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2년 1월 15일 토요일

인간개발과 이념

In industrial societies the expansion of physical capital inputs typically accounts for about half the growth in aggregate. The rapid growth of East Asia’s “miracle economies” went hard in glove with high levels of saving and investment in both physical and human capital.

산업사회에서 물적 자본 투자의 확장은 전형적으로 전체성장의 약 절반가량을 떠맡는다. 동아시아 경제의 기적적인 성장은 물적인 자본과 인간 자본에의 투자와 더불어 고도의 저축율과 맞물려 있다.

- [Economics of Development] by Dwight H.Perkins, Steven Radelet, and David L.Lindauer -

 

대략 20년 전에 사설학원에서 대학입시생들 경제학을 지도한 적이 있었는데, 실제 대학교 교재인 경제원론수준을 능가하는 수준에 놀란 적이 있다. 경찰공무원 수강생들의 법학과목도 그 이전의 사법시험 수준을 능가하고 있었다. 지금은 한층 더 발전했으리라 생각한다. 자주 서점에서 출판된 서적을 점검해보는데, 정말 그랬다. 아마 한국이 발전하게 된 것은 인적 자원의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진 까닭이라고 생각한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B%B1%EA%B0%80%ED%8F%AC%EB%A5%B4


만약 북한이 대외관계적인 여건이 안 된다면 독립초기의 싱가포르처럼 국내산업을 성장시켜 경제발전을 하는 방법이 최선일 것이다. 하지만 오랫동안 축적되어 온 이념적인 부담이 큰 것이 문제다. 경제성장을 시작한다면 시장경제 이념을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기술이나 지식뿐만 아니라 경제구조와 법률구조를 비롯하여 국가와 사회의 제도적인 윤곽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내 의견이지만 북한이 국가와 국민의 동일성을 유지하고 시장 경제를 어느 정도 수용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에게 북한의 절박한 역사와 절박한 지정학적인 위치를 국민들에게 이해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물론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현재 북한은 과도기적인 체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핵무장이나 초음속 미사일 같은 전략 무기의 필요성을 한층 더 원할 것이다.

 

구세대의 한국 국민들, 심지어는 정치인들도 경제성장속도 뿐만이 아니라 기술과 지식의 수준이 높아지는 속도와 불협화음을 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특히 이념을 이야기 한다면 더욱 그렇다. 평생교육 등의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고 있긴 하지만 한국사회의 커다란 고민인 것은 사실이다

2022년 1월 9일 일요일

Path dependence and conservative politics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conservativ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BD%EB%A1%9C%EC%9D%98%EC%A1%B4%EC%84%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B3%B4%EC%88%98


It is said that the era of the New Cold War has come these days. It may be a coincidence, but the leaders of each country who participated in the Cold War are showing repeated historical aspects. When looking at the situation in Korea, either in real life or ahea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left and right ideological perspectives seem to be shifting to pragmatism or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library, an old man was studying hard wearing magnifying glasses. The old man seemed to read a faded classic over and over again. As I got older, I started studying high-tech engineering, and I couldn't understand the elderly who were deeply sucked into the past. This is because I have seen a lot of people automatically have path dependence unless they diligently resist their nature, where their bodies and minds are aging.

 

Originally, conservative politics should also be based on the will to reform. This is because efforts for growth and development are the essence of histor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People with conservative views are likely to neglect publicity. This is because public space is misunderstood as a communist political space. I think political ambitions have long caused misunderstandings in the people. In Korea, which suffered the most damage from the Cold War, there was a situation where it was understood but not understood.

 

Hannah Arendt (1906 1975), a Jewish political thinker from Germany, says that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ace, interest in humans dominating humans must be excluded. This is because freedom, not sovereignty, is important in public spaces.

 

Society, the state, and even the global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to exist to give human practical freedom and diversity. However, older people still have many misunderstandings about the problem. This is because they cannot resist to escape consciousness in the long-established domination, controlled relationship, and power relationship

 

Looking at the English book of development economics, which I found hard with the North Korean economy in mind, I think I should diligently resist path dependence even if I am not a North Korean, a politician, an economist, or rich. The real enemy is 'path dependenc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mao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7%88%EC%98%A4%EC%A9%8C%EB%9A%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

 

These days, when I went to the library again, I couldn't see the old man in the past. Did he die? I also thought that. When I saw the old man, I was reminded of Mao Zedong, who was reading a Chinese classics with a magnifying glass until the end, and as a modern leader, Mao Zedong has expressed his view that there was a problem.

