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4월 22일 토요일

The disadvantages of the Cold War

This joke was circulating in Israel at a time when Israel was unconditionally winning when it fought a war against a neighboring Middle Eastern country.

 

In the face of a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Israel's cabinet sought a solution to the difficulty.

 

The Secretary of State for Economic Affairs suggested that Israel send a warship to bomb New York. Then Israel will go to war with the United States. Then, of course, Israel will lose, and the United States will revive the Israeli economy by providing economic aid like the Marshall Plan, the economy minister said.

 

Then the Secretary of Defense was worried. That's true, but if Israel wins, how are you going to handle the situation?

 

It's not the nature of this joke, but the economy is important. And the economy is intertwined. During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sed up a lot of national power due to economic and military competition. The Soviet Union eventually collapsed, and the United States suffered many victims through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e new Cold War crisis is attributable to the rise of conservative ideas beyond national interests. China and Russia are 'more' conservative. In the difficult environment and the absence of information, conflict gains strength rather than cooperation. This is because the path to conflict is easy and stimulating. As an individual, it is like becoming violent or depressed in the middle-aged period when the mind and body are declining, becoming unstable and leading the situation to a conflict. In addition, the path of conflict is easy and stimulating, so it obtains path dependence. It means that it is increasingly easy to be dragged in.

 

These days, the attitude of German or French leaders negotiating with China for the national interest (without firming the US side) is not to be viewed as a conflictist view.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China is showing an attitude to cooperate with the West.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russia 


Even if Russia fails in the war with Ukrain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regime will collapse. I have expressed my opinion a few times in a roundabout way, but it will not be Putin's dogmatic intentions. It is inevitable for North Korea and Russia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will accept the bad situation as fate if the conditions are as bad as they are now. Therefore, the situation should always be judged in the long ru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hould also have a long-term perspective.


A good leader should be able to persuade the United States, Russia, or China to actively improve the Cold War situation, not to be dragged passively. This is because the U.S. will also want a gradual victory (cooperation).

 

냉전의 불이익

이스라엘이 주변의 중동국가와 전쟁을 하면 무조건 이기던 시절에 이스라엘에서 이런 농담이 돌아다녔다.


장기간의 경기침체가 있자 이스라엘의 내각에서 이 난국을 타결할 해결책을 모색했다.

 

이스라엘이 전함을 보내서 뉴욕을 폭격할 것을 경제장관이 건의했다. 그러면 미국과 전쟁을 할 것이다. 그러면 당연히 이스라엘이 질 것이고 미국은 마샬 플랜과 같은 경제 원조를 하여서 이스라엘 경제를 부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국방장관이 걱정했다. 그렇긴 한데, 만약 이스라엘이 이기면 그 사태를 어찌 감당할 거요?

 

이 농담의 본질은 아니지만 경제가 중요하다. 그리고 경제는 서로 엮여 있다. 냉전시절에 미국과 소련은 경제적 군사적인 경쟁으로 많은 국력을 소모시켰다. 소련은 결국 무너지고 미국은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등을 통하여 많은 자국민들이 희생되었다.

 

요즘의 신 냉전 사태는 국익을 넘어선 보수주의(확실히 해야 할 것은 러시아나 중국도 그렇다는 것이다.)사상의 창궐에 그 원인이 있다. 어려운 환경과 정보의 부재상태 에서는 협력 보다는 갈등이 힘을 얻는다. 갈등의 길이 쉽고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개인으로 말하자면 심신이 쇠퇴하는 중년의 시절에 사나워지거나 우울해지기를 반복하며 불안정해지고 상황을 갈등관계로 끌고 가는 것과 같다. 또 갈등의 길이 쉽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경로의존성을 얻는다. 점점 끌려 들어가기 쉽다는 뜻이다.

 

요즘에 독일이나 프랑스의 지도자들이 국익을 위하여 (미국편을 확고하게 하지 않고) 중국과 협상하는 태도는 어느 편에 선다는 갈등론적 관점으로 볼 것이 아니다. 달리 보면 중국이 서방과 협력하려는 태도를 보인다고도 할 수 있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9F%AC%EC%8B%9C%EC%95%84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실패해도 정권이 무너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회적으로 의견을 몇 번을 표현했지만 푸틴 대통령의 독단적인 의도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북한처럼 여건이 나쁘면 나쁜 만큼 나쁜 상황을 숙명처럼 받아들일 국민이 많다는 것은 북한과 러시아의 어쩔 수 없는 점이다. 그래서 상황은 항상 장기적으로 판단해야 하고, 국제관계도 장기적인 안목을 가져야 할 것이다.

