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9년 12월 24일 화요일

The aged and the city

I lived in various types of cities under the pretext of work or technical training. I used to observe how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ities and the behavior of citizens and the form of citi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I have searched in the midst of a life of distraction, and I have learned that many things connect with one another to create civil behavior.

The young and the old are very different. Korea’s economic growth has progressed rapidly. The middle-aged and over-aged generations who spent their youth in those days are ideologically shaped by the ideas of those days. Such problems have become a reality in Japan and Korea is on a similar path.

There is something you should be careful about as you get older.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one’s aging should not be radicalized for a cause such as ideology or creative excuse. I felt something while working as a bus driver for many years. Passengers who rushed or made unreasonable complaints were mostly middle-aged or older. In the past, the atmosphere of society, which was fast moving in the era of economic growth, had become habitual. Such a phenomenon was particularly severe in light industry-oriented cities. The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of the past centered on speed was reflected in urban and human characteristics.

Sometimes politicians or religious people turn social crisis into conflict with radical verbal and irrational logic. Perhap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roblems of old people(bad health) and the problems of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past are reflected in the importance of speed.

There are many old people around me who always try and live young because they are always gentle. Such people have a more future-oriented mind than in the past. Such a mindset slows down aging.         

노인과 도시

일터나 기술훈련 등을 이유로 여러 유형의 도시들을 옮겨가며 그곳의 문화적 특성과 시민들의 행태, 심지어는 가로의 형태와 건물의 밀집도등이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 관찰하곤 했다. 산만한 생활 속에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고 탐색을 하다보면 많은 것들이 서로 인연을 맺어 시민들의 행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젊은이와 노인은 매우 다르다. 경제성장이 급속히 진행된 한국에서 경제성장시대에 청춘을 보낸 노인들이나 중년이상의 세대는 그 당시의 생각들이 이념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그런 문제들이 현실화되고 있고, 한국도 유사한 길을 걷고 있다는 건 확실하다.


나이를 먹으면서 조심해야 할 점 중의 한 가지는 자신의 노화와 관련된 특성들이 다른 대의적인 문제, 즉 이념이나 창조적 핑계들을 이유로 과격해지는 점을 삼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년간 버스기사로서 승객들을 대하면서 느낀 것인데, 서두르거나 비합리적인 불편을 토로하는 승객은 대부분이 중년이상이었던 것 같다. 과거 경제성장 시대에 빠르게 진행되던 사회의 분위기가 습관화 되어 있었다. 경공업 도시에서는 그런 현상이 심했는데, 속도를 중시하는 과거의 제조업중심의 산업구조의 분위기가 도시의 특성에 그대로 반영된 느낌이다.

가끔 정치인이나 종교인이 막말을 하거나 비합리적인 논리를 내세우며 사회분위기를 갈등관계로 몰고 가는 경우를 보는데, 노인의 기질적인 문제와 창조성보다는 속도를 중시하던 과거 산업사회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주변에 항상 노력하며 온화하여 젊게 사는 노인분들도 많은데, 그런 분들은 과거 보다는 미래 지향적인 마음가짐이 노화도 늦춘다는 사실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2019년 12월 14일 토요일

북미협상과 집중력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권태기에 접어든 느낌이다. 여론들은 가능한 갈등관계를 강조하기 위해서 애쓰는 모습이다. 각국의 이익을 위해서, 아니면 한국내에서 이익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개선은 축복받지 못하는 느낌이다.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위해서 총력을 기울였던 한국의 대통령은 성과에 대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이란 국가의 생래적(from birth)이고 역사적인 아주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아주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와 협력해야 하는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내에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김정은 위원장은 파탄이 난 국가를 일으켜 세워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고,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특성상 임기와 여론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다.
 
