성을 보여주었는데, 매너리즘은 판단력을 흐리게 만든다. 노령의 나이에 대통령이 된 미국의 레이건이 정치를 잘 한 이유는 초심의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베수상은 너무 오래 권력을 갖고 있었다. 자민당도 마찬가지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전 세계는 옛날과 같지 않다. 국가와 국가간의 관계는 많이 얽혀 있다. 지리적 영토만 중요한 것이 아니고 기술적 영토나 문화적 영토도 중요하다. 하지만 일본의 정계에 포진해있는 노인들은 그걸 모른다. 무토 마사토시도 그걸 모른다. 노인이 세상을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고 노인의 아집이 세상을 힘들게 한다. 일본의 젊은 세대나 야권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판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일본의 장기전망은 없다. 물론 무토 마사토시도 아베 수상도 국민을 사랑하는 애국자다. 그러나 옛날 노인이다.




2019년 7월 19일 금요일

A warrior and a gangster(무사와 깡패)

When I was in high school, I read a lot of current affairs magazines without studying. At that time, I knew that there were many a highly educated gangsters in Korea. Especially, I remember an article that I enjoyed reading. Military generals and politicians had a drinking party together. The army brigadier general punched the opposition leader at the drinking party. And there was' a piece of pottery' incident where I was too ashamed to describe the content. It was fun, but it was a pathetic scene even in the eyes of a high school student. These days, a high-ranking prosecutor in his 50s was sentenced to prison for a young female prosecutor’s untouchable campaign. It could be seen as an incident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protested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who are power-oriented and faithful to the logic of power without social philosophy.    


In my early years in society, I once managed a company with about 40 highly educated employees. Middle-aged people were different from young people. First, they had a strong power-oriented nature and looked at all the problems from a conflict-based perspective. Second, treat young people or the weak with high pressure. Third, They received a lot of education but there was no education on social philosophy. When I mentioned the subject, I blamed myself for the gloom of the world.


After that, I thought the problem was serious when I looked around religious when I looked around religious groups, special military groups, and industrial sites. The political atmosphere, the pinnacle of the nation, was so, let alone the social atmosphere. South Korea has a younger generation resisting such problems, but Japan does not. That is why Japan is increasingly backward.



Japanese people think self-discipline is important. There was a warrior, Miyamoto Musashi, respected by Japanese who were familiar with the spirit of a warrior. It is said that it is not the best ability. However, he has a record that he has never lost. It is said that he fought only against an opponent that he could win. That’s right. only the weak are beaten. There is a sense of equality in the world that cares for the weak. However, Japanese history and philosophy teach that it is not a shame to submit unconditionally to a strong person. I once practiced martial arts training to improve my physical strength and concentration. In the meantime, I despised martial artists who bragged about their religious views. I trained for a moment in martial arts by practical needs. I couldn’t understand that fighting became a philosophy.


In the United States technical and traditional methods of self-discipline are relatively undeveloped. The American assumption is that a man, having sized up what is possible in his personal life, will discipline himself, if that is necessary, to attain a chosen goal. Whether he does or not, depends on his ambition, or his ‘instinct of workmanship,’as Veblen called it. He may accept a Stoic regime in other to play on a football team, or give up all relaxations to train himself as a musician, or to make a success of his business. He may eschew evil and frivolity because of his conscience. But in the United States self-discipline itself, as a technical training, is not a thing to learn like arithmetic quite apart from its application in a particular instance.

-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by Ruth F Benedict -


Self-discipline by the Japanese is a roundabout calculation that does not take it off but becomes superior to others. If you think about it, you can see why Japan has a strong vertical power relationship and is closed compared to the U.S. an open democracy. The efforts of the Japanese are focused not on getting better, but on competition to beat others. So, it is not a pioneer spirit, but an invasive spirit. There are also people with such ideas in Korea who experienced Japanese colonization. Such remnants must be settled quickly.


As mentioned a few times, it is clear that the North Korean socity is behind closed-door or nuclear armament as a defence against Japan’s bad philosophy of state. Young people in Japan should be able to resist the bad philosophy of the older generation like Korea. As long as Japan’s older generations hand over their negative legacy to their younger generation, Japan’s revival will be difficult. 

