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4년 5월 18일 토요일

About the cycle / Contratief

 Thursday, June 5, 2014

About the cycle / Contratief



When I was in school, I used to joke around with my friends to guess the future. I predicted that my economically inferior friend would definitely get rich, but now, decades later, he runs a large business and accepts the cycle of inferiority and overcoming as fate, and friends praised my brilliant foresight and laughed. I was actually the weakest of my friends, and I became the healthiest of my friends. Of course, I didn't want to talk about anything other than health, and I laughed again.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is bound to undergo economic turmoil. A long-term perspective on all areas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s well as the economic sphere, seems to be experiencing the regularity of the wave. The perception of freedom that suddenly spreads as authoritarian identity collapses seems strong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yearning. A society dominated by religious author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thinking such as scientific discoveries and the Renaissance shows a rapid collapse. This seems to be an easy problem to understand, considering efforts to self-purify errors or errors in the vital human social system.

 

 

In economics, it seem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cycle. Of course, Keynes say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it with a non-macroscopic or long-term perspective that is helpful to the real economy.

 

 

After that, in 1936, Keynes tried to explain general short-term economic fluctuations and the Great Depression through a book called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e argued that a recession could occur if the aggregate demand for goods and services decreased. Keynes has long criticized classical macroeconomic theories that can only explain the long-term effects of economic policy. A few years before publishing the General Theory, Keynes' article on classical economic theory includes the following lines.

 

 

Long-term analysis does not help us understand what is going on. Long-term analysis kills all of us. If the role of economists is to say, "The typhoon will pass and the sea will calm down in a long time" during a typhoon season, the role is too easy and useless.

 

- N. Gregory Mankiw [ESSENTIALS OF ECONOMICS] -

 

Nikolay Dmitrievich Kondratieff (1892-1938?), a famous Russian economist and statistician, says that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causes a long-term wave as the mid-term wave, which goes through the four stages of recession, recovery, boom, and retrograde, is repeated about five or six times. The cause is presumed to be due to innovative technologies and inventions, and Contratieff says that the first cycle is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econd cycle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eel and rail industries, and the third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automobile, and chemical industries. Contratieff helped draft the first five-year Soviet economic development plan to help the Soviet Union grow its economy, which was purged after criticizing Stalin's policy of collectivizing agriculture and the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plan of industry and agriculture.

 

 

Contratiev, who understands the business cycle of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well, may have thought that the future of excessively artificial and rigid communist economic policies is uncertain. Stalin may have been hindered by economists' assertion that political value judgment should be excluded. Contratiev's criticism seems to have been prescient given the problem of government failure, such as stagflation, in which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of market failure with the belief that the government can control the business cycle.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the 'return to the liberal economic system' that neoliberals claim is true. Political or social values are closely related to economic values, and the problem of the liberal economic system seems to be that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inherits them. In other words, I think it may be another rational cycle that the problems of the neoliberal system need to be removed and improved. Contratiev, who opposed Stalin's policy, is presumed to have not made a political value judgment on communist economic policy, but because he was concerned about the reactionary will of the rigid system.

 

 

1.Cycle exists in all fields, in all areas.

2.Cycle is the adjustment process of errors.

3. Whatever economic ideology, rigidity should be improved.

 

 

When I felt unlucky, I recalled the biblical phrase, "Those who cry today, laugh tomorrow," and I laughed thinking that the deep meaning of the cycle was alive in the Bible.

파동(cycle)에 관하여 / 콘트라티에프

201465일 목요일


파동(cycle)에 관하여 / 콘트라티에프



학창시절 친구들에게 미래를 알아맞춰보겠다고 장난을 치던 생각이 난다. 경제적으로 열등한 친구에게 반드시 부자가 될것을 예측했는데, 실제로 수십년이 지난 지금은 커다란 사업체를 운영하며 열등감과 극복의 사이클 순환을 고스란히 운명으로 받아들인것을 보면서 친구들끼리 나의 빛나는 선견지명을 칭찬하며 웃기도 하였다. 실제로 몸이 가장 약했던 내 자신은 친구들중 가장 건강한 모습이 되었다. 물론 건강 말고 다른 문제는 말하기도 싫다고 말하며 또 웃었다.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은 경기파동을 겪게 마련이다. 경제영역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살펴보면 파동의 규칙성을 경험하는듯 하다. 권위주의적인 정체(政體)가 무너지면서 갑자기 확산되는 자유에 대한 인식은 갈망의 정도에 비례하여 강력한듯 하다.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종교적인 권위가 지배하는 사회는 과학적 발견이라든지 르네상스와 같은 인간 중심적인 사고가 발전함에 따라서 급격히 붕괴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생명력을 가진 인간사회 시스템의 오류나 오류를 자정(自訂)하기 위한 노력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되는 문제인듯 하다.