과거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의 재직기간 중에 많은 업적을 이룬 것은 사실이다. 물론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초 중반기까지의 업적은 많은 한국내 국민들과 해외의 비숫한 조건을 가진 지도자들에게 칭송받는 면이 있다. 같은 독재자라고 평가받는 지도자들 중에 차우세스코나 후세인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야 한다는 지도자의 본질적인 목적을 잊어버림으로서 집중력을 상실하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기왕에 이렇게 된 조건이니 주어진 조건에서 북한이라는 부담스러운 국가를 최대한 일으켜 볼려고 집중력을 발휘하고 있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나 트럼프 대통령은 여론에 대해서 좀 더 강해져야 한다. 그리고 북한과의 협상은 좀 더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풍요로운 자본주의 강대국의 지도자들이 빠질 수 있는 함정인 배팅(go for a shot at a gambling house}에 관심이 많이 갈 것이다. 일시적으로 모든 성과를 보겠다는 자본주의 강대국들의 입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은 많이 다를 것이다. 집중할 수 있는 조건에서 본다면 한국의 대통령이나 미국의 대통령은 북한의 지도자에 비해서 참 나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북한의 개방이라는 목적, 북한과 한국의 협력, 북한과 미국과의 협력이라는 목적에 최대한 집중을 하여야 할 것이다.

2019년 10월 19일 토요일

Competitiveness and Limitations / North Korea and Japan

I’ve been to various workplace. In some places it was very happy and in others it was very hard. That’s the result of putting my ego back a little and scrutinizing the members of the workplace. I have come to know what is important to man. People try to relax and competition is its means. Leisure will bring a better competitive edge. Members of uncompetitive and leisurely workplace worked quite spontaneously and efficiently.


Until now, ‘competition’ has been central to liberal ideology and neo-liberal ideology. To begin with, it is North Korea that can see the most impact of competition in the near future, and Japan that has experienced the limits of competition. North Korea is full of energy to achieve its people’s economy and welfare through competition.


Japan is running out of energy that can come from competition. The Japanese people realized that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cannot be done with effort unconditionally. North Korea may have the fearless energy to advance its liberal market economy. The welfare of competition-driven economic development in North Korea will overwhelm the negative effects competition. The Japanese, however, ran out of competitive energy.


The U.S. is rich in resources, technology, territorial land, and geographical location. So the U.S. has the option of choosing a fully liberal market economy or a welfare state. The U.S always has a chance and the people have hope even if the current welfare is reserved for the future. But Japan, which had only the competitiveness arising from extreme mental tensions, couldn’t get beyond the U.S


Northern European countries had the same conditions as Japan. However, they overcame the problem in due course with an ideology that values welfare and community, and Japan missed it. Of course, Korea should not follow Japan’s footsteps. There will be no future for the nation if it fails to choose the proper ideology to suit its time. Focusing on short-term goals, political gambit, demagoguery, extreme one-sided ideology and religious disruption will be poisonous to the nation’s future.


경쟁과 한계 / 북한과 일본

여러 가지 일터를 다녀봤다. 어떤 곳에서는 매우 행복했고, 어떤 곳에서는 매우 고달팠다. 내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고 자아를 살짝 물러서게 하고 일터의 구성원들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가 그렇다. 바깥세상의 시선과는 좀 차이가 있었고, 인간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사람들은 여유를 갖기 위해서 노력하고 경쟁은 그 노력을 위한 수단이다. 본의 아니게 여유는 더 나은 경쟁력을 가져다 줄 것이다. 경쟁하지 않고 여유로운 일터의 구성원들은 꽤 자발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였다.

지금까지 자유주의 이념과 신자유주의 이념의 중심어는 경쟁이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까운 시일 내에 경쟁이란 단어의 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국가는 북한이고 경쟁의 한계를 경험한 국가는 일본이다. 북한은 경쟁을 하여 국민의 경제와 복지를 달성할 수 있는 에너지가 충만하다.

일본은 경쟁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한계에 왔다. 일본 국민은 무조건 노력으로 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바가 있고, 북한은 자유주의 시장경제가 약진할 수 있는 겁 없는 에너지가 있을 것이다. 북한에서 경쟁으로 인한 경제발전이 가져다주는 복지는 경쟁의 부작용을 압도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인은 지쳤다.

자원과 기술이 풍부하고 영토와 지정학적 위치가 우월한 미국은 완전 자유시장 경제나 복지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항상 기회가 있고 현재의 복지를 미래에 유보해도 국민은 희망을 안고 살아간다. 그러나 극한의 정신적인 긴장에서 발생하는 경쟁력만 가지고 있던 일본은 미국을 이길 수 없었을 것이다.

