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1년 6월 23일 수요일

극한 이념과 실존적 정치경제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A4%91%EB%8F%9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the+middle+east

한국 경제가 안정되고 번영하면서 극우극좌의 그림자가 사라지고 있지만 중동은 그렇지 않다. 얼마 전 이란에서는 강경 보수파 종교 지도자인 라이시가 대통령으로 당선 되었다. 석유가 없다면 중동의 정치와 경제는 태생적으로 불안정한 조건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사막 지역의 척박한 자연환경으로 통합되기 어려운 중동정치는 끊임없이 극도의 통합력을 가진 지도자를 원하는 것 같다.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인 사르트르(Jean Paul Sartre 1905 1980)는 미리 정해진 보편적인 삶의 방식은 없다고 말한다.

 

오랫동안 여러 근린 지역에서 버스 운전을 하면서 느낀 것인데, 발달한 지역사회일수록 합리적인 민원이 발생하지만 그렇지 못한 지역에서는 민원인의 건강이나 나이, 생활수준 등에 의해 민원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발달하지 못한 지역의 비합리적 민원조차도 어느 정도 근거가 있기 때문에(때로는 더욱 강렬하다) 버스교통정책에 쉽게 반영될 수 있다. 말하자면 자극적이고 비합리적인 민원이 교통정책에 우선 반영되는 그래샴의 법칙(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이 달성되는 것이다.

 

척박한 조건을 가진 국가의 정치가 안정되지 못하는 이유는 끊임없이 자극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정치와 경제가 불안하면 선동정치가가 표를 얻는다. 선동정치가는 10퍼센트의 근거를 가지고 90퍼센트의 현상으로 비약시킨다. 어려운 환경에 직면한 대중이 자극을 받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종교는 대중을 자극하는 좋은 도구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생긴다.

 

생각해보면 이념적인 패러다임이 경제적인 패러다임으로 변하면서 온건해지고 안정되어가는 한국의 정치세계는 중동지역과 조건이 유사한 동아시아에서 보기 힘들게 성공한 경우인 것 같다.

 

경제에 대해서 이념문제와 엮자면 폴 크루그먼 교수의 언급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회의론자들의 예상을 뒤업고 자본주의는 살아남았다. 하지만 이 생존은 기본적으로 케인즈가 제안한 조건들에 기초한 것이었다(오늘 날 자유시장 광신자들은 이 점을 인정하기 힘들지도 모른다). 2차 세계대전은 케인즈가 수년 간 역설해 온 재시동의 동력을 제공했다. 그러나 자유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은 대공황극복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경기후퇴를 막기 위한 이자율 인하 또는 재정적자폭 확대와 같은 거시경제적 개입이 자유시장경제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완전고용도 일정 부분 담보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이었다. 자본주의와 이를 믿는 경제학자들은 우리는 두 번 다시 대공황이 없도록 방지할 방법을 충분히 알게 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자유시장은 아무런 문제도 없을 것이다와 같은 논리로 대중과 일종의 거래를 성사시킨 셈이다.

 

- [THE RETURN OF DEPRESSION ECONOMICS] BY PAUL KRUGMAN -  

2021년 6월 9일 수요일

The origin of Chinese nationalism

It is not to say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friendly relations between China and DPRK(North Korea). The Chinese government once mentioned the "differences" of external forces as it improved relations with North Korea. It is righ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is strong. And what is pure is right.

 

China is talking about socialist alliances, but China is a country where nationalism encompasses socialism. Since my parents lived i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was one with South Korea until 74 years ago, it is right to have an independent personality away from foreign interference. And it needs to be rebuilt. However, anyone would expect that China's nationalism would not be very harmonious with China's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ere was a time when there was no reason to talk about Chinese nationalism. The era of Deng Xiaoping and Zhou Enlai was "everyone"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hina becoming a world country. However, in this fundamental world of national thought, "everyone" acknowledges that there is a strong movement to return to the past.

