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5년 11월 7일 금요일

Postwar restoration / Russia and North Korea

Russian President Putin has announced his intention to advance eastward in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One of the mysterious things about modern Russia is that a country with a low income level has steadily waged a unification war. And they have consistently experienced disadvantages. Russia will never lose its belligerent attitude, nevertheless. Neither will North Korea in that regard. Both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isolated. Russia has never worried about NATO's invasion. North Korea has never worried about South Korea's invasion. It is only afraid of permanent isolation.

 

President Putin and President Kim Jong-un may be using the politics and economy of South Korean President Park Chung-hee as role models.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ld. President Putin even requested President Kim Jong-un to send North Korean troops to the Ukrainian front. At that time, President Putin would have convinced President Kim Jong-un to obtain the same effects as President Park Chung-hee's financial income and practical experience from sending him to Vietnam.

 

If the end of the war in Ukraine is confirmed, the world will again experience the expansion of the post-war economy that it did not want. NATO will provide Ukraine with financial support like the Marshall Plan, and Russia will cooperate with North Korea to restore the post-war period. The war is miserable, but economic growth that begins at the zero standard will be livel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after the Korean War, and Korea after the Vietnam War were. It has become so common that it should be expressed by purifying it to human 'universal economic activity'.

 

As I mentioned several times last time, I wonder what the West should have done to accept Russia's liberal government without making a wary about it when the former Soviet Union collapsed. Of course, the same can be said of the present North. But things would not go in the ideal direction in an instant. It is highly likely that any country will lose its belligerence unless it is isolated.

 

The most extreme example of technology loss in Australia is the island of Tezmania, about 200 kilometers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Australia. During the Red Turban Age, when sea levels were low, the barren Bath Strait, which currently separates Tasmania and Australia, was also dry land. Therefore, the people who lived in Tasmania were only a part of the people who lived together in the wider Australian continent than they are now.

 

The Tasmanians and mainland Australia were cut off from each other about 10,000 years ago when seawater eventually entered the strai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were no ships on either side that could cross the Bath Strait. Since then, more than 4,000 Tasmanian hunter-gatherers have lost contact with any human beings on Earth and have been living in a thorough isolation that can only be found in science fiction.

 

- [GUNS, GERMS, AND STEEL] BY JARED DIAMOND -

double interpretation

전후복구 / 러시아와 북한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북한과 협력하여 동쪽으로 진출할 뜻을 밝혔다. 그동안 현대 러시아에 관해서 불가사의한 일 중의 하나는 소득 수준도 그다지 높지 않은 나라가 꾸준히 통일 전쟁을 일으킨 점이다. 그리고 꾸준히 불이익을 경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호전적인 태도를 잃지 않을 것이다. 그 점은 북한도 마찬가지다. 두 나라는 지리적 고립국이다. 러시아는 나토의 침략을 우려한 적이 없다. 북한은 한국의 침략을 우려한 적이 없다. 다만 영속적인 고립을 두려워 하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한국의 박정희 정부의 정치와 경제를 롤모델로 삼고 있을 것이다. 그만큼 박정희 정부가 세계에 끼친 영향은 대단했다. 심지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북한군을 우크라이나 전선에 파병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박정희 대통령의 베트남 파병으로 인한 재정수입과 실전경험을 설득했을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이 확정되면 세계는 또 다시 원하지 않았던 전후 경기확장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나토는 우크라이나에 마샬계획과 같은 재정지원을 할 것이고 러시아는 북한과 협력하여 전후 복구를 할 것이다. 전쟁은 비참하지만 영기준에서 시작되는 경제성장은 생동감이 넘쳐날 것이다. 이차대전후의 미국과 유럽이 그랬고, 한국전쟁후의 일본이 그랬고, 베트남 전쟁후의 한국이 그랬다. 이제는 그런 모습을 인류의 보편적인 경제활동으로까지 순화시켜 표현해야할 정도로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지난 번에도 몇 번 언급했지만 구소련이 붕괴되었을 때 서방측은 러시아의 자유주의 정부를 경계하지 말고 수용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지금의 북한도 마찬가지다. 상황은 순식간에 이상적인 방향으로 흘러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떤 나라도 고립되지 않으면 호전성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대에서 기술을 잃어버린 가장 극단적인 사례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 해안에서 200킬로미터가량 떨어진 테즈매니아 섬의 경우다. 해수면이 낮았던 홍적세 때에는 현재 현재 태즈메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를 갈라놓고 있는 야트막한 배스 해협도 마른 땅이었다. 따라서 태즈메니아에 살던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넓었던 오스트레일리아대륙에 함께 살던 사람들의 일부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약 일만년전, 마침내 이 해협에 바닷물이 들어오면서 태즈메니아인들과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인들은 서로 단절되고 말았다. 어느 쪽에도 배스 해협을 건너갈 만한 배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태즈메니아의 수렵채집인 4000여 명은 지상의 어떤 인류와도 접촉이 끊어지고 공상 과학 소설에서나 찾아 볼 수 있는 철저한 고립속에서 살게 되었다.

 

- [GUNS, GERMS, AND STEEL] BY JARED DIAMO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