일본과 조건이 비숫한 북유럽 국가들은 복지와 공동체를 중시하는 이념으로 적절한 시기에 문제를 극복하였고, 일본은 그 때를 놓쳤다. 물론 한국도 일본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그 시대에 어울리는 적절한 이념을 선택하지 못하고 단기목표, 정략과 선동, 극한 이념이나 종교들이 창궐하면 국가의 미래가 나빠질 것이다.


2019년 10월 11일 금요일

Absolute Northeast Asia

In general. if a nation or idea is geographically isolated or lacks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t has an absolut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ideas in areas where trade and scientific exploration were active have a relativistic atmosphere. Absolutism has a hard and stubborn conservative atmosphere. Relativism has an ever-changing tendency toward progressivism based on human-centered usefulness and rationality.


Eastern thought is largely an absolutist idea. Among Western ideas, Bacon’s empiricism, pragmatism and James Mill and Dewey’s utilitarian ideas tend to be relativistic. On the other, Germany’s Kant thought tends to be absolute. If we expend further, that is why Japan’s ultra-rightist ideology is due to its geographical isolation and North Korea’s long-standing adherence to Marxism. Because of its political isolation, China’s economic relativity eventually failed to overcome the absolutelity of politics.


Recently, Northeast Asia has been plagued by the closed politics of Japan and China. South Korea has become an independent variable from neighboring powers, but North Korea appears to have many barriers to cross. Japan has become more cohesive and far-right to overcome the crisis, but it seems to be misdirected. Japan should be more benign, work toward globalization and strengthen its connection with other countries. Chine has a special economic zone like Hong Kong or an entrepreneur like Marwin. But they are oppressed by political absoluteity.

Even in Korea, conservative religions and politicians refuse to change on absolute grounds such as religion and ideology.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Japan, it is clear that it is not a good thing.    

절대적 동북아시아

대게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문화적 특징이 외부세계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던 지역의 사상들은 절대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고, 무역활동이나 과학적인 탐구가 활발했던 지역의 사상들은 상대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절대주의적이란 변하기 힘든 완고한 성향을 의미하여 보수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상대주의적이란 인간 중심의 유용성과 합리성에 바탕을 두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성향이 있어서 진보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동양사상은 대체로 절대주의적이고 서양사상중 베이컨의 경험론사상, 프래그머티즘, 밀과 듀이의 공리주의 사상같이 영국과 미국의 사상은 상대주의적 성향을 띄며 독일의 칸트사상 같은 대륙의 사상은 절대주의적 성향을 띈다.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일본이 극우사상을 쉽게 가지는 배경에는 지리적 고립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고, 북한이 공산주의 사상을 오래 고집한 것도 외부 국가와 교류할 수 없는 특징 때문에 불가피했음을 토로한 바 있다. 중국은 정치적인 고립 때문에 결국 경제의 상대성이 정치의 절대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많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근래에 들어와서 일본과 중국의 폐쇄적 정치성향 때문에 동북아시아가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은 주변 강대국들의 종속변수 역할을 벗어나서 독립변수 역할을 하고 있지만 북한은 넘어야 할 장벽이 많아 보인다. 일본은 국가가 어려워져서 위기를 극복하고자 응집력이 강해지고 극우성향을 보이는데, 방향을 잘못 잡은 것 같다. 더 양성적이고 세계화에 힘쓰고 다른 나라와의 연관성을 강화하는 등 상대주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국은 홍콩 같은 경제특구나 마윈과 같은 경제인이 정치적인 절대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내부에서도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종교나 정치세력들은 종교나 이념같은 절대주의적인 근거를 내세우며 변화를 싫어하지만 일본의 상황을 볼 때 좋은 일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2019년 10월 4일 금요일

The conservatism of law and religion

The reason why Korean legal professionals, including prosecutors, are so conservative is because they have not seen the other world. The studied at school with superhuman effort and entered a good university. They passed the bar exam with superhuman efforts during and after college. It seems undeniable that these talents have spent the golden years of their lives in a peripheral way.