 

Modern Western ideas are ideas that emerged after the Renaissance that reformed the gloomy religious standard of the Middle Ages. The same is true of communist ideas that China has yet to abandon. The Christian idea of the West was a globalist idea that believed in monotheism. And humanistic ideas, scientific ideas and liberal ideas that arose from the reform of Christian thought were bound to be at least more open and liberal than Christian ideas of the tim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Mao+Zedong


Although mentioned several times, Mao committed the fallacy of returning to feudalism despite his success in the communist revolution. It has been mentioned several times that Mao Zedong had a problem with his classical reading habits. Modern Chinese leaders should not follow Mao's ideas without criticism. The ideas contained in the classics Mao Zedong read a lot are those created during China's chaotic times. There is no idea of globalism in it, and there is no idea of equality. There is always a king and there is a power struggle between the state and the state.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many countries accepted various "Hundred Schools of Thought" as national ideologies for survival. Some countries accepted Confucius' and Mencius' ideas of stability and welfare, while others claimed passive survival with small and small nations and enemies, and others called Chin, who unified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era by claiming wealth. Mao Zedong's role as a medium for accepting the governance technology of the "Chin" country contained in classics containing such ideas into modern Chinese ideas is thought to have been great.

 

In fact, most countries insist on rich countries (rich countries and strong armies), but behind them are bound by the idea of globalism and human co-prosperity. Of course China seems to be trying to do otherwise or not.

  

2021년 6월 8일 화요일

중국 민족주의의 원류

중국과 북한과의 우호관계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고 말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정부가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하면서 외부세력의 이간질을 언급한 적이 있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돈독한 것이 옳다. 그리고 순수한 것이 옳다.

 

중국은 사회주의 동맹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중국은 민족주의가 사회주의를 포괄하고 있는 국가다. 내 부모가 살았고, 74 년 전에 한국과 한 몸이던 북한은 외세의 간섭을 벗어나 자주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 옳다. 그리고 재건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민족주의가 중국과 북한과의 관계에는 그다지 조화롭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예상하고 있을 것이다.

 

중국의 민족주의에 대해서 말 할 이유가 없던 때가 있었다. 등소평과 주은래의 시대는 중국이 세계국가로서 발돋움 할 가능성을 누구나예측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국가사상의 세계에서는 과거로 회귀 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강한 것도 누구나인정하고 있다.

 

현대적 서구사상들은 르네상스 이후에 중세의 암울한 종교본위의 세계를 개혁하고 나온 사상들이다. 중국이 아직 버리지 못하는 공산주의 사상도 마찬가지다. 서양의 크리스트교 사상은 유일신을 믿는 세계주의 사상이었고, 크리스트교 사상을 개혁하고 발생한 인본주의 사상이나 과학주의 사상, 자유주의 사상등은 적어도 당시의 크리스트교 사상보다 더 개방적이고 자유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구속을 받고 있었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Mao+Zedong


여러 번 언급했지만 마오쩌둥(모택동)은 공산혁명에 성공을 하고도 봉건사상으로 회귀하는 오류를 범했다. 마오쩌둥의 고전적인 독서습관에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은 여러 번 언급했다. 현대의 중국 지도자들이 마오쩌둥의 사상을 비판 없이 답습해서는 안 될 일이다. 마오쩌둥이 많이 읽은 고전들 속에 담겨 있는 사상들은 중국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만들어진 사상들이다. 그 속에는 세계주의 사상이 없고, 평등사상도 없다. 그곳에는 항상 왕이 존재하고 국가와 국가의 세력 다툼이 존재한다.

 

춘추전국시대에 많은 나라들은 생존을 위해서 여러 가지 지혜로운 사상(제자백가)들을 국가 이념으로 받아들였다. 그 중에 안정과 복지를 주장하는 공자와 맹자의 사상(유가)을 받아들인 국가도 있었고, 작은 나라와 적은 국민으로 소극적인 생존을 주장(도가)한 국가도 있었고, 부국강병을 주장(법가)해서 춘추전국시대를 통일한 이라는 국가도 있었다. 이런 사상이 담겨 있는 고전들 속에서 나라의 통치기술을 현대의 중국사상으로 수용하는 매개체로서 마오쩌둥의 역할은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대부분의 국가들이 부국강병(풍요로운 나라와 강한 군대)을 주장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세계주의와 인류공영이라는 사상의 구속을 받고 있다. 물론 중국은 그렇지 않던가 그렇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 같다. 

Inner circle and external conflicts / Heisenberg

"I love peace very much, but I can't stand the idea of invading Earth from Andromeda." - I have a very geographically extended sense of inner circle.

 

My father, who was in the trucking business before the 1970s, transported the movie dealers to the countryside of Korea, where there were no movie theaters, and received transportation costs. Movie dealers used to set up large tents at night and screen noir films featuring monster movies or Macau or Hong Kong as backgrounds, which were welcomed as a precious moment for rural people to access outside culture in the days when there was no TV. However, young people who imagined trucks carrying movie dealers as outside aggression gathered to throw stones and resist. My father, who was active between the two Koreas and went bankrupt while doing pollack trade in Manchuria, laughed a lot while recalling the incident.

