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2년 7월 25일 월요일

International order and clear purpose

Korean politics is constantly and consistently plagued by demands to improve the people's livelihood. The economy and people's livelihood are clear goals. However, there are sometimes scenes where amateur politicians fall while focusing on ideology or local internal struggles.

 

Deng Xiaoping, who was well aware of the relationship and identity between the U.S. and China, told future political leaders to hide their power without rushing to compete for supremacy with the U.S.

 

The United States was forced to become a major power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abundant resources, and democratic political order without sacrificing its hegemony.

 

There is a saying that the successive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always engrave. In his 1976 retirement speech, George Washington said, "Don't antagonize certain countries because of deep-rooted animosity, nor engage in passionate approaches from any country, and keep a constant distance from permanent allies in the outside world."

 

- [PRISONERS OF GEOGRAPHY] by TIM MARSHALL -

Double translation

 

The U.S. was able to maintain its cool-headedness while geographically close countries caused conflicts and fought a war of attrition with a desire for supremacy rather than cooperation.

 

Russia's invasion of Ukraine is also a mistake not seen in the distant future. Korea is also divided, so I understand Russia's purpose for reunification, but it will be hard to get out of the disputed territory that will be driven into isolation for 100 years like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because national and regional emotions do not disappear until the end of a generation's physical life and consume national power.

 

What kind of relationship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ill maintain in the future depends on generational perception rather than ideological issues. It is fortunate that Kim Jong-un, the new generation of North Korean leader, took power. Of course, it is thought that the internal conflict with the generation that will take scientific socialism (communism) to the grave has been slowly resolved.

 

Since South Korea is a democratic country,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the old generation who owns the right to vote remains an obstacle to inter-Korean unification and cooperation. South Korea's current administration is offering realistic opinions that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depends on the U.S. attitude toward the North. However, the political power of the old generation, which does not have the will to reform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may be the most problematic.

 

Clarify the question

 

When you look at seasoned politicians, they exquisitely avoid answering whatever people ask. In fact, avoiding tricky questions is a technique that most people often use. This is because it is often easier to move on appropriately to ambiguous and meaningless answers than to organize various facts and give practical answers. However, avoiding the truth will only lead to an increasing spiral of misinformation and meaningless behavior.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vortex,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question.

 

- [ ESSENTIALISM ] by GREC McKEQWIN -

 Double translation    

국제질서와 명확한 목적

한국의 정치는 끊임없고 한결같이 민생을 개선하기 위한 요구에 시달린다. 경제와 민생은 명확한 목적이다. 하지만 가끔 아마추어 정치인이 이념이나 국지적인 내부투쟁에 집중하다가 몰락하는 장면을 보기도 한다.

 

미국과 중국의 관계와 정체를 잘 알고 있던 덩샤오핑은 후세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섣불리 미국과 패권경쟁을 하지 말고 힘을 숨기라고 했다.

 

미국은 패권을 갖추기 위한 소모적인 희생 없이 지리적인 위치와 풍부한 자원, 민주적 정치질서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강대국이 되었다.

 

미국의 후임 대통령들이 늘 새기고 있는 말이 있다. 바로 1976년 조지 워싱턴의 퇴임 연설 가운데 뿌리 깊은 반감 때문에 특정 국가들과 반목하지 말며, 또한 어떤 국가들의 열정적인 접근에도 연루되지 말 것이며, 바깥 세계에서는 항구적인 동맹들과도 일정하게 거리를 두라.” 는 말이 있다.

 

- [PRISONERS OF GEOGRAPHY] by TIM MARSHALL -

 

지리적으로 밀접한 국가들끼리 협력보다는 패권을 향한 욕망으로 갈등을 일으키고 소모전을 치루는 동안 미국은 냉철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먼 미래를 보지 못한 실책이다. 한국 또한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통일을 향한 러시아의 목적은 이해하나 한반도처럼 100년 동안 서로 고독한 처지에 내몰릴 분쟁지역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국민감정이나 지역감정은 한 세대의 물리적인 생명이 다 하는 날까지 없어지지 않고 국력을 소모시키기 때문이다.

 

한국과 북한이 미래에 어떤 관계를 유지할 것이냐는 이념문제 보다는 세대적인 인식에 달려 있다. 북한에서 신세대인 김정은 위원장이 정권을 잡은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물론 과학적 사회주의(공산주의)를 무덤까지 가져갈 세대와의 내부갈등을 빠르지 않게 해결해 온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의 특성상 11표를 소유한 구세대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 것이 남북통일과 협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의 현 정부에서 북한에 대한 정책은 북한에 대한 미국의 태도에 의존한다는 현실적인 의견도 있지만 한반도의 미래에 대한 개혁의지를 가지지 않은 구세대의 정치력이 가장 문제점일 것이다.