2022년 1월 8일 토요일

경로의존성과 보수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BD%EB%A1%9C%EC%9D%98%EC%A1%B4%EC%84%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B3%B4%EC%88%98


요즘 신냉전 시대가 왔다고 한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지만 냉전에 참여한 각국 지도자들은 반복된 역사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실생활에서 아니면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한국에서의 상황을 살펴볼 때 좌우 이념적인 관점이 실용주의나 세대차이등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 같다.

 

도서관에서 한 노인분이 돋보기를 쓰고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었다. 색이 다 바랜 고전 한 권을 반복해서 보는 듯 했다. 나이가 들면서 첨단 공학에 입문한 나는 과거의 시대로 깊이 빨려 들어가는 노인 분을 이해하면서도 이해가 안 되었다. 몸과 마음이 노화되어가는 자신의 본성에 부지런히 저항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경로의존성을 가지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기 때문이다.

 

원래 보수도 개혁의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성장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존재하는 역사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보수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공공성을 소홀히 하기 쉽다. 공적 공간을 공산주의 정치공간으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정치적인 야망들이 오랫동안 국민들에게 오해를 심어주었다는 생각이 드는데, 냉전의 피해를 가장 많이 본 한국에서 이해하면서도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 생긴 것이다.

 

독일 출신의 유태인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 1975)는 공적 공간에 참여하기 위해서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공적 공간에서는 주권이 아니라 자유가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회와 국가, 심지어는 지구공동체조차도 인간의 실질적인 자유와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나이든 사람들은 그 문제에 관해서 아직도 많은 오해를 한다. 오래전에 설정된 지배와 피지배 관계, 권력관계 등에서 의식이 벗어나도록 저항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북한 경제를 염두에 두고 어렵게 구한 개발경제학 영문원서를 보면서 북한민도 아니고 정치가도 아니고 경제학자도 아니고 부유하지도 않으면서 나 한 사람만이라도 경로 의존성에 부지런히 저항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진정한 적은 경로의존성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7%88%EC%98%A4%EC%A9%8C%EB%9A%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


요즘 다시 그 도서관에 가 보니 예의 그 노인 분이 보이지 않았다. 돌아가셨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 노인 분을 보고 최후까지 돋보기를 쓰고서 중국 고전을 읽고 있던 마오쩌뚱을 연상했는데, 현대적 지도자로서 마오쩌둥은 문제가 있었다는 견해를 많이 밝혀 왔다

2021년 12월 26일 일요일

By bus / Low birth rat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bus


On Christmas Day, a bus driver dressed as Santa Claus in Busan, Korea's second city, made a stir around the world. I was also amazed that I had experienced a long-term (approximately 4 years) route bus driver life. It was good that the drivers in Santa costumes looked so relaxed. Moreover, Busan is the most difficult city to drive. Busan has the worst road conditions because there are many urban areas pioneered by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It is rumored that the habits of drivers who sympathize with road conditions are also very rough. Most of the road conditions in Korea, which has a narrow land, are bad.

 

Route buses are close to public goods. It is an essential means of transportation for citizens at a low cost. With the spread of private cars, it has become more useful for the elderly and students, and the nature of public goods has become stronger. However, except for some, most of them are operated as market goods. However, creative management rationalization is unlikely to save money and generate profits

 

When you drive on the bus, you can understand how hard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re. All of them don't seem to be able to affordable. In the meantime, it is rare for passengers to take a bus with their child. In conclusion, a precious customer got on the bus running with difficulty. The world of childcare, which requires a lot of relaxation and care, and the culture of rough roads are very different. Whenever I looked at the intense and rough road conditions, I thought that Korea was a difficult world to raise children. It was actually like that.