고등학교시절에 공부는 안하고 시사 잡지를 많이 읽었는데, 그때 한국에 배울 만큼 배운 깡패가 많다는 사실을 알았다. 특히 재미있었던 기사 한 가지는 군 장성과 정치인들이 함께 술자리를 했는데, 패기 넘치는 초급 장군이 야당 총재를 주먹으로 두들겨 팬 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내용을 차마 서술할 수 없는 사금파리 사건 등이 있었다. 재미는 있었지만 고등학생의 관점으로 무척 한심했다. 요즘에 젊은 여검사의 미투 운동으로 50대의 고위급 검사가 징역 판결을 받은 사실이 있는데, 철학이 없이 수직적 권력관계나 힘의 논리에 충실했던 과거 세대에게 젊은 세대가 항의한 사건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 학력이 좋은 직원 40명 정도가 있는 업체를 관리한 적이 있는데, 중년이 된 직원들은 젊은 세대와 많이 달랐다. 첫째, 권력 지향적 성격이 강해 모든 문제를 갈등론적인 관점으로 보았다. 두 번째, 어린 사람들이나 여성등 사회적 약자에 대해 고압적으로 대한다. 세 번째 교육은 많이 받았으되 사회철학에 관한 교육이 없었다. 그 문제를 거론하면 세상 물정에 어두운 나를 탓했다.

그 이후로 종교단체, 특수군인단체, 산업현장을 돌아보며 문제가 좀 심각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국가의 정점인 정치적 분위기가 그랬으니 사회분위기는 말할 것도 없었다. 요즘 일본을 생각하면 한국에는 그런 문제를 인식하고 저항하는 젊은 세대가 있지만 일본에는 그런 젊은 세대가 없음이 일본을 점점 퇴행 시키고 있다는 생각이다.

일본인들은 자기 수양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무사도정신에 익숙한 일본인들이 신처럼 떠받드는 미야모토 무사시라는 무사가 있었다. 실력으로는 3단이기는 강하고 4단이기는 약하다는 평이다. 그러나 무패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자기가 이길 수 있는 상대하고만 싸웠다고 한다. 그렇다 만만한 놈에게만 싸움을 거는 것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에게는 약자에 대한 배려와 강자에 대한 저항정신이 기반이 된 평등의식이 일반적으로 내재해 있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와 철학은 강자에게 무조건 복종함으로써 생명을 보존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교육하고 있다. 나도 체력과 집중력을 키우기 위해 무예훈련을 아주 잠깐 한 적이 있다. 그 와중에 종교적인 관점을 가지고 뽐내는 무예인들이 있으면 경멸했다. 나는 실용적인 필요에 의해서 잠시 스쳐가는 과정이었을 뿐이었다. 싸움이 철학이 된다는 점이 이해가 안 갔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인 자기 수양의 방법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다. 미국인들은 자신의 일생에서 무엇이 가능할지 추측이 되면, 선택된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하다면 자신을 단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야망이나 양심, 혹은 베블린이 말한 공장 본능’(솜씨나 기량을 보이고 싶어하는 본능, 장인 본능)에 기대어서든 아니든 말이다. 그는 풋볼 팀에서 활약하기 위해 금욕 기간을 받아들일 수 있고, 음악가로서 훈련하기 위해 혹은 사업적 성공을 거두기 위해 모든 휴식을 포기할 수도 있다. 그는 양심을 위해 악행과 망동을 거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 자기 수양 그 자체는 기술훈련으로서, 산수(算數)처럼 특정 상황에서의 적용과 동떨어져 배우는 것이 아니다.

- [국화와 칼] by 루스베네딕트 -


어떻게 보면 일본인들의 자기 수양방식은 덜어내고자 하는목적이 아닌 극한 의지를 발휘해서 타인의 우위에 서고자 하는 우회적 계산법이 작용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생각해 보면 발달된 민주주의 국가이며 개방사회인 미국에 비해 내면적으로 수직적 권력관계가 강하고 폐쇄사회인 일본의 차이점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일본인들의 노력더 나아지고자 하는목적이 아니고 남을 이기고자 하는상대적인 경쟁심에 집중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개척자 정신보다는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내부 지향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를 경험한 한국내에서 오랫동안 그런 사회적 분위기를 지속하고 있었고, 아직도 그 잔당이 남아 일본의 결점에 대해 순응하는 것을 보며 빨리 청산해야 할 잔재라는 생각이 든다.

몇 번 언급했지만 북한 사회가 폐쇄성을 가지고 핵무장까지 하게 된 배경은 일본의 불안정한 국가철학에 대한 방어작용임은 명백한 사실이다. 일본 내에서도 젊은 세대들은 기성세대들의 전 근대적인 사회철학이나 국가철학에 저항하는 분위기가 되어야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데, 기성세대는 정치적 분위기와 국가시스템, 교육을 통해 신세대들의 정신을 그대로 순응하게 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일 것이다. 일본의 기성세대들이 일본의 젊은 세대들에게 부정적인 유산을 넘겨주는 한 일본의 회생은 어려울 것이다.

