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0년 6월 28일 일요일

North Korea - U.S.summit and a hard-line faction

It was a mistake for President Trump to bring Bolton to the North Korea-U.S. summit. Because the North Korea-U.S.summit was not originally aimed at dealing with the North hard. The hard-liners are those who don’t expect a negotiated settlement. President Trump must have brought Bolton in as a counter-horse to the originally hard-line North Korea. But there is always a big stir in what hard-liners do.

Was it necessary to try the king? The Gironde Party did not want this. It was because it would divide France, stimulate local public opinion and cause division within the party. There is something to blame for the king, too. But I believe it is legal and useful to rescue the king from where he is.

-omission-

On the other hand, Saint-Just and Robespierre wanted the king’s trial and death penalty. In their opinion, the king was not a defendant to be indicted and tried, but an enemy to be killed. In addition, they were thinking of digging a ditch between the Girond Party and ancien regime.

- [History of France] by Andre Maurois -

After the French Revolution, the moderate Grironde Party’s Danton was executed by the radical Party’s Robespierre. The Jacobin Party was carrying complaints from small citizens and workers on its back. And Jacobin’s party has sufficiently instigated a disgruntled class that has yet to subdue the excitement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hard-liners think of the effects of agitation. Hard-liners are made from past experience or temperament. Bolton is believed to have been mindful of President Reagan’s hard-line policy that led the United States to dominate in the face of fierce competition with the former Soviet Union. Bolton must have also been mindful of President Bush’s hard-line policy of seeking advice from Protestant clergy to counter Islamic terrorism.

However, the North Korea-U.S.summit had many different conditions than that. The purpose was not to fight and win, but to induce North Korea to become a normal country and a market economy.

No matter how good an ideology, a successful politician is not fit for the post if he no longer fits his job. Churchill won World War 2 but lost the general election after Germany’s defeat. Because he was not fit for peace. I think Bolton may have been driven by too much by habit.

2020년 6월 27일 토요일

북미협상과 강경파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에 볼턴 보좌관을 대동한 것은 실수였다. 원래 북미정상회담은 북한을 강경하게 상대하려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강경파는 협상의 타결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원래 강경했던 북한에 대한 상대수로 볼턴을 참가시킨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언제나 강경파의 파문은 크다.

국왕을 재판할 필요가 있었을까? 지롱드당은 이것을 원하지 않았다. 프랑스를 분열시키고 지방의 여론을 자극하고 당 자신의 분열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국왕에게 비난할 점이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니나 국왕을 현재의 처지 그대로 구출 한다는 것은 합법적이며 유용하다고 믿는다.

-중략-

이에 반하여 생-주스트와 로베스피에르는 국왕의 재판과 사형을 원하고 있었다. 그들의 생각으로는 국왕은 기소되어 재판을 받을 피고가 아니라 살해해야 할 적이었다. 그 뿐 아니라 그들은 이 사형을 계기로 지롱드당과 구체제간에 넘을 수 없는 도랑을 파 놓으려고 생각했던 것이다.

앙드레 모로아가 지은 [프랑스사] 중에서 - 

프랑스혁명 이후 온건파인 지롱드 당의 당통은 급진파인 자코뱅당의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사형당하게 된다. 소시민과 노동자의 불만을 등에 업은 자코뱅당은 프랑스 혁명 후에 흥분이 가라앉지 않은 불만계층을 충분히 선동했다. 나중에 정세가 안정되고서 로베스피에르도 단두대에서 처형당하게 된다.