 

Korean route buses also have a tradition of vertical relationships. There is also a bus tycoon in a situation close to a public good. Bus tycoon carefully observed what contribution it made to citizens' transportation culture, but found little benefit. However, the bus drivers were networked and strongly controlled. Bus tycoon absorbed competent bus drivers trained by other bus companies. Then, if there is an accident, discipline or education is not conducted inside bus tycoon, but is released again to work elsewhere. It is free-riding for the cost of education. Buses of other companies were in poor condition as training centers for new hires for the bus tycoon, and there were no complete buses. There was only a broken bus. As a result, the corporate culture of other bus companies was unintentionally very bad.

 

There was a principle that the bus tycoon did not hire an unmarried or divorced bus driver. The company used to educate bus drivers that it was difficult to drive buses for people who could not manage their homes. However, I laughed at them thinking that they wanted a bus driver who endured the harsh working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heavy responsibility.

 

The low fertility rate in Korea should be recognized as a broader and more fundamental problem. The low fertility rate is due to a life of unrestrained competition. It is a long-term suicide that stems from long-term life worries. If the nature of a liberal market economy is strengthened without getting closer to the welfare state, it will be difficult to hear the laughter of children.

2021년 12월 25일 토요일

By bus / 저출산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bus


크리스마스 날 한국의 제2의 도시 부산에서 산타클로스복장을 한 버스기사가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하였다. 나도 장기간(대략 4)의 노선 버스기사생활을 경험한 적이 있어서 신기했다. 산타복장의 기사님들은 참 마음의 여유가 있어 보여 좋았다. 더구나 운전하기 가장 어려운 도시가 부산이다. 부산은 6.25전쟁 때 피난민들에 의해 개척된 시가지가 많아서 도로 여건이 가장 안 좋은 곳이다. 도로 여건에 동조된 운전자들의 습관도 매우 거친 곳이라고 소문이 나있다. 국토가 좁은 한국의 도로여건이 대부분 안 좋긴 하다.

 

노선버스는 공공재에 가깝다. 시민들이 적은 비용으로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교통수단이다. 자가용이 많이 보급되면서 노인 분들이나 학생 같은 교통약자들에게 더욱 유용해 지면서 공공재의 성격은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장재로 운영된다. 그러나 창의적인 경영합리화로 비용을 아끼고 이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없는 분야다.

 

버스운전을 하다보면 서민들의 삶이 얼마나 힘든지 속속들이 이해하게 된다. 모두 여유가 없어 보인다. 그 와중에 아이를 데리고 버스를 타는 승객은 낮설다. 결사적으로 달리는 버스에 소중한 손님이 탄 것이다. 많은 여유와 정성이 필요한 육아의 세계와 도로의 문화는 무척 다른 세계다. 격렬한 도로 여건을 볼 때 마다 아이를 키우기 힘든 세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재로도 그랬다.

 

한국의 노선버스도 수직관계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공공재에 가까운 주제에 버스재벌도 있다. 버스재벌은 시민들의 교통문화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 유심히 관찰했는데, 그 이점을 별로 못 찾았다. 다만 버스 운전자들을 네트워크화 해서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었다. 다른 곳에서 훈련된 유능한 버스기사를 흡수했다. 그러다 사고라도 나면 내부에서 징계하고 교육시키지 않고 다시 방출시켜 다른 곳에서 일하게 한다. 교육비용에 무임승차한 것이다. 예의 다른 회사들의 버스는 버스재벌을 위한 신규자 들의 교육 훈련장으로 전락하여 온전한 버스가 없었다. 그러다 보니 예의 다른 버스 회사의 기업문화는 본의 아니게 매우 나빴다.

 

그 버스재벌이 미혼이나 이혼한 버스기사를 입사시키지 않는 원칙이 있었다. 회사가 버스기사들에게는 가정도 관리 못하는 사람이 힘든 버스 운전을 어떻게 하느냐고 교육시키곤 했지만 나는 가정이 있으면 책임감 때문에 아무리 혹독한 근로환경도 견디는 사람을 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웃었다.

 

한국의 저 출산 문제는 좀 더 폭 넓고 근원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출산은 여유 없는 경쟁의 삶에 발목 잡혀 있는 것이다. 장기적인 삶의 고민에서 비롯된 장기적인 자살이다. 좀 더 복지국가에 가까워지지 않고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성질이 강화된다면 아이들 웃음소리를 듣기 힘들 것 같다.   