2019년 7월 11일 목요일

An old-weak nation, Negative nation(노쇄국가 음성적국가)

When you get older, the problem you will be afraid of is that negative minds overwhelm positive ones. Maybe it’s because you’re frustrated with your otherwise slow biorhythm or perhap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nostalgia for the splendid past and the shabby reality. I’ve been seeing people of all ages for a long time. I realized that everyone needed to develop a new field and cultivate their inner world with a positive and altruistic mind. Otherwise, i’m sure the negative mind and the old mind will make you and your surroundings very difficult.

Japan’s Abe cabinet, which launched a trade war against South Korea, will be a case in point to show Japan’s negative side of its aging population. Whether Tokyo has a past imperial delusion to use its hostility toward the outside world to win votes in the upcoming upper house elections, or attempts to establish a pro-Japanese government by crush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all is evidence that Japan is an old-weak nation. Or, Japan seems to have anxiety that the upcoming cooperation between Seoul and Pyongyang will greatly dampen Japan.


Japan is a country that wants to go in a small and inner direction, a Korean scholar(Lee Eu-ryeong) once criticized, and so is the case. Japan is a country that has not been democratized internally,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rticles. Politicians like Abe use such weaknesses of the Japanese as a political tool by instigating them religiously and ideologically. That is proof that Japan is a old-weak state and a minus state.


China is also turning neighboring countries into debt colonies through its new Silk Road policy. Like Japan, it is a minus-state. The Japanese media and Hongkong’s citizens also try to rebel against the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owever, believes that citizens of old age society are gaining energy by reflecting on the imperial era in the past. The Chinese government seems to be well aware of the limitations of its people, who are revolutionaries but have no democratic experience. The Chinese government will try to eliminate the people’s desire for democracy from the ground up. So take an expansionist policy.


In the longer term, South Korea is the most democratic and benign country in North-east Asia and has a future. North Korea is a young country that predicts openness and rapid development. Unlike Japan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the global economy and peace.    

나이 들면 두려워해야 할 문제는 부정적 마음이 긍정적인 마음을 압도하기 시작하는 점일 것이다. 아마 그것은 마음과는 다르게 느려지는 생체리듬에 좌절을 느낀 탓도 있을 것이고, 화려했던 지난날에 대한 향수와 초라해진 현실과의 괴리감의 문제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각 연령층의 사람들을 만나 본 결과,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찾아 나서고 긍정적이고 이타적인 마음으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양성화 시키지 않으면 음성적인 늙은 마음은 자신과 주변을 많이 어둡게 할 것임을 확인했다.

한국과 무역전쟁을 일으킨 일본 아베내각은 노화된 일본의 부정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일 것 같다. 일본 정부가 다가오는 참의원 선거에서 외부에 대한 적대감을 이용해 국민들의 표를 집권당으로 집중시키고자 하는 과거 제국주의적 망상을 갖고 있든지 아니면 한국 정부의 경제정책을 무너뜨려 친일 정부를 만들고자 하든지 하는 시도는 지극히 과거 지향적인 노인정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듯하다. 어쩌면 앞으로 있을 남한과 북한의 협력관계가 일본을 매우 위축 시킬 것이라는 불안감의 사전적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본을 축소지향적인 성질을 갖은 국가라는 한국 학자(이어령)의 비판이 과거부터 있었지만 일본은 과거 지향적이고 내적으로 응축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한 음성국가이다. 저번 글에서도 지적했지만 일본이 내면적으로 민주화되지 못하고, 아베와 같은 정치인은 일본인의 그런 약점을 종교적이고 이념적인 선동으로 정치권력의 도구로서 사용하고자 하는데, 그런 의도는 일본이 확실하게 노쇄한 국가이며 음성(마이너스)국가로 존재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국이 일대일로 정책으로 주변 국가들을 채무의 덫으로 옭아 맨 음성적 결론이나 일본의 끊임없는 한국 괴롭히기 정책들의 이면에는 자국내에서 민주적이고 양성적인 정치를 만들어내지 못한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 간혹 일본의 언론들이나 홍콩의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에 반항을 해보기도 하지만 일본 정부는 노령사회의 국민들이 아직도 과거 제국주의 시절의 전성기를 그리워하며 그 추억에서 힘을 얻을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혁명은 있었으되 민주화된 사회는 가져 보지 못한 국민들의 한계를 잘 알고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근본부터 제거하고자 할 것이다. 그래서 역시 팽창주의 정책이다.