If they have religious contact during a lonely and difficult life, they become very dependent on religion. Later on, he does his best to contribute to religion even after gaining social status. Religion has a conservative character. Religious thinking is rooted in the past. It begins with a scripture in which the saints of the past appear, the state of the old times appear, the kings of the old times appear, and the characters of the old days appear. Religion, therefore, is apt to label the new order unethical.

Sometimes religion attracts people with social status in this way. This helps solidify the position of the clergy. If this process repeat itself, it becomes preoccupied with a power struggle rather than with a power struggle rather than with morality, which is an essential duty of religion. In particular, Protestantism in Korea plays many such roles through aggressive missionary work. I know that because I have been to Protestantism for 6 years.

Religion has a strong inner cohesion by nature. The world of people who have studied law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internal cohesion. When the world of religion and law is combined, one may not know much about global affairs or the world of diverse people.


In retrospect, I read too many books in my teens.

[French History] by Andre’ Moreaua
[The long march] by Harrison E. Salisbury
[Zorba The GreeK] by Nikos Kazantzakis
[The last temptation of Christ] by Nikos Kazantzakis
Ernest Hemingway
Yi Sun-sin
Andre’ Gidd
[Simone Weil] by Georges Hourdin or [Simon Weil] by Simone Petrman
[Kim Hong-seop, a priest and judge] by Choi Jong-Ko
Miyamoto Musashi
[The Karamazov Brothers] by Fyodor Dostoyevsky
Tolstoy
Richard Bark
[Don Quixote] by Cervantes
[The king and me] etc etc etc


If I had dug up a book of laws and religious scriptures, I would have listened to experts. But even if I wanted to believe something, I had a hard time getting involved with philosophical insight. Once on SNS, a swindler approached me, and I enjoyed myself showing my stupidity. If life was boring, I was playing by throwing myself away. I did that to the religious people in my youth.

법과 종교의 보수성

검찰을 비롯한 한국의 법조인들이 보수성을 띄게 되는 이유는 다른 세상을 보지 못한 까닭이다. 학창 시절에는 학교 공부에 초인적인 집중을 해서 좋은 대학을 들어가고, 대학 시절과 졸업 후 몇 년을 초인적인 집중을 해서 사법시험에 합격한 인재들이 인생의 찬란한 시절을 지엽적으로 보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고독하고 험난한 수험생활에서 종교적인 접촉을 하는 인재들은 종교에 많이 의지하게 되고 훗날 사회적인 지위를 얻고 나서도 자신의 종교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러나 종교는 특성이 보수적이다. 종교적 사고는 과거의 일에서 시작한다. 과거의 성인이 등장하고, 과거의 국가가 등장하고, 과거의 왕이 등장하고 과거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경전에서 비롯된다. 때문에 종교는 새로운 질서를 비윤리적인 것으로 낙인찍기 쉽다.

때로는 종교집단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회적 지위를 얻은 사람들을 포섭하여 성직자들의 위치를 공고히 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한다. 그런 과정이 반복되면 모든 종교의 본질적인 의무인 도덕성보다는 사회적 세력 싸움에 몰두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개신교는 공격적인 선교를 통하여 그런 역할을 많이 한다. 나도 6년을 개신교회에 다녀봐서 안다.

종교는 성격상 내적 응집력이 강하다. 법을 공부한 사람들의 세계도 내적 응집력이 강한 특성이 있다. 종교와 법의 세계가 결합되면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돌던지, 세상도 넓고 할 일은 엄청 많다든지 뭐 그런 것을 잘 모를 수 있다.

생각해 보면 나는 10대에 너무 많은 책을 읽었다. 앙드레 모로아의 [프랑스사], 등소평 평전,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헤밍웨이, 이순신 평전, 앙드레 지드, 시몬느 베이유, 김홍섭 평전, 미야모토 무사시,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세르반테스, 리차드 바크, 왕과 나, 기타 등등 기타 등등.

법서 한 권과 종교 경전 한 권을 매섭게 들고 팠으면 나도 전문가가 되어 대접받는 삶을 살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뭔가 믿고 싶어도 철학적 통찰력이 개입하여 애를 먹었다. 한 번은 SNS상으로 사기꾼이 접근한 적이 있는데, 가능한 멍청한 모습을 보여줬다. 오죽 삶에 무료함을 느꼈으면 자신을 던져가며 놀고 앉아 있었다. 20대에 종교인들에게도 그랬던 것 같다.      