 

 

경제학에서는 이 사이클을 이해하는게 무척 중요한듯 하다. 물론 현실 경제에 도움이 될 만큼 장기적이거나 거시적이지 않은 안목으로 이해하는것 도 중요하다고 케인즈는 말한다.

 

 

그후 1936에 케인즈가 [고용과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이라는 책을 통해 일반적인 단기 경기변동과 대공황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는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 수요가 감소하면 경기침체나 불황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케인즈는 오래전부터 고전학파의 거시경제이론이 경제정책의 장기적 효과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해왔다. [일반이론]을 발표하기 몇 년 전에 케인즈가 고전학파 경제이론에 대해 쓴 글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있다.

 

 

장기 분석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장기에는 우리 모두가 죽는다. 경제학자들의 역할이 고작 태풍이 닥치는 계절에 "태풍이 지나가고 한참 있으면 바다가 잠잠해질 것이다."라고 말하는 정도에 그친다면 그 역할은 너무 쉽고 쓸모없는 것이다.

 

- N. Gregory Mankiw [ESSENTIALS OF ECONOMICS] -

 

러시아의 유명한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인 콘트라티에프(Nikolay Dmitriyevich Kondratieff 1892~1938? )는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은 불황기,회복기,호황기,후퇴기의 4단계를 거치는 중기파동이 5,6차례정도 되풀이되면서 장기파동이 발생한다고 말한다. 그 원인은 혁신적인 기술과 발명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콘트라티에프는 1기 순환은 산업혁명, 2기 순환은 철강과 철도산업의 발달, 3기에는 전력, 자동차, 화학공업의 발달에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콘트라티에프는 1차 소련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입안을 도와 소련의 경제성장을 위해 노력했는데, 스탈린의 농업 집단화정책과 공업과 농업의 불균형적인 발전계획을 비판하다가 숙청되었다.

 

 

생각해보면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의 경기순환을 잘 이해하고 있는 콘트라티에프로서는 지나치게 인위적이고 경직된 공산주의 경제정책의 미래가 불투명함을 생각했을듯 하다. 정치적인 가치판단을 배제해야 하는 경제학자의 주장은 스탈린에게 장애가 되었던것 같기도 하다. 경기순환을 정부가 조절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시장실패의 문제점을 해결할려는 시도가 스태그플레이션같은 정부실패의 결과로 나타나는 문제를 보면 콘트라티에프의 비판은 선견지명이 있었던듯 하다.

 

 

그렇다고 해서 신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으로의 회귀'가 진리라고 할 수는 없는듯 하다. 정치적 또는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와 서로 깊은 관계에 있으며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의 문제는 신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이 그대로 물려받고 있기 때문인듯 하다. 달리 표현하자면 신자유주의 시스템의 문제점은 제거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순리적인 사이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스탈린의 정책에 반대한 콘트라티에프는 공산주의 경제정책에 대해서 정치적인 가치판단을 한 것이 아니라 경직된 시스템이 보여주는 반동(反動)적인 의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것으로 추정된다.

 

 

1.사이클은 모든 분야, 모든 영역에서 존재한다.

2.사이클은 오류의 조정과정이다.

3.어떤 경제이념이든지 경직성은 개선되어야 한다.

 

 

불운하다는 생각이 들때 "오늘 우는 자여 내일 웃으리라"라는 성서의 구절을 떠 올리기도 하는데, 사이클에 관한 깊은 의미가 성서속에 살아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웃기도 하였다.

 

 

2024년 5월 11일 토요일

The evils of law / Emile

The troika that destroys Korean society are ideology, religion, and law. Of course, the most important of them is ideology. Ideology always lasts long, does not endure for long, and is not gentle. The same is true of religion and legal culture (especially the prosecution). The three ideological troika have common problems. They hinder the power to think. Once created, unconditional obedience is forced. This can be described as 'no philosophy (power to think).

 

In particular, these days, we cannot help but talk about the problems of law education and fundamentally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Korea has a fairly developed legal culture. Law was a tool for rising status, a tool for realizing justice, and a means of evading law. Evading is not illegal, but it means agile and aggressive immoral behavior of pioneering a niche market using the law.

 

The massive charter fraud in Korea allowed us to see how deeply rooted law without morality is in the lives of the people in Korean society. On the one hand, many Koreans experience how confusing it is for them and the country when a lawyer without philosophy plays politics.