좀 더 장기적인 전망을 생각하면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민주화된 양성적인 한국이나 앞으로 개방과 급속한 발전을 전망하고 있는 젊은 국가인 북한은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세계 각국의 경제와 평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2019년 7월 6일 토요일

Pro-Japanese and anti-Communist(친일과 반공)

Many conservatives in Korea are very close to Japan and very anti-Communist. It is a product of classism ideas. They hate an equal society. They don’t think an equal society is a democratic one, but a communist one. They have a wrong ideological perspective that has long been imprinted on them while living in the Cold War era.

They think they belong to the upper class because they have a vested interest. So they think they are superior. Of course, they recognize individuals or groups that are superior to them. So they adore the strong. And they persecute the weak. They take such behavior for granted.
  
Look at the people around you. He who flatter the strong is always cold-blooded to the weak. They think of the world as a jungle where the strong eat the weak. They are less civilized. They generally lack reading and cultural ability. According to my experience, when you collide with such people, you may be good treated unexpectedly if you react harshly and react strongly. That's why they becomes pro-Japanese.

In addition, faith-like beliefs focus on only one thing. It is difficult to hold two beliefs in one bowl. The enemy’s enemy is a friendly. For example, if you hate socialist ideas, you will believe in ideas that are opposite to those of socialism. It’s clear that you like it and hate it. The opposite is the same. There is a human nature that tries to take an easy and comfortable path rather than reasoning and thinking the situation. Such a case is like a case of a madman in a religion with no philosophy. When you get older, it happens even more because you are annoyed to think.

한국에서 보수주의자들 중에는 매우 친일하고 매우 반공하는 자가 많다. 그것은 계급주의 사상의 산물이다. 그들은 평등한 세상을 싫어한다. 그들은 평등한 사회는 민주주의 사회라고 생각하지 않고 공산주의 사회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오랫동안 냉전 시대를 살아오면서 각인된 잘못된 이념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들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층의 계급에 속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은 우월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들은 자신들보다 우월한 사람이나 집단을 인정한다. 그래서 강한 자를 흠모한다. 그리고 약한 자를 핍박한다. 그들은 그런 행태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주변 지인들을 살펴보라. 강한 자에게 아부하는 자는 반드시 약한 자에게 냉혹하다. 그들은 세상을 갈등관계로 해석한다. 그들은 세상을 약육강식의 정글로 생각한다. 그들은 문명화가 덜 되어 있다. 그들은 대체로 독서와 교양이 부족하다. 내 경험으로는, 그런 사람들과 충돌하는 일이 있으면 모질고 강하게 반응하면 의외로 대접받는 경우가 있다. 그들이 친일하는 경우는 그런 이유다.

게다가 신앙과 같은 믿음은 한 가지만 집중하게 된다. 한 그릇에 두 가지 믿음을 담기 힘들다. 적군의 적은 우군이다. 예를 들면, 자신이 사회주의 사상을 싫어하는데 그 사회주의 사상을 싫어하는 사상이 있다면 그것은 자신의 사상이 된다. 좋고 싫음이 분명해진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이치를 따지고 상황을 생각하기보다는 쉽고 편한 길을 갈려는 인간의 속성이 작용한다. 그런 경우는 철학이 없는 종교에 미친 사람처럼 몰두하는 경우와 같다. 나이가 들면 생각하기를 귀찮아하기 때문에 더욱 그런 현상이 생긴다.

2019년 6월 29일 토요일

평등사회의 힘/토크빌(Tocqueville)

종종 노후 대비를 위해서 특허관련 시험준비를 한다. 시험이 쉽지않고 자연계방향의 기술 과학 과목이 많아서 인문 사회과학 분야의 책을 많이 보는 입장에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더구나 영어공부겸 경제학 영문원서를 함께 읽곤 하는데, 주로 평등한 민주사회지향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인문 사회과학공부와는 달리 계급적 승부에 몰두하는 시험공부는 진지하게 장기화되면 인성(人性/ human nature)관리 축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음을 느꼈다. 어찌보면 과거 한국의 출세의 등용문이었던 '고시공부'의 부작용을 보여주는 인물이 많았던것도 무리가 아닌듯 하다. 그 사람들도 잘못된 교육 방식의 피해자였던 것이다. 