2019년 9월 28일 토요일

The object of practice

A long time ago, I led young people preparing for exams and lived on tuition fees. I have taught or studied the legal subjects of college applicants, certified real estate agent applicants, police officers, and general public servants.

I took out the books I had seen for studying for the bar exam longer and compared them to the level of the test takers above. These days, test takers were studying high-quality and difficult. There are times when vested interests obtained through qualification exams are not recognized unless they are important in working-level field experience.

However, if the importance of the field experience goes beyond its purpose, it loses its identity. That may be the reason why Korean prosecutors are being criticized these days.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clearly defined, but the political character is clearly defined, which is why his identity has collapsed.

This phenomenon occurs in many branches. An example is the phenomenon of existing institutional media being threatened by SNS and YouTube. The reason why the prosecution and the media are becoming conservative is probably because they cannot find a clue to innovation.     

현장의 목적

오래전 수험생들을 학습지도하면서 생계를 꾸려간 적이 있었다. 대학교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 부동산중개업자가 되기 위한 자격시험, 경찰 수험생들, 공무원 수험생들의 법률과목들을 직접 학습지도하거나 다른 과목을 학습지도하면서 법률 과목들을 유심히 살펴 본 적이 있었다.

더 오래전 사법시험준비를 위해 공부하던 책들을 꺼내어 위의 수험생들의 수준과 비교를 해봤는데, 요즘 수험생들은 수준 높고 어려운 공부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실무 현장경험의 전문성이 아니라면 자격시험으로 얻어낸 기득권은 인정받지 못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 현장 경험의 중요성이 목적을 벗어나면 동질성을 잃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아마 그런 문제가 요즘 검찰 권력이 비판받는 이유가 될 것이다. 뚜렷하게 내세워야 할 것은 공익성인데 정치성을 내세웠으니 정체성이 무너진 것이다.

이런 현상은 여러 분야에서 나타난다. SNS나 유투브 등으로 기존의 제도적 언론의 위치가 위협받고 있는 것도 그런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검찰이나 언론이 보수성을 띄게 되는 이유는 혁신의 실마리를 찾지 못해서 그런 것일 것이다.    

2019년 9월 21일 토요일

Conservative Paradigm in Northeast Asia

Thirty years ago, a novel by American bestselling author Sidney Sheldon became popular. I had a lot of fun reading memories at the time, so I bought some English versions these days, Moreover, these days, I tend to meet many old people in old places, so it has been a great opportunity to see how I am becoming conservative. The world in the novel could see that not only the flow of IT technology but also people’s feeling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 If I continue to live closely with the past for a long time, I expect it to be completely conservative.

Kuhn ( Tomas Samuel Kuhn 1922 1996 ), a former MIT engineering professor, created a paradigm theory. The paradigm is like ‘the framework of any main viewpoints’ of the period or place, and even science says it does the activity of creating and proving within the paradigm of the period or place. The Ptolemaic theory has been changed to The Copernicus theory. The Copernicus theory is the creation of a new paradigm. Kuhn says science is becoming ‘non-continuous’ by this paradigm shift.

Events such as the Civil Revolution in social science also brought about the non-continuous development of civilized society. Japan had no civil revolution from below. There was a Meiji I Sin(明治維新) in the scope of the Emperor. Japan, which had no paradigm shift, is still very conservative and its economy and social culture are collapsing.

Moreover, Eastern societies have a tradition of withholding the possibility of senior citizens living in an innovative world. And the vertical social atmosphere in the Eastern societies also prevents old people from innovating. Japanese society is a society that has been inherited by young people in the conservatism of the elderly.

Thirty years ago and thirty years ago, Japan was defeated and there was an ideological war on the Korean Peninsula. Thirty years ago and 30 years later(at this time),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engaged in ideological disputes and Japan is showing off its tenacious history and tradition. People in Northeast Asia are indeed living closely with the past.