 

The military coup in Myanmar is said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long-established inner circle of soldiers. They are said to have formed a different world by strengthening the internal exchanges of military groups rather than external exchanges. China's nationalism, which has become a problem these days, should also be seen as a much more internalized consciousness than I thought of being wary of Andromeda's invasion.

 

In Korea, the inner circle consciousness of prosecutors and religions has been a major problem, and inner circle consciousness hinders social development as a non-modern way of thinking. Inner circle is likely to define an externality that inevitably conflicts with the interests of the group.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inevitable to cause conflict with the outside world.

 

The first military coup, led by South Korean Major General Park Chung-hee, had a justification for reforming the external society and actually demonstrated some ability in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coup is still divided between good and bad. However, Major General Chun Doo-hwan's second military coup is considered an unjustifiable and despicable incident led by an inner circle called "Hanahoe."

 

The following is a remark made by Max Plank in a conversation between Werner Karl Heisenberg (19011976), a German scientist who established the basis of quantum mechanics, and Max Karl Ernst Ludwig Planck (18581947), who criticized Hitler's oppression of Jews.

 

I have repeatedly explained that they are Germans and that most of them, like all other Germans, were people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Germany in the last war, but I did not seek any understanding from Hitler. To put it a little bit worse, it would be an accurate expression that there was no language of conversation with such a human being to understand each other. It seemed to me that he was now clearly cut off from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and felt that it was all cumbersome and annoying when someone said anything.

 

I don't know the original, but it was published 40 years ago under the title "Part and All" in Korean. I read it when I was in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when I was in a hurry to study, and it seemed to have helped me a lot to have a holistic view. We live in an era of advanc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some countries have a fairly strong inner circle consciousness while sending spacecraft to Mars. What I'm saying now is a funny story, but it's time for everyone to unite in preparation for Andromeda's invasion. I'm always worried that my vision is getting narrower while saying this.

2021년 5월 25일 화요일

내집단과 외부와의 갈등 / 하이젠베르크

나는 평화를 무척 사랑하지만 안드로메다에서 지구를 넘보는 것만은 참을 수 없다.” - 나는 지리적으로 상당히 확장된 내집단 의식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 이전 트럭으로 운송업을 하던 나의 부친은 영화관이 없는 한국의 시골로 떠돌이 영화상영업자들을 운송해주고 운송비를 받곤 했었다. 대형천막을 치고 밤에 부락민들에게 괴수영화나 마카오나 홍콩 등을 배경으로 한 느와르 영화를 상영하곤 했는데, TV도 없던 시절에 시골 사람들이 외부 문물을 접할 수 있는 귀한 순간으로 환영받았다. 하지만 간혹 영화상영업자들을 태운 트럭을 외부의 침략으로 상상한 젊은이들이 모여서 돌 등을 던지며 저항(?)하곤 했다. 남북한을 오가며 활동하기도 했고, 만주에서 명태장사를 하다가 파산한 적이 있던 부친은 그 일을 회상하면서 무척 신기해했다.

 

미얀마에서 일어난 군부쿠데타의 배경에는 오랫동안 쌓아 온 군인집단의 내집단 의식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그들은 외부와의 교류보다 군인집단의 내부교류를 강화하면서 다른 세계를 형성해 왔다고 한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의 민족주의도 안드로메다의 침공을 경계하는 내 생각보다는 훨씬 내집단화된 의식이라고 보아야 한다.

한국에서도 검찰 등의 내집단 의식이 크게 문제가 된 적이 있지만 내집단 의식은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으로서 사회발전을 저해한다. 내집단은 필연적으로 집단의 이익과 충돌할 수 있는 외부를 적으로 규정짓기 쉽다. 때문에 외부와 갈등관계를 일으키는 일은 필연적이라고 보아야 한다.

 

한국의 박정희 소장이 주도한 1차 군부 쿠데타는 외부사회를 개혁한다는 명분과 실제로 경제개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능력을 발휘함으로서 아직도 평가에 대해서는 좋고 나쁨이 갈리 우고 있지만 전두환 소장의 2차 군부 쿠데타는 하나회라는 내집단이 주도한 명분 없고 저열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음은 양자역학의 기초를 확립한 독일의 과학자 하이젠베르크(Werner Karl Heisenberg 1901 1976)와 막스 플랭크(Max Karl Ernst Ludwig Planck, 1858 1947)의 대화에서 막스 플랭크가 히틀러의 유태인 탄압을 비판하며 한 말이다.