어느 날 공부법에 관한 책을 수십권을 샀다. 서구유럽에서 출판된 공부법에 관한 책과 일본에서 출판된 공부법에 관한 책은 무척 달랐다. 일본책의 공부법은 아직도 머리에 일장기를 두르고 반자이돌격을 외쳐야 할 것 같은 분위기였다. 합리적인 사고 보다는 극의(克意/ extreme will)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반복학습을 필요로 한다. 그런 공부방법을 탈피하지 못하는 일본의 교육이 시민적 평등사회를 만들지 못하는 것은 당연했다. 그나마 내 자신은 기술 과학 관련 공부를 하거나 경제학 공부를 하면서 인문 사회과학이나 법공부가 잘못 인도할 수 있는 길인 아집과 극단성의 길로 가지 않을 수 있음은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프랑스의 정치학자인 토크빌(Alexis de Tocquevilie1805-1859)은 유명한 저서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미국사회 내 구성원들간에는 계급의식이 전혀 없고 계급 의식속에 내면화된 남보다 낮아서 수치스러운 감정같은 것이 사회적으로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런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미국은 분권화와 민주주의를 달성했다고 말한다.  토크빌이 생존해 있을 당시는 미국이 흑인 노예와 인디언에 대한 차별이 존재했을 무렵인데도 토크빌은 백인들만의 미국사회는 중산층 중심의 시민적 평등사회로 생각했다. 어쩌면 노예해방과 같은 사건은 그런 평등 사상이 바탕이 되었음도 생각한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이란 책을 읽고 평등주의로 개종하지 않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반면에 동북아시아 사회는 남보다 더 나아져서 남을 아래에 두기 위한 저급한 의지력을 발휘한다. 심지어 개인이나 집단의 이기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시도가 종교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그런 가운데 민족주의나 사회주의, 또는 천민자본주의, 극단적 종교이념들이 계급사회를 지향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자신들의 이상을 강요함으로써 합리적 사고를 파괴하고 시민들의 의식을 노예로 만든다. 그런 가운데 시민들의 창의적 사고가 억압받는 것은 당연하다. 

어렸을때 부친에게 나를 늦게 낳아서 젊은 아버지를 갖지 못함을 탓했다. 그러자 부친은 일본제국주의 시대에 일본의 해군 총사령관이었던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아버지가 56세에 낳아서 현명했으니 너도 현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야마모토 이소로쿠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한국인과 미국인에게는 전쟁범죄자로서 인식이 되지만 나름 아버지가 늦게 낳은 현명함이 일본인들의 극단적인 민족주의에 억압받아서 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경우가 되었다. 

Admiral Isoroku Yamamoto, Combined Fleet, which  included the main carrier force, had been considering the problem since early 1941. In principle he opposed making war on the United States, which he knew well as a former English-langage student at Harvard and naval attache in Washington; he did not believe that Japan's small industrial base could ever effectively support a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vastly larger economy. His well-Known views had made him unpopular both with nationalist politicians and their supporters and within the armed forces; he had been sent to sea in 1939 largely to save him from assassination.

The threats were not hollow; in 1936, a group of super-nationalist army officers had killed several moderate politicians, including the finance minister and a former prime minister, occupied central Tokyo and been overcome only after three days of street fighting. Yamamoto undoubedly had reason on his side, as other naval officers saw. Confronted, however, by the reality of the - dominated government's determination to solve Japan's economic problems by aggressive measures, Yamamoto stifled his objections and proposed an alternative attack strategy. He suggested using the carrier force to destroy the American Pacific Fleet at its moorings in Pearl Harbor, Hawaii, its Central Pacific base.

주력 항공모함을 포함한 연합함대 사령관인 야마모토 제독은 1941년 초부터 이 문제를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원칙적으로 미국에 대한 전쟁 도발을 반대했다. 그는 하버드에서 영어를 배우고 워싱턴에서 해군 무관을 지낸 적이 있었으므로 미국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일본의 소규모 산업 기지가 미국의 방대한 대규모 경제에 맞서 전쟁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잘 알려진 자신의 이러한 견해 때문에 야마모토는 민족주의 정치인들 및 그 지지자들과 군 내부 모두에게서 인기를 상실하고 말았다. 

1939년 그는 암살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해상으로 파견 되었다. 암살 위협은 괜한 염려가 아니었다. 1936년 극단적인 민족주의 계열의 한 육군 장교 집단이 재무장관과 전 수상을 포함한 온건파 정치인들 몇몇을 살해하고 도쿄 중심부를 점령한 일이 있었다. 이 사건은 3일간의 시가전 끝에 겨우 진압되었다. 야마모토는 다른 해군 장교들이 본대로 나름대로의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의 경제 문제를 공격적인 조치를 통해서 해결하겠다는 육군 주도의 정부가 내린 결정에 맞서 야마모토는 자신의 반대 의사를 억누르고 대안적인 공격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항공모함을 이용해서 미국의 중태평양 기지인 하와이의 진주만 항에 위치한 미국 태평양 함대를 괴멸시키자는 안을 제시했다. 