동북아시아의 보수적 패러다임

30년 전에 유행하던 미국 베스트셀러 작가인 시드니 셀던의 성인 소설을 재미있게 읽은 생각이 나서 영문판으로 몇 권 구입해 읽었다. 더구나 요즘은 옛 장소에서 옛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편이라서 내 자신이 어떻게 보수화되어 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소설속의 세상은 IT기술의 흐름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정서도 요즘과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에 내가 장기간 과거와 밀접한 생활을 계속한다면 완전히 보수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MIT공대 교수였던 쿤 ( Tomas Samuel Kuhn 1922 1996 )은 패러다임 이론을 창시했다. 패러다임은 그 시대나 장소의 어떤 주된 '관점의 틀'같은 것인데, 과학조차도 그 시대와 그 장소의 패러다임 안에서 창조하고 증명하는 활동을 한다고 말한다. 마치 천동설의 시대에는 천동설의 범위 안에서 과학이 성립하고 지동설의 시대에는 지동설의 범위에서 과학이 생성 발전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지동설과 같이 커다란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성되고 패러다임의 교체에 의해 과학은 비연속적으로 변한다고 말한다.

사회과학에서도 시민혁명과 같은 사건들은 문명사회의 비연속적인 발전을 가져왔는데, 일본과 같이 아래로부터의 시민혁명이 없었거나 있었다고 해도 천황제의 테두리 안에서 유신이 있었던 나라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없어서 매우 보수적인 사회를 형성해 나갔고, 그것이 일본의 경제와 문화를 파괴하는 결론으로 치닫고 있는 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구나 동양사회는 노인이 혁신적인 세계에서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는 전통이 있다. 그리고 동양의 수직적인 사회분위기도 노인의 혁신을 막는다. 일본사회는 노인의 보수성에 젊은이들까지 물려 들어간 사회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의 또 30년 전에 일본이 패망하고 곧 한반도에서 이념전쟁이 있었는데,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의 30년 후에(즉 요즘에) 한반도에서는 이념논쟁이 존재하고 일본사회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무너져 가고 있다. 동북아시아 사람들은 참으로 과거와 밀접한 생활을 하고 있다.

2019년 9월 16일 월요일

Japanese ideology

There was a Japanese company that did not look like a Japanese company. Mirai Industrial is a mid-sized company that has produced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tinues to make a profit. The human-centered management of Yamada, chairman of Mirai Industries, was quite famous. Yamada’s educational background is all that he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and once lived in a theater frenzy. So he seemed to know humans well. “When the curtain rises, acting should be left to the actor, otherwise the actor will not grow and the play will be ruined if the actor fails to grow.”It was Yamada’s words.


Japanese grand companies wanted to learn Yamada’s management philosophy. But they were accustomed to customs and habits. They didn’t want to take the risk of change. Yamada is the founder, but existing Japanese grand companies have had history and tradition. Many large Japanese grand companies were founded during the imperial period. They have grown in step with the nationalistic administration. They have failed to have a creative effect on national philosophy.


In May 1969, I went to Japan to study at the invitation of my alma mater, Professor Sambonki(三本木) of the University of North East in Japan. I was at the time leading the Korean metal engineering community. I was an engineering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 studied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s an exchange professor for a year from 1956 when I was invited by the U.S. State Department. By the way, when I came to Japan, my studies at that time were no different than kindergarteners. I couldn’t help but panic.

  - omit -

One day, however, my advisor, Dr. SamBonki(三本木), called me with a serious look.

 - omit -

In other words, he told me to study again at graduate school if I am a doctor who will return to Korea and teach students. Shall I start my master’s degree? Should I start with my Ph.D.? asked. He asked me to start with my master’s degree again.

- Park Hee-sun, a former engineering professorat Seoul National University -

On the other hand, I read a book titled [NIHON SHIDO-GI] published by Shinhan Research Institute(SRI), which was established by officials of Shinhan Bank, a Japanese financial company. The contents are so impressive that I still have a book.  


 A warrior does not enter Nirvana even if he dies. They are a devil to defend his territory and his master. They are reincarnating as a man seven times and ten times and ten times to protect the Lord.

- omit -

Without any doubt, he does not make life a living or death, and he “protects and upholds” all of the world and the future. They live on one of these beliefs. Isn’t this what transcends life and death? Isn’t this the only undying principle?