 

훌륭한 지도자라면 이 냉전 상황을 능동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미국과 러시아나 중국을 설득할 수 있어야지 수동적으로 끌려 다닐 일은 아니다. 미국도 점진적인 승리(협력)를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2023년 4월 15일 토요일

The fallacy of conservative economics

When the media recently said that Korea's population decline is expected to become serious, some said that due to the nature of Korea, which has a large population density, it is not bad to reduce the country's population to an acceptable and appropriate population. Such an opinion was expressed without recognizing tha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was caused by the division of labor system, domestic demand size, and a large number of educated brains.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path dependence, population extinction will accelerate further, and the path to destruction will come faster.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increases, past-oriented politics that embody the political power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begins, and past-oriented politics accelerates further destruction. It can be said that China, Korea, Japan, and Russia have entered the path of attenuated path dependence. The path of a conservative political economy is a path that should not be taken.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onomist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onomics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BD%EC%A0%9C%ED%95%99%EC%9E%90


I once criticized many economists for attempting to tie economics into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disciplines, and I think they have induced it to act as a conservative reality by excluding value-based elements of economics. That's what I think as a realistic living person, not an economist.

 


On one occasion, the current government in Korea came up with a policy to reduce the amount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control unemployment benefits because it ran out of employment insurance funds. In reality, the government's policy is a decision not to consider that unemployment benefits in Korea are very useful for short-term contract workers, low-wage workers, and low-level workers in 3D jobs, and serve to attract workers to labor-intensive jobs. When I looked at the workers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most of them were contract workers suffering from difficult workplaces and low wages.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ervative economic policy, the economic planners of the current government in Korea regarded the lower-class workers as insignificant and hateful.

 

 

When a conservative government is established in Korea, the government is busy encouraging workers to work hard by making past-oriented ideological judgments without thinking of boosting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ocial economy by pulling out the abilities of field workers.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many religious people, real estate or financial income earners, and ideologicalists behind the conservative government. Such a phenomenon alienates the national economy itself from manufacturing. And as a result, the real estate and financial sectors are enlarged, eventually making the national economy vulnerable to recession and strengthening social stratification, creating a futureless economy. It's an extreme metaphor, but it's easy to understand what will happen if Ponzi schemes or crypto fairs occupy a large area of the economy.

 

 

Many of the high-productivity services that are supposed to be replacing manufacturing such as finance, transport and business services (e,g,.management consulting, engineering, design) = can not exist without the manufacturing sector, because it is their main customer.

 

- omit -

 

This why countries with strong manufacturing industries, like Switzerland and Singapore, also have strong service industries (although the service is not necessarily truce).

 

- [ Edible Economics ] by Ha-Joon Chang -



At first glance, we think that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and financial sectors is a representation of capitalism, but Switzerland and Singapore. Germany, Japan during the revival period,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growth period are all manufacturing powers. Korea will need to quickly bring politics and the economy into a practical atmosphere to grow its future. The current global economic turmoil is due to the invasion of a conservative coalition of ideological,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religious groups.

  

보수주의 경제학의 오류

얼마 전 언론에서 한국의 인구감소 문제가 심각해질 예상이라고 하자 인구밀도가 많은 한국의 특성상 국토가 수용 가능한 적정 인구로 감소 조절 되는 결과도 나쁘지 않다는 의견도 나왔다. 그런 의견은 한국의 경제발전이 많은 인구로부터 발생한 분업체계, 내수규모, 교육받은 훌륭한 두뇌가 많음에 원인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고 내놓은 의견이다. 게다가 경로의존성의 성질 때문에 인구 소멸은 더욱 가속화되어 멸망의 길은 더욱 빨리 올 예정이다. 한 예로 장년과 노인 인구가 많아지면서 장년과 노인의 정치력이 체화된 과거지향적인 정치가 시작되고 과거 지향적인 정치는 더욱 멸망을 가속화 시킨다.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등은 감쇄적 경로의존성의 길에 들어섰다고 해도 될 것 같다. 보수적인 정치 경제의 길은 가지 말아야 할 길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BD%EC%A0%9C%ED%95%99%EC%9E%90