- [INTELLIGENCE IN WAR] BY JOHN KEEGAN -


문화혁명의 극단적 선동정치의 폐단을 경험했던 등소평이 오랜 전통의 팽창적 중화주의와 선동정치가 결합하여 가장 큰 비중화외부세력인 미국과 섣부른 충돌을 할것을 세심하게 예언했을 것이다. 첩보전략의 관점으로 보면 미국은 여러 정보를 종합하여 이런 사태를 예측했고, 손해보지 않는 전략을 내세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끔 일본은 아직도 극우주의 사상이나 민족주의 사상을 국난극복의 이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근본적으로 민주화가 덜 된 부작용이다. 미국이 강한 이유는 민주적 평등사회의 힘이라는 것이다.  

2019년 6월 22일 토요일

이념정부와 공급중시경제학

큰 정부를 지지하는 진보성향의 경제학자들은 이치에 맞지 않게 흘러가는 정치적 성향에 의아해하는 경향이 많은데, 국민을 먹여살리는 문제를 연구하는 학자와 일단 정권을 잡고 보겠다는 정치인들 사이의 시각차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만큼 간격이 있는듯 하다. 


많은 사람들이 작은 정부를 추구하는 '신자유주의자'로 알고 있는 미국 정부는 정말 작은 정부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 당시의 정부는 이념적인 이상과 현실 사이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이런 문제는 보수주의 정부가 들어서든 진보주의 정부가 들어서든 마찬가지인듯 하다. 어쨌든지 경제적 상황을 이념적 갈등관계의 바탕위에서 풀어나갈 일은 아닌듯 하다. 미국의 보수주의 정부는 이념을 이용하여 정권을 잡고나서는 현실을 인식하고 큰 정부로 변했고, 한국의 보수주의 정부는 이념을 이용해서 정권을 잡고나서는  감당못할 혼돈에 빠져있었던듯 하다.     

For many Keynesian, Reaganomics was little more than a thimblerig, a political gimmick that , behind the macho Hayekian rhetoric about slashing the size of the government, set off a public spending spree on defence that boosted aggregate demand and economic growth. Accordingto the Nobel Prize- winning MIT economist Robert Solow, 'The boom that lasted from from 1982 to 1990 was engineerd by the Reagan administration in a straightforward Keynesian way by rising spending and lowered taxes, a classic case of an expansionary budget deficit.

Galbraith agreed. "[Reagan] came into the presidency as the country was experiening a rather disagreeble recession and [implemented] lots of strong Keynesian policy," he said. "one of the results was an improving economy in the Eighties under Ronald Reagan. An one of the amusing facts of that was that this was done by people who didn't really understand Keynes and who were critical of him. We had involuntary anonymous Keynesianism.

케인즈주의자가 보기에 레이거노믹스는 그저 협잡이고 정치적 술수에 불과했다. 겉으로는 정부의 크기를 줄이자는 하이에크식의 거센 수사를 동원해 눈길을 끌었지만, 뒤로는 국방비 정부 지출을 마구 늘려감으로써 총수요와 경제 성장을 촉진했다는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MIT의 로버트 솔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82~1990년의 호황은 레이건 행정부가 순전히 케인즈적 방식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즉 지출을 늘리고 세율을 낮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재정적자의 고전적 유형이다."

길브레이스도 솔로와 생각이 같았다. "레이건은 미국이 상당히 어려운 불황을 맞았을 때 대통령이 됐고 강력한 케인즈주의적 정책을 대대적으로 실행했다." 갤브레이스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꼬집었다. "그 정책으로 말미암아 생긴 결과 중 하나가 레이건 치하의 1980년대에 경제가 향상됐다는 것이다. 그처럼 경제가 향상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사실 하나는 바로 케인즈를 제대로 알지도 못할 뿐 아니라 그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그러한 경제 향상을 이뤘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그 시절에 우리는 '비자발적인 익명의 케인즈주의'를 경험했던 것이다."

- [KEYNES HAYEK] by Nicholas Wapshott -


The Statistical Abstract makes it quite easy to get a realistic picture of where your tax dollar goes. For example, here is a list of ten major federal programs. The number after the colon indicates each program's percentage of fiscal 1994 spending.

Social Security : 21.6 %
Defence : 18.9 %
Interest on the debt : 13.7%
Medicare : 9.7%
Medicaid : 5.8%
Pensions for federal workers  ; 4.2%
Veterans' benefits : 2.6%
Transportation (mainly highways, air traffic, etc.) : 2.6%
Unemployment insurance : 2.0%
Administration of Justice ( courts, law enforcement, etc.) : 1.1%

There are three important things to say about this list. The first is that it encompasses the bulk of government spending - 82.2 percent, to be precise Anyone who proposes a radical downsizing of the federal government must mean to slash this list. The second is that with one possible exception, these are programs that thepublic likes - they are not at all what people object to when they rail against Big Government.