 

질문을 명확히 하라

 

노련한 정치인들을 보면 사람들이 무엇을 물어보더라도 대답을 절묘하게 회피한다. 사실 까다로운 질문을 회피하는 것은 대다수 사람들이 자주 활용하는 기술이다. 여러 가지 사실들을 정리하여 실제적인 대답을 하는 것보다는 모호하고 의미 없는 대답으로 적당히 넘어가는 편이 당장 쉬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실을 회피하다 보면 점점 더 잘못된 정보와 무의미한 행위의 소용돌이로 빠져들게 될 뿐이다. 이러한 소용돌이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질문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 ESSENTIALISM ] by GREC McKEQWIN -

 

 

2022년 7월 11일 월요일

Innovation and Conservatism

I still go to the country school where I spent my high school days. When I was in high school, I was on the cutting edge by reading current affairs magazines or books related to the opening of North Korea or China. I loved the time when I was forced to. Sometimes I came to Seoul and watched a movie at the French Cultural Center, and I loved that I could get out of my situation with my mind alone.

 

Later, I read legal books for a very long time, and I think I regressed then. And the old habit of conception has gone on for a long time. I have been reading books related to world geography, economics, or high-tech engineering for a long time to have a "real-life" spirit, and I think it is because I was born in Korea, where the existence of the country is difficult without innovation.

 

It is understandable that resource-rich and population-rich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are conservative. However, it is embarrassing for Japan and South Korea to take a conservative stance. This is why Japan, which is on the decline, has been in power for a long time by a conservative government that is far from innovation. In Korea, I think that even if a conservative government is established, the focus should be on reform. This is why the future does not open without constant innovation.

 

 

Peter F. Drucker is talking about various behaviors that hinder innovation.

 

1, The Trap of a Popularity Program

 

In the end, being in an industry that has no choice but to change and continuing to do business without preparation for the future means taking a path to ruin. And in the economy, it's not enough to do better than in the past

 

2. the shackles of past practice

 

The process used to promote change is the subject of distrust or ridicule among members, and rather, the organizational past practices that should be transformed are strengthened. Staff and consultants should properly grasp the opinions of field employees in the project, but it is easy to ignore them because they consider the opinions of field employees as sub-areas.

 

3. Effort is more important than genius.

 

Innovation is 'not the result of flashy genius, but the result of constant effort and perseverance to change.

 

4. The goal must be big.

 

Innovation requires tremendous creativity and effort, and the big goal can promote the direction of innovation and the energy of execution.

 

I reconstructed some of the books on innovation published by the Korea Economic Daily. Not to mention North Korea, even in South Korea, a sense of innovation is misunderstood as a left-wing sense because it is entangled in ideological issues. And conservative political leaders have a habit of not reading. Conservatism is in decline in Japan. And decline breeds a conservative attitude. Japan is experiencing a vicious cycle, but Korea is also very dangerous.

 

 

혁신과 보수주의

고등학교 시절을 보낸 시골학교를 아직도 가끔 가본다. 고등학교 때 학교 공부는 안하고 시사 잡지나 북한이나 중국의 개방과 관련된 서적을 읽으며 나름 최첨단을 걷고 있었다. 나는 어쩔 수 없이 그랬던 그 때가 너무 좋았다. 가끔 서울로 와서 프랑스 문화원에서 영화를 본 적도 있는데, 내가 처한 상황을 정신만으로도 벗어날 수 있다는 게 너무 좋았다.

 

나중에 아주 오랫동안 법률서적을 읽었는데, 나는 그때 퇴보한 것 같다. 그리고 구태의연한 관념의 습관이 오래 갔다. ‘실사구시적인 정신을 갖추기 위해 또 오랫동안 지리. 경제학, 첨단 공학관련 서적을 읽고 있는데, 혁신하지 않으면 국가의 존립 자체가 어려운 한국에서 태어난 탓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이나 러시아 같은 자원과 인구가 풍부한 국가들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이해가 간다. 그러나 일본이나 한국이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당황스럽다. 쇠락의 길을 걷는 일본은 혁신과 거리가 먼 보수정부가 장기 집권한 까닭이다. 한국에선 보수정부가 들어서더라도 개혁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끊임없이 혁신하지 않고는 미래가 열리지 않는다.

 

Peter F. Drucker는 혁신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행태를 이야기하고 있다.

 

1, 유행성 프로그램의 함정

 

결국 변화할 수 밖에 없는 산업에 속해 있으면서 미래에 대한 준비 없이 사업을 계속하겠다는 것은 망해가겠다는 길을 걷겠다는 뜻이다. 그리고 경제에서는 과거보다 잘 한다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2. 과거의 관행이라는 족쇄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 프로세스가 구성원들 사이에 불신이나 조롱의 대상이 되고 오히려 변혁되어야 할 조직의 과거 관행이 강화된다는 점이다. 스태프와 컨설턴트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관정에서 현장직원들의 의견을 제대로 파악해야 하는데, 현장직원들의 의견을 하위영역으로 홀대하기 쉽다.

 

3. 천재성 보다 노력이 중요하다.

 

혁신은 번뜩이는 천재성의 결과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 할려고 하는 노력과 인내의 결과이다.

 

4. 목표는 커야 한다.

 

혁신을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독창성과 노력이 필요한데, 큰 목표는 혁신의 방향성과 실행의 에너지를 촉진 시킬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에서 발행한 혁신에 관한 서적을 보고 일부 재구성 해봤다. 북한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에서도 이념문제에 얽혀서 혁신적인 감각이 좌파적 감각으로 오해되고 있고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정치지도자는 독서를 하지 않는 습관이 있다. 일본은 보수가 쇠락을 낳고 쇠락이 보수주의적인 태도를 낳는 악순환을 경험하고 있지만 한국도 매우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