 

In Korea, many gifted students became legal professionals. Then, they studied law for a long time and worked in the legal profession for a long time. However, Korea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but legal professionals are more likely to become entrenched. Legal professionals are genuine professionals. If they think they will do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law, they will have to humbly accept the environment first. And they have to make constant efforts. When they quickly realized that a gifted student is a gifted student in study or law, not a gifted student in the world, other abilities could arise.

 

When I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I read some of Rousseau's "Emile" that I received as a dumping item. In the book, he told me not to despise the underachieving boy. It was written that the boy will grow taller and intellectually over time. I remembered the content for a long time. I also renovated myself at a very old age, who was sluggish in development, brainless, and unable to exercise. Turns out, I was better at sports than others. On the contrary, what if the gifted person in his boy days spent decades on vested interests without self-improvement? He thinks he is smart, but others will laugh at him. It is believed that law played that role in Korea.


He has to learn for himself, but he uses his own intellectual ability but does not use other people's. This is because if he don't want to be bound by anything, he shouldn't be bound by authority. And most of our errors come from others more than from us. Mental health arises from such constant training. It's like physical health is given by labor and fatigue.

 

- [ EMILE ] BY J,J,ROUSSEAU -

 

Korea should look again at all areas of education, including law education, for the future.

법학 망국론 / 에밀

한국 사회를 망가뜨리는 트로이카는 이념과 종교와 법학이다. 물론 그 중에 제일은 이념이다. 이념은 언제나 오래 가고, 오래 참지도 않으며 온유하지도 않다. 종교와 법조 문화(특히 검찰)도 마찬가지다. 세 가지 관념적인 트로이카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생각하려는 힘을 방해한다. 한 번 만들어지면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한다. 이것을 철학(생각하는 힘)이 없다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특히 요즘은 법학 교육의 문제점, 근본적으로는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이야기 안 할 수가 없다.

 

 

한국은 법학 문화가 꽤 발달해 있다. 법학은 신분 상승의 도구이기도 했으며 정의 실현의 도구이기도 했고, 탈법의 수단이기도 했다. 탈법은 불법은 아니고 법을 이용해 틈새시장을 개척하는 민첩하고 앙큼한 비도덕 행위를 의미한다.

 

한국에서 크게 터진 전세 사기 사건은 한국 사회에서 도덕성 없는 법학이 얼마나 국민들의 생활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했다. 한 편으로는 철학 없는 법조인이 정치를 하면 본인과 국가를 얼마나 혼란스럽게 하는지를 많은 한국인들이 경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많은 영재들이 법조인의 길을 갔다. 그리고 오랫동안 법률 공부를 하고 오랫동안 법조계에서 일한다. 그러나 한국사회는 급속도로 변하지만 법조인은 고착되기 쉽다. 법조인은 진정한 전문인인 것이다. 법과 다른 일을 하겠다고 생각하면 일단 겸손하게 환경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영재가 공부의 영재거나 법학의 영재이지 세상의 영재가 아님을 빨리 깨달았을 때 다른 능력도 생겨나게 될 것이었다.

 

나는 중학교 졸업할 때 개근상으로 덤핑물건처럼 받은 루소의 [에밀]을 먼 훗날 일부분 읽었다. 그 책에서는 성장이 부진한 소년을 경멸하지 말라고 했다. 그 소년은 시간이 지나면서 키도 크고 지적인 능력도 성장할 것이라고 씌여졌다. 나는 그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을 했다. 그리고 발육도 부진하고 머리도 안 좋고 운동도 못하는 내 자신을 아주 아주 많은 나이에 개조시켰다. 알고 봤더니 나는 운동능력이 남보다 뛰어났다. 만약 반대로 소년 시절에 영재였던 이가 자기 계발을 안 하고 기득권에 얹혀서 수 십년의 세월을 보내면 어떻게 될까. 그는 자신은 똑똑하다고 생각하는데, 남들은 그를 보고 비웃는 상황이 만들어질 것이다. 한국에서는 법학이 그런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기 스스로 배워야 하는 그는 자기의 이지는 사용하지만 남의 이지를 사용하는 짓은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의견에 아무것도 매이지 않으려면 아무것도 권위에 매이지 말아야 할 테니까 말이다. 그리고 우리들의 오류의 대부분은 우리들에게서보다 타인들로부터 생기는 일이 더 많다. 그와 같은 끊임없는 단련으로 하여 노동과 피로에 의해서 육체에 주어지는 건강함과 비숫한 정신의 건강함이 생겨나게 된다.

 

- [ EMILE ] BY J,J,ROUSSEAU -

 

한국은 미래를 위하여 법학 교육을 비롯한 교육의 전 분야를 다시 살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