[통계]는 우리가 세금으로 낸 돈이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대단히 잘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예를 들어 여기 연방 정부의 10가지 주요 지출 사업 목록이 있다. 콜른 다음에 나오는 숫자는 1994 회계연도에서 각 사업에 지출된 예산 비율을 표시한다. 

사회보장 : 21.6%
방위 : 18.9%
국제 이자 :13.7%
의료 보험 :9 .7%  
의료 보장 : 5.8%
연방 노동 연금 : 4.2%
원호 : 2.6%교통(주로 고속도로와 항공 운송 등) : 2.6%
실업 보험 : 2.0%
법무(법원 및 법 집행 등) : 1.1%

이 목록과 관련하여 지적되어야 할 중요 사항이 세 가지있다. 첫째로 이 목록은 정부 지출의 대부분 - 정확하게는 82.2% - 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만큼 연방 정부의 대대적인 축소를 제안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이 목록을 대폭 삭감할 작정이어야만 한다. 둘째로 한 가지 예외를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이 있지만, 여기 제시된 목록은 대체로 일반 대중이 선호하는 사업들이란 점이다. - 일반 대중은 큰 정부를 맹렬히 비난하는 경우에도 이런 사업들만큼은 거부하지 않는 것이다. 

- [THE ACCIDENTAL THEORIST ] by Paul Krugman -

그러니까 레이건대통령을 비롯한 공급주의 경제학을 채택한 정부는 시작은 미약했으되 점차 끝은 장대한 케인즈정부가 되었던 것이다. 그것이 주효했는지 재선에 성공하고 부시행정부 역시 비숫한 경험을 하게 되었던 것 같다. 한 편으로는 대통령의 임기가 짧다면 제대로 일하기에는 부족한 시간이 될 것 같은데 레이건대통령과 부시대통령은 8년이란 기간동안 전쟁수요, 큰정부, 성공적인 경제등을 순환해가며 나름 성공한 케인즈정부가 되었던 것이다. 

임기 5년의 단임제 대통령제 국가인 한국에서 내수확장을 통한 경제정책의 성공은 오랜 노력과 기다림으로 결실을 맺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 정부의 정책조정의 범위를 벗어닌 재벌 중심의 경제는 복잡한 딜레마가 있다는 생각도 든다.   

2019년 6월 15일 토요일

후발국가의 경제발전 / 하이예크(HAYEK)

자유주의 국가인 미국과 공산당의 일당집권국가인 중국의 경제전쟁을 보면서 그동안 중국은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의 과실을 많이 취해왔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의 경제발전은 자유주의 시장경제에서 '창조성'에 의하여 성장했고, 중국은 선발주자인 미국과 같은 서구국가들의 기술이 국가간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의 도움으로 중국으로 이전을 한 것을 바탕으로 성장을 하였기 때문에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의 '창조성'과 '발전성'은 경제발전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후발국가들은 창의성 보다는 모방을 중심으로 선발국가들의 기술력에 근접하며 더 우월해질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그 한계는 선발국가들의 기술력에서 한정되기 마련이다. 창의성 보다 모방을 중심으로 한 경제가 어떤 결말을 갖게 되는지는 일본과 중국의 예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중국과 일본은 적어도 경제적인 면에서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형태를 취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국가의 내면적 의식세계는 매우 계급적이고 팽창주의적인 면이 있다. 그렇다보니 미국을 넘어설 수 없는 한계에 부딪힌다. 반대로 북한과 같은 저개발국가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을 해서  그 한계까지는 성장할 수 있다는 논리도 나올 수 있다. 인간과 사회는 권력지향적이고 계급지향적인 구조내에서 창의성의 한계를 보인다. 더 지고한 욕망의 목표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단기적 모방에 몰두하면 태양계 저 편에 우주 탐사선을 보낼 필요도 없다.  계급적 사회(자유주의 사회가 아닌)는 극복해야 할 대상인 내 위만 협소하게 보인다.  

정부가 가지는 경제적 권한에 관하여 케인즈(KEYNES)의 견해에 상반된 견해를 가진 하이예크(HAYEK)는 후발국가들의 발전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보수주의자들을 사회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렇게 비판하고 있다.

He argued that it was inevitable for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that some nations draw ahead of others. If today some nations can in a few decades acquire a level of material comfort that took the West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to achieve, is it not evident that their path has been made easier by the fact that the West was not forced to share its material achievement with the rest?" he argued.   

