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2년 1월 8일 토요일

경로의존성과 보수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BD%EB%A1%9C%EC%9D%98%EC%A1%B4%EC%84%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B3%B4%EC%88%98


요즘 신냉전 시대가 왔다고 한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지만 냉전에 참여한 각국 지도자들은 반복된 역사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실생활에서 아니면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한국에서의 상황을 살펴볼 때 좌우 이념적인 관점이 실용주의나 세대차이등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 같다.

 

도서관에서 한 노인분이 돋보기를 쓰고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었다. 색이 다 바랜 고전 한 권을 반복해서 보는 듯 했다. 나이가 들면서 첨단 공학에 입문한 나는 과거의 시대로 깊이 빨려 들어가는 노인 분을 이해하면서도 이해가 안 되었다. 몸과 마음이 노화되어가는 자신의 본성에 부지런히 저항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경로의존성을 가지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기 때문이다.

 

원래 보수도 개혁의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성장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존재하는 역사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보수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공공성을 소홀히 하기 쉽다. 공적 공간을 공산주의 정치공간으로 오해하기 때문이다. 정치적인 야망들이 오랫동안 국민들에게 오해를 심어주었다는 생각이 드는데, 냉전의 피해를 가장 많이 본 한국에서 이해하면서도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 생긴 것이다.

 

독일 출신의 유태인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 1975)는 공적 공간에 참여하기 위해서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배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공적 공간에서는 주권이 아니라 자유가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회와 국가, 심지어는 지구공동체조차도 인간의 실질적인 자유와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나이든 사람들은 그 문제에 관해서 아직도 많은 오해를 한다. 오래전에 설정된 지배와 피지배 관계, 권력관계 등에서 의식이 벗어나도록 저항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북한 경제를 염두에 두고 어렵게 구한 개발경제학 영문원서를 보면서 북한민도 아니고 정치가도 아니고 경제학자도 아니고 부유하지도 않으면서 나 한 사람만이라도 경로 의존성에 부지런히 저항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진정한 적은 경로의존성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7%88%EC%98%A4%EC%A9%8C%EB%9A%B1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


요즘 다시 그 도서관에 가 보니 예의 그 노인 분이 보이지 않았다. 돌아가셨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 노인 분을 보고 최후까지 돋보기를 쓰고서 중국 고전을 읽고 있던 마오쩌뚱을 연상했는데, 현대적 지도자로서 마오쩌둥은 문제가 있었다는 견해를 많이 밝혀 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