These contents are repeated. The author of this book is Shugoro Yamamoto, a short story. It was thought perhaps the Institute of Business published to instill loyalty to its employees.


I knew about Mirai Industry in the 2000s, and read Park Hee-suns writings and [NIHON SHIDO-KI] in the 1980s. It was understoo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hindered by ideolog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ould learn a lot from Japan’s failure.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the only one suffering from ideology.


일본의 이념

일본기업 같지 않은 일본 기업이 있어서 화재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전기 제품을 생산하는 미라이 공업인데 계속 흑자를 내는 중견기업으로서 야마다 회장의 인간중심의 경영은 꽤 유명했다중학교 졸업학력이 전부인 야마다 회장은 한때 연극에 미쳐 살았다그래서 그런지 인간을 잘 아는 사람 같았다. “막이 오르면 연기는 배우에게 맡겨야 해. 그렇지 않으면 배우는 성장하지 못하고,배우가 성장하지 못하면 연극은 망해.” 야마다 회장이 하는 말이었다.

일본의 대기업들이 야마다 회장의 경영철학을 배울려고 했지만 관습과 습관에 오랫동안 길들여진 대기업들은 변화를 위한 위험요인을 감당하기 싫어했다. 야마다 회장은 창업주지만 기존의 일본의 대기업들은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경영철학이 있었다. 일본의 대기업들은 일본의 제국주의 시절에 창업을 해서 국가주의적인 정부운영과 보조를 맞추어 영향력을 주고 받았던 것이다. 국가철학과 더불어 국민철학의 영향을 확장시키는데 대기업들은 창조적 역할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나는 19695월 모교인 일본 동북대학 삼본기(三本木)교수의 초청으로 일본 유학을 갔었다. 나는 당시 한국에서는 그래도 금속공학계의 제 일인자로 자처하고 있었다. 그것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교수였을뿐만 아니라, 1956-1957년에 미국국무성의 초빙으로 미네소타 대학에서 교환교수로 유학하여 대학원과정을 수료한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본에 와 보니, 그 당시 내가 갖고 있는 학문은 유치원생이나 다름이 없었다. 나는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중략 -

그런데 하루는 내 지도교수인 삼본기 박사가 심각한 표정으로 나를 부르는 것이 아닌가?

- 중략 -

즉 그는 나에게 만일 귀국하여 대학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칠 의사라면 대학원부터 다시 공부하라는 것이다. 그러면 [석사부터인가, 또는 박사부터인가?]라고 물었다. 그는 석사부터 다시 공부하라는 것이다.

- 박희선 전 서울대공과대교수 -

한편으로는 당시 일본계금융회사인 신한은행 관계사들이 설립한 신한종합연구소(SRI)에서 출판한 [NIHON SHIDO-KI]란 책을 대학시절 읽었는데, 그 내용이 워낙 인상적이라서 책을 아직도 가지고 있었다.

무사인 자는 비록 죽는다고 해도 성불은 하지 않는다. 악귀나찰이 되어 영토와 주군을 수호하는 것이다. 일곱 번, 열 번 인간으로 환생하여 주군을 수호하는 것이다.

- 중략 -

털끝만한 의혹도 없이 오직 외곬로 일관된 열렬한 불꽃같은 신념, 생을 생으로 삼지 않고 사를 사로 삼지 않으며 현세도 미래도 다 바쳐서 수호하고 받든다는 신념 하나로 살아간다. 이것이야말로 생사초탈의 경지가 아닌가? 이것이야말로 유일불멸의 도가 아니겠는가?

이런 내용이 반복해서 나오는데, 야마모토 슈고로(山本周五郞)란 작가의 단편소설이지만 기업연구소에서 직원들에게 충성의 이념을 주입시키기 위한 의도로 출판했던 것 같다.

미라이 공업에 관해서는 2000년대에 알았고, 박희선 박사의 글과 일본사도기는 1980년대에 읽었는데,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이념에 의해 방해받는 현실이 이해되기도 한다. 한국과 북한은 일본의 실패에서 크게 배워야 한다. 이념 때문에 고생한 것은 한반도뿐만 아닐 것이다.