2021년 12월 8일 수요일

China’s Economic Growth Momentum

Kristalina Georgieva,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ays momentum in China's economic growth slows noticeably.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chinese+economy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A4%91%EA%B5%AD%EA%B2%BD%EC%A0%9C


More than 90 percent of passengers scuffling with bus drivers while driving neighborhood buses for a long time were middle-aged. And more than 90 percent of them had poor facial expressions. The biggest impact of losing the momentum of growth seemed to be. Th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which could no longer spread, and the beginning of aging and a sense of economic loss seemed to have started.

 

As predicted, the problem of dissonance between ideological politics and the market economy would slow the growth of the Chinese economy. The slowdown in individual citizens' momentum has expanded to a national problem. In the last article, I mentioned this problem in connection with a vertical relationship. The power relationship that suppresses the people's autonomous will will limit the individual momentum of the people.

 

Zhou Eon-lai and Deng Xiaoping studied a lot and learned about Western Europe's free market economy, realizing that the fundamental communist ideological system of the Mao Zedong era could never give momentum to the Chinese economy and society. They diligently expanded momentum by opening a pragmatic line to accept the market economy and expanding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effect appeared with a long-term time difference. Zhou Eon-lai and Deng Xiaoping were only sincere about China without the will of power.

 

Currently, China is trying to expand momentum through nationalism. It is a step back from the days of Zhou Eon-lai and Deng Xiaoping. Eventually, conflicts with the outside world were inevitable. The Chinese government mistook that the domestic popul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have developed enough to form an independent world. In other words, China is repeating the mistake of the late Qing Dynasty, which said that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is not necessary because there is everything(地大沕博/All things in prolific abundance). Conservative attachment seems to be a disease common to Eastern society.

 

The best growth momentum is likely to be familiar with words such as globalization, growth, reform, freedom, and human publicity.

2021년 12월 7일 화요일

중국 경제성장의 모멘텀(China’s Economic Growth Momentum)

Kristalina Georgieva 국제통화기금(IMF)총재는 중국 경제성장의 모멘텀이 눈에 띄게 둔화한다고 말한다.

 

장기간 근린버스운전을 하면서 버스기사와 실랑이를 벌이는 승객들을 보니 90퍼센트 이상이 중장년이었다. 그리고 그 중 90퍼센트 이상이 얼굴빛이 좋지 않았다. 성장의 모멘텀을 잃어버린 영향이 가장 큰 것 같았다. 더 이상 확산하지 못하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 그리고 노화의 시작과 경제적인 상실감등이 발단이 된 것 같았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A4%91%EA%B5%AD%EA%B2%BD%EC%A0%9C


예측한 바 있지만 이념적인 정치와 시장경제의 부조화 문제는 중국 경제의 성장을 둔화 시킬 것이었다. 국민 개개인의 모멘텀이 둔화 된 것이 국가적인 문제로 확대된 것이다. 저번 글에서는 이 문제를 수직적인 관계와 결부시켜 언급했다. 국민의 자율적인 의지를 억압하는 권력관계가 국민 개개인의 모멘텀을 제한하고 있을 것이다.

 

주은래와 등소평은 많은 공부를 하고, 서구유럽의 자유 시장경제를 체험학습 하면서 모택동 시절의 원론적인 공산주의 이념체제가 중국 경제와 사회에 모멘텀을 절대 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들은 실용주의 노선을 펼쳐서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고, 외교관계 확대시키면서 부지런히 모멘텀을 확장시켜 나갔다. 그리고 그 효과는 장기적인 시차를 두고 나타났다. 주은래와 등소평은 권력의지 보다는 중국에 대한 진심이 있던 인물이다.

 

현재의 중국은 민족주의등을 통하여 모멘텀을 확장시키려고 한다. 주은래와 등소평 시절보다 일보 후퇴한 것이다. 결국 외부 세계와의 갈등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중국 정부는 국내의 인구와 산업구조가 하나의 독자적인 세계를 이룰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고 착각했다. 말하자면 지대물박(地大沕博/All things in prolific abundance)을 염두에 둔 것이다. 보수적인 패착은 동양사회가 공통적으로 앓고 있는 병인 것 같다.

 

가장 좋은 성장의 모멘텀은 세계화, 성장, 개혁, 자유, 인류공영 등의 단어와 친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