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4년 10월 24일 금요일

미래가치 / 마르크스와 세이


꿈과 희망이 없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다. 그리고 당사자가 되어보기도 했다. 신념이나 비젼이 없는 사람들의 세계는 어둡다. 그들은 자존심도 없고, 철학도 없으며 먹고 사는 일, 본능적 유희를 위해 시간과 노력을 헌신하며, 강자에 약하고 약자에 강해지는듯 하다.

최소한의 기본적인 욕구, 즉 물질적인 욕구등이 충족되지 않았을 시대에는 그런것들의 충족을 기대하는 것이 미래의 가치였던것 같다. 호의호식(好衣好食)이라는 비젼을 이루기 위해서 전력을 다했던 한국의 중년이상의 세대들에게는 경제적인 문제를 넘어선 신념이나 비젼은 사치로 여겨졌던 시대를 인정할수밖에 없을듯 하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진보와 보수논쟁이 이념과 관련이 있다는 착각은 전혀 타당하지 않은듯 하다. 진보와 보수의 문제는 관점을 얼마나 미래가치에 집중하느냐 하는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의 기질과 미래에 대한 비젼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해보면 노인의 보수적 성향이나 젊은이의  진보적 성향은 당연한듯 하다.   

또 자본의 폭주가 문제가 되는 시대의 노동가치설에 관점을 집중한 마르크시즘의 등장은 당연한 것이며, 소비자들의 사용가치와 효용가치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노동력을 제공한 사람은 여가의 효용을 희생했고, 자본을 제공한 사람은 사치의 효용을 희생했다는 프랑스 자본주의 경제학자 세이(Jean-Baptiste Say 1767 -1832)의 이야기도 타당한듯 하다.다만 그 시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대중의 관점에 얼마나 설득력을 주었는지, 그리고 얼마나 비젼을 주었는지에 따라서 마르크스의 이론이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집중을 받았던듯 하다.  

사실 마르크스와 세이의 이야기보다 중요한 무엇인가가 있는듯 하다. 인간의 삶에는 비젼의 존재와 비젼을 이루기 위한 노력은 상당히 중요한 듯 하다.각자의 꿈과 희망이 결집하여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이룬다고 생각할때 사회적 불평등이 커서 국민개인의 비젼을 형성하는 동력과 그 비젼을 이룰려는 의지를 억제하고 있다면 심각한 사회적 손실이라는 생각이 든다.

중요한 것은 빨갱이 이야기도 아니고 골통 이야기도 아닌듯 하다. 내 자신이 더 늙었을때 내가 내 비젼을 이룰 수 있는 세상, 우리들 세대가 즐겁고 활기찬 젊은이들이 꿈을 이루는 세상을 볼 수 있는 이야기가 중요한듯 하다. 아직도 옛 이야기를 반복하는 사람들을 보면 이해가 안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