언젠가 나는 많은 경제학자들이 경제학을 계량적이고 통계학적인 학문으로 묶어 버리는 시도를 비판한 적이 있는데, 경제학의 가치 판단적인 요소를 배제함으로써 경제학을 보수적인 현실로 몰고 가는 작용을 하도록 유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경제학자가 아닌 현실적 생활인의 생각으로선 그렇다.

 

한 번은 한국의 현 정부가 고용보험 기금이 바닥난다는 이유로 실업급여의 액수를 줄이고 실업급여를 통제하는 정책을 내놓았다. 현실적으로 한국의 실업급여는 단기 계약직이나 저임금 노동자, 3D 직종의 저급 근로자들에게 매우 유용하고 인력을 구할 수 없는 고된 노무현장에 인력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생각하지 않은 결정이다. 실업급여를 받는 근로자들을 살펴보니 대부분 어려운 근로현장과 저임금에 시달리는 계약직들이었다. 한국의 현 정부의 경제입안자들은 보수경제정책의 특성상 하층 근로자들을 하찮고 밉게 보았던 것이다.

 

한국에서 보수정부가 들어서면 현장근로자들의 능력을 끌어내어 사회 경제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활성화할 생각을 하지 않고 과거 지향적인 이념적 판단을 하여 열심히 근로할 것만 독려하기 바쁘다. 그러나 실제로 보수정부의 배후에는 정치에 참여하는 종교인, 부동산이나 금융 소득자, 실행보다는 관념이 앞서는 이념론자 들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그런 현상이 국가 경제 자체를 제조업과 멀어지게 하고, 부동산 분야와 금융분야를 비대화 시켜 불경기에 취약하고 사회 계층화를 강화 시켜 미래 없는 경제를 만든다. 극단적인 비유지만 폰지 사기나 암호 화페가 경제의 큰 분야를 차지하면 어떤 현상이 생길지 생각해 보면 이해가 쉽다.

 

Many of the high-productivity services that are supposed to be replacing manufacturing such as finance, transport and business services (e,g,.management consulting, engineering, design) = can not exist without the manufacturing sector, because it is their main customer.

 

- 중략 -

 

This why countries with strong manufacturing industries, like Switzerland and Singapore, also have strong service industries (although the service is not necessarily truce).

 

[ Edible Economics ] by Ha-Joon Chang -


우리가 얼핏 부동산이나 금융 분야가 발달한 것이 자본주의 표상이라고 생각하지만 스위스나 싱가포르. 독일, 부흥기의 일본, 부흥기의 미국은 모두 제조업 강국이다. 한국은 정치와 경제를 빨리 실질화 시켜야 미래를 성장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발생한 세계경제의 환란은 이념, 정치, 경제, 군사, 종교등이 연합한 보수적 연합군의 침공 탓이다.          

2023년 4월 2일 일요일

War with the Old Man

Heraclitus, a pre-Socrates Greek philosopher, said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always changes and that symmetrical things struggle and maintain balance. Nowadays, it seems that older people around the world are overwhelming young people and cannot maintain balance. And the old man doesn't change either. I'm talking about a world that's rapidly becoming conservative.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Russia


The biggest reason for Russia's invasion of Ukraine is the political desire of the old generation to re-experience the glory of the former Soviet Union in Russia. I once wrote that President Putin must also be embraced by the conservative and militant aspirations of the people. This is true of the reality of China, Japan, and Korea.

 

Older people are past-oriented because they ar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aging and lifespan. The elderly are bound to be irresponsible about the future they won't have to live in. So they are more subject to habit. In the vertical Eastern society, which still does not achieve a complete equal society and gives many vested interests in authority, status, and age, an elderly-centered society is bound to proceed rapidly.