그들도 독일인이라는 자각을 가지고 그 대부분이 지난 대전에서 다른 모든 독일 사람들과 같이 독일을 위해서 생명을 바쳤던 사람들이라는 것을 누누이 설명하였지만, 히틀러로부터 아무런 이해도 구하지 못 했습니다. 좀 더 심하게 말한다면 그런 인간과는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대화의 언어가 없었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것입니다. 내가 보기에는 그는 이제는 확실히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었으며, 누가 무슨 말을 하면 그것을 다 번잡하고 성가신 것이라고 느끼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원본은 모르겠고, 한국어로 [부분과 전체]라는 제목으로 40년 전에 출판된 책이다. 학교 공부가 급한 고등학교 3학년 때 읽었는데, 전체적인 시야를 갖는데, 상당히 도움이 된 것 같았다. 우리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한 시대에 살고 있고, 어떤 나라는 화성에 우주선을 보내면서도 상당히 강한 내집단 의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우스운 이야기지만 앞으로 안드로메다의 침공을 대비하여 모두가 뭉칠 때다. 이렇게 말하면서도 항상 시야가 좁아짐을 걱정되기도 한다

2021년 5월 11일 화요일

The language of another person

Gap-dol, who had been introverted and closed for a long time, wrote an e-mail love letter to Eun-ji. Gap-dol's emotions remained more than 30 years ago, and Eun-ji, who lives in the digital era where human rights awareness is established, was shocked by the thought that she had been interfered with the depths of her life. And in the current social climate, sexual harassment was narrowly crossing boundaries. People's languages have changed so much over time.

  

Uruguayan President Jose Mujica, a socialist and urban guerrilla, says it was helpful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prisoners while in prison. Later President Jose Mujica led Uruguay with a pragmatic perspective.

 

These days, I was reading [THE PLOT TO HACK AMERICA] a book that said the activities of the Russian hacking group DarkSite were behind the U.S. President Trump's election. Coincidentally, however, there has been a paralysis of the U.S. oil pipeline, and President Biden pinpointed the activity of the Russian hacking organization DarkSite. I don't know the truth, but I think the langua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reached the point of being used as a cyber intelligence war. The language of Russian President Putin, who has a dictatorship that is well received by the people, seems to be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he language of U.S. presidents in a liberal democracy.

 

Austrian philosopher Wittgenstein says that language is not an arrangement of physical symbols, but an act tha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proper lifestyle" and "rules".

 

I think an open and practical perspective is needed for each other's language to be communicated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but also in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fore thinking about problems in the political system, I think North Korea should solve economic problems first. In transitional situations, a successful dictatorship like Singapore could be ideal.

타인의 언어

오랫동안 내성적이고 폐쇄적인 생활을 했던 갑돌이가 낮선 은지에게 이메일로 편지를 했다. 갑돌이의 정서는 30여 년 이전에서 머물러 있었고, 인권의식이 자리 잡은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는 은지는 생활의 깊은 곳을 간섭받았다는 생각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현재의 사회분위기에서는 성희롱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들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의 언어는 너무 변해 있었다.

 

사회주의 도시게릴라 출신이었었던 호세무히카 우루구아이 대통령은 감옥에 있는 동안 재소자들의 언어를 이해하게 되어서 유익했다고 말한다. 훗날 호세무히카 대통령은 실용주의적인 관점으로 우루구아이를 이끌어갔다.

 

요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배경에는 러시아 해킹 단체인 다크사이트의 활동이 있었다는 책인 [ THE PLOT TO HACK AMERICA ]를 읽고 있었다. 그런데 우연히 미국 송유관 마비사태가 생겼고 바이든 대통령은 콕 집어서 러시아 해킹 단체인 다크사이트의 활약이라고 말한다. 진위는 잘 모르지만 두 나라 사이의 언어는 사이버 정보전으로 통용되고 있는 지경까지 갔다는 생각이 든다. 국민의 호응을 얻는 독재정치를 하고 있는 KGB출신 러시아 대통령 푸틴의 언어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미국 대통령의 언어와는 소통되기 힘든 현실인 것 같다.

 

오스트리아의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는 물리적인 기호의 배열이 아니고 알정한 생활양식규칙에 따라서 영위되는 행위라고 한다.

 

러시아와 미국의 문제만이 아니고 한국과 북한과의 관계에서도 서로의 언어가 소통되기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실용적인 관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치시스템의 문제를 생각하기 전에 경제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 과도기적인 상황에서는 싱가포르처럼 성공한 독재가 이상적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