- omit -

He went on, "The conservative position rests on the belief that in any society there are recognizably superior persons whose inherited standards and values and position ought to be protected and who should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blic affairs than others. The liberal, of course, does not deny that there are some superior people - he is not an egalitarian - but he denies that anyone has authority to decide who these superior people are.

Hayek declared that conservatives were like socialists, and that both held detestable, undemocratic views. "The conservative does not object to coercion or arbitrary power so long as it is used for what he regards as the right purposes. He believes that if government is in the hands of decent man, it ought not to be too much restricted by rigid rules. . . . [L]Ike the socialist, he regards himself as entitled to force the value he holds on other people," he wrote. "It is not democracy but unlimited government that is objectionable, and I do not see why the people should not learn to limit the scope of majority rule as well as that of any other from of government."

그는 일부 나라가 앞서 가게 되는 것은 문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한 일이라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서구가 수십만 년이나 걸려 성취한 물질적 안락을 오늘 날 몇 몇 나라가 수십년만에 달성하고 있다. 이런 사실을 보면 서구가 자신의 물질적 성취를 다른 나라들과 나눠 가지도록 강제 당하지 않았다는 점(즉 서구가 방해를 받지않고 다른 곳들 보다 훨씬 앞서 갈 수 있었다는 점) 덕분에 이들 후발 국가들의 발전 경로가 더 용이해진 것이 분명하지 않은가?"

- 중략 - 

하이예크는 자기 주장을 이어 나갔다. "보수주의적 태도는 어느 사회든 마땅히 인정받아야 할 우월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생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그들이 물려받은 규범과 가치와 위상을 지켜야 하며 공적인 문제에서 그들의 영향력이  다른 사람들보다 커야 한다고 보는 인식이다. 물론 자유주의자들도 우월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자유주의자는 평등주의자가 아니다. 하지만 자유주의자는 그 우월한 사람들이 누구인지 결정할 권한은 아무에게도 없다고 주장한다. 

하이예크는 보수주의자는 사회주의자와 비숫하며, 보수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견해는 둘 다 가증스럽고 비민주적이라고 힘 줘 말했다. "보수주의자는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목적이기만 하면 강압이나 자의적인 권한이 사용되더라도 반대하지 않는다. 또 괜찮은 사람들이 정부를 장악하고 있다면 엄격한 법률로 정부를 지나치게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수주의자는 사회주의자와 다를 바 없이 자신이 주장하는 가치를 타인에게 강요할 권한이 있다고 여긴다." 하이예크는 이렇게 썼다. "민주주의가 못 마땅한 것이 아니라 아무 제한을 받지 않는 정부가 못 마땅한 것이다. 사람들은 왜 다수결 규칙의 범위뿐 아니라 그 밖의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정부의 범위를 제한할 방법을 찾으려고 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다."

- [KEYNES HAYEK] by Nicholas Wapshott -    

하이예크의 말꼬리를 붙잡고 늘어지자면 서구사회가 수십만년에 걸쳐 물질적 성취를 이룩하는 동안 동양사회는 원시상태였던 것은 아니다. 서구사회가 물질적 성취를 이룬 계기는 중세의 종교적인 전 근대적 문화를 자유주의 사상과 과학적 발견이 대체한 결과이다. 물론 그 이전에는 동양문화와 서구문회는 물질적 성취에서 서로 평행을 달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양문화는 하이예크가 윗글에서 비판한 '보수성'에 의해 억압받음으로써 근대화가 늦어진 일이 있다. 

어쨌거나 오늘날까지도 미개발국가들의 발전을 가로막는 중요한 문제는 내전(inner war)이나 정치적인 실수같은 것인데 이런 문제들은 이면에 하이예크가 매우 싫어하는 극단적인 사회주의나 보수주의같은 정치적 이념의 분란 아니면 종교적인 분란이 내재해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를 극복한 개발 도상국들은 앞서간 창조적 서구기술문화를 받아들여 급속하게 성장해 나갔는데, 그 이면에는 극단적 프레임이 없는 자유주의 사상이  바탕이 된  면이 있다.  북한의 발전과 미래는 정치적인 안정에 달려 있고, 단기적으로는 서구기술문명을 받아들여 어느 시기까지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한 다음에 창조적 자유주의국가로 변하는 과정이 최선일 것이다. 가끔 한국에서 문명을 되돌릴려는 이상한 사람들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흔히 사람들이 경제학자로서 보수주의라고 착각하는 하이예크도 그런 사람들의 정체를 잘 알고 있는듯 하다. 

하이예크는 극단적이어서 발전을 저해하는 이상한 이념들을 싫어했던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