2019년 9월 7일 토요일

일본과 한국의 법조계( The legal profession of Japan and Korea)

요즘 한국에서 신임 검찰총장이 장래 검찰개혁을 지휘할 가능성이 짙은 법무장관 후보자에게 예리한 칼날을 세운 사건이 화재다. 여당의 입장과 야당의 입장에서 다르게 해석하는 바가 있고, 기대하는 몫도 다를 것이다.

These days, South Korea’s new prosecutor general has used his right to investigate a justice minister nominee in a harsh manner. The nominee for justice minister was highly likely to lead the future prosecution reform. I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heir positions will be different and their expectations will be different.

검찰의 수장이 된 신임 검찰총장은 여당과 야당 양진영에 동일한 잣대를 사용할려고 할 것이다. 법무장관 후보자에게 냉혹한 수사권을 행사하는 모습이 야당에게 마냥 좋은 것은 아닐 것이다. 이 난관을 극복하면 다음은 야권에 냉혹한 수사권을 행사할 것이다. 검찰 조직을 사랑하는 신임 검찰총장의 심사숙고한 해결책은 진영논리에 휘둘리지 않고 강력한 검찰 권한을 행사하여 검찰의 위상을 높이자는 의도가 있을 것이다.

The new prosecutor general will deal wi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o the same extent. Harsh treatment for the justice minister nominee is not as good for the opposition. If he crosses this hurdle, the opposition party’s turn will be next. The new prosecutor general loves the prosecution’s organization and will deliberate on it without being swayed by the logic of the camp. He would like to use his strong prosecution authority to enhance the prosecution’s status.

한편으로는 엘리트 권력끼리의 자존심 싸움도 내재되어 있을 것이다. 수직적 권력관계에 민감한 검찰의 분위기는 주종관계가 명백해질 미래의 질서를 흔들어 보자는 의도도 있을 것이다.

On the one hand, there will also be a battle of pride among elite power groups. The mood of the prosecution, which is sensitive to vertical power relations, may also be intended to shake up the order of the of the future when the owner’s relationship with the servant becomes clear.

한국이 일본의 영향을 아주 나쁘게 받은 예가 있다면 법률 시스템일 것이다일본의 법조계는 일본 사회조직이 철저하게 내집단화되어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집단이 되지 못한 전통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일본의 권력기관이나 군부는 국민을 위해 일하지 않고 천황이나 국가를 위해 일한다는 관념이 강하다. 일본의 검찰은 방해받지 않는 권력으로서 천황과 국가에 봉사했고, 한국의 검찰은 그 전통을 그대로 가지고 온 역사가 있다.

An example of Korea being so badly influenced by Japan would be the legal system. The Japanese social organization has been thoroughly internalized, so it is inflexible and has a tradition of not serving the people. The same is true of Japan’s legal circles. Japan’s powerful authorities and military have not worked for the people but for the emperor or the nation. Japan’s prosecution was an unobstructed power and served the emperor and the nation. South Korea’s prosecution brought the tradition of the Japanese prosecution as it is.

독일법계인 일본이나 한국의 검찰과는 달리 영미법계인 미국의 검찰은 수사권이 없고 기소권만 있다. 수직적 권력관계나 출세하고는 인연이 없다. 영미법계는 법조시스템이 서있는 토양 자체가 수평적이고 민주적이다. 그래서 배심원제와 선거제가 도입되어 있다.

Unlike Korea and Japan, which are German legal systems, prosecutors in English and American law countries have no right to investigate. The have only the right to indict. They have no relation to vertical power or success.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is not vertical but democratic. So a jury system and an election system are introduced.

물론 영미법계에서도 법조계로 진출하는 것은 사회적 출세를 위한 바탕이 된다. 그러나 공권력의 행사와는 별로 인연이 없고, 시장경제의 바탕위에서 변호사업무를 통한 경쟁논리 속에서 우열을 가린다. 일본이 그렇듯이 한국의 법률시스템은 미래지향적이지 못하다.

Of course, entering the legal profession in English and American law circles is the basis of social advancement. But it has little to do with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Legal professionals compete on the basis of a market economy through legal business. Like Japan, Korea’s legal system is not future-ori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