 

The tendency of the elderly i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elderly. As I observed while driving a neighborhood bus for a long time, 90 percent of passengers who cause bad events were in their 50s (more broadly, in their late 40s and early 60s). So are most of the people who commit violent crimes in society. There is also that age behind global war or expansionism. Older people and older lead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Perhaps the age group is the generation most shocked by the rapid physical decline. The onset of aging and physical decline rush the mind and hinder the gradual future design. Therefore, there is also a reason to induce the younger generation to enter the political area at a certain rate. The elderly should think of more objectifying themselves and living forever in a healthy body and mind.

 

In fact, at that age, I was able to properly find such characteristics in the behavior of myself and my acquaintances. As a result, I often think that giving up sensual greed and managing myself well is giving peace to myself and my surroundings. But it's not easy. In particular, the case of Russia's invasion of Ukraine was the first to touch my mind with a generational conflict rather than the point of view of unification or war between countries, which I consider very important. It is regrettable to look at who thought of war and supported it, and who are dying while fighting without knowing why. Moreover, I had a lot of experience of suffering from old gangsters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s in my youth. Therefore, it seems to have predicted that the conservative psychology of the elderly will bring disaster to the world. However, since we are all going to be elderly, I think we should try to objectify and improve such problems rather than evaluate the good and evil of the elderly generation. The old man is bright and there is no war. Young people are usually bright.

 

 

 

2023년 4월 1일 토요일

노인과 전쟁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철학자인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는 세상의 모든 것은 항상 변하며 서로 대칭적인 것이 투쟁하여 균형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요즘은 전 세계에서 노인이 젊은이를 압도하면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 같다. 그리고 노인은 변하지도 않는다. 나는 지금 빠르게 보수화되고 있는 세상을 이야기하고 있는 중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9F%AC%EC%8B%9C%EC%95%84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가장 큰 이유는 러시아 국내의 구소련의 영광을 그리워하는 구세대들의 정치적 열망이다. 푸틴 대통령도 국민의 보수적이고 팽창주의적인 열망에 포섭되어 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중국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의 현실을 봐도 그렇다.

 

노인들은 노화와 수명의 한계를 인지하기 때문에 과거 지향적이다. 살아 볼 일이 없을 미래에 대해선 무책임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더욱 습관에 지배당한다. 아직도 완전한 평등사회를 이루지 못하고 권위와 지위 그리고 나이에 대해서 많은 기득권을 부여하고 있는 수직적인 동양사회에서는 노인중심의 사회가 빠르게 진행될 수 밖에 없다.

 

노인의 건강은 노인의 성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장기간 근린 버스 운전을 하면서 관찰해 보니 불협화음을 일으키는 승객의 90퍼센트는 50(좀 넓게 보면 40대 후반-60대 초반)였다. 사회적으로 강력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의 대부분도 그렇다. 세계적인 전쟁이나 팽창주의의 이면에도 그 나이대가 있다. 나이 먹은 국민과 나이 먹은 지도자가 상호 협조한다.

 

아마 그 연령대는 급격한 신체적인 쇠락에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세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노화의 시작과 신체적인 쇠락은 마음을 급하게 하고 점진적인 미래설계를 방해한다. 그래서 정치권내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로 젊은 세대들의 진입을 유도해야 할 이유도 있다. 노인은 자신을 좀 더 객관화 시키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영원히 살 것을 생각해야 한다.

 

사실 나 자신도 그 나이대가 되 보니 내 자신과 지인들의 행태에서 그런 특징을 제대로 찾아낼 수 있었다. 그러다 보니 감각적인 욕심을 버리고 자기 자신을 잘 관리하는 것이 내 자신과 주변에 평화를 부여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때가 많다. 그러나 쉽지 않은 일이기는 하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건은 내가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는 통일문제나 국가 간의 전쟁이라는 관점보다 세대갈등적인 관점이 가장 먼저 마음에 와 닿았다. 전쟁을 생각하고 지지한 것은 누구이며 영문도 모르고 싸우다 죽어가는 사람들은 누구인지 살펴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더구나 나는 청년기에 학벌이 높은 노폭들에게 많이 시달려 본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노인의 보수적인 심리가 세상에 재난을 가져 올 것이라는 예측도 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리 모두 노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노인 세대의 선과 악을 평가하기 보다는 그런 문제를 객관화 시키고 개선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노인이 밝으면 전쟁이 없다. 청년은 대개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