강경파는 선동의 효과를 생각한다. 강경파는 과거의 경험이나 기질등으로 만들어진다. 볼턴 보좌관은 구소련과의 경쟁이 치열할 때 미국을 우세하게 이끈 레이건 대통령의 강경책을 마음에 많이 두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으로는 이슬람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서 종교적 대척점에 있는 개신교 성직자의 조언을 구했던 부시 대통령의 강경책도 마음에 두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북미협상은 그때와 많이 다른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싸워서 이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북한을 정상국가와 시장경제 국가로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훌륭한 이념을 가지고 성공한 정치가라도 더 이상 직무에 맞지 않으면 그 자리에 적합하지 않은 정치가다.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끈 처칠이 독일이 항복하고 나서 총선에 패배한 것은 평화시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볼턴 보좌관도 너무 습관에 의해 움직였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2020년 6월 21일 일요일

Intrinsic purpose and continuity

Young people, young leaders, and those who have just become leaders, if not young, are busy. Because of hope and duty to do what must be done, they are sincere, daring and rational. However, if he grows older or stays in power for a long time, his empathy decreases, his ego becomes stronger, and his body and mind become dull.


In some cases, the older powerful men of a less modern country make strange judgments like the leader of a cult. He is so narcissistic that he is mistaken for a great man. The public is afraid of physical restraint and creates a belief in the leader through self-hypnosis. But when faith is broken, the public quickly becomes a mob betraying its leader.


For years, I observed various environments while driving buses in different cities. Those who urge bus drivers to hurry or make a fuss on the bus are almost middle-aged people. When you look at their faces, their eyes are scattered and their complexion is not good. Moreover, Korea has trained many small dictators through its long military government.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en I was a beginner in society, I was shocked to learn that the world of middle-aged intellectuals was mostly immersed in power relations.


organizations with clear goals and clear roles in their role will have an amazingly large dynamic. Each member’s capabilities complement each other and produce great results throughout the organization. So how do we make our goals clear? First of all, determining an essential goal can be one way.

- [Essentialism] by GREG McKEOWN -




Leaders of liberal countries could be accused of being overly pragmatic. But I think that if they don’t forget their purpose and have persistence, they can be of great help to the nation and people. Of course, the same goes for the leader of a transitional state who moves from a totalitarian state to a liberal one.


In the White House seminar room in 1962, historian David Harbert Donald criticized President John Kennedy for being overly pragmatic. Later, when President Kennedy was criticized for being lukewarm about human rights issues, he was quoted as saying. “ It’ll take time, but I’m sure I’ll do all this.”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focus on ideology or popularity with the public will lead to the problem of forgetting both purpose and continuity.

본질적인 목적과 지속성

젊은 사람들. 젊은 지도자들, 젊지 않아도 이제 막 지도자가 된 사람들은 바쁘다. 희망과 해야 할 일에 대한 의무 때문에 성실하고 과감하며 이성적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거나 권력의 자리에 오래 있으면 공감능력도 떨어지고, 자아가 강해지며 몸과 마음의 능력이 둔해진다. 사람들이 초심을 잃지 않기는 힘든 일이다.

전 근대적인 국가의 나이 든 권력자가 사이비 종교의 교주 같은 이상한 판단을 내리는 경우가 있다. 자신은 자아도취에 빠져서 자신이 위대한 사람이라고 착각을 한다. 물리적인 제제를 무서워하는 대중들은 자기 최면을 통하여 지도자에 대한 믿음을 채워 넣는다. 그러나 믿음이 깨지는 날, 대중들은 급하게 지도자를 배신하는 폭도로 변한다.

몇 년 동안 여러 도시에서 노선버스 운전을 해봤는데, 버스 기사에게 서둘러 가기를 종용하거나 소란을 피우는 사람들은 거의 중 장년층들이다. 얼굴을 보면 눈빛도 흩어지고 혈색도 좋지 않다. 더구나 한국적인 상황은 오랜 군사정부 시절을 거치면서 작은 독재자들을 많이 양성했다. 학력하고는 전혀 상관없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는 중장년 지식인들의 세계가 거의 권력 관계에 몰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경악했다.

목표와 구성원의 역할이 명확한 조직은 놀라울 정도로 커다란 역동성을 발휘하게 된다. 구성원들 개개인의 역량이 서로 보완적으로 기능하면서 조직 전체적으로 커다란 성과를 이루어 내는 것이다. 그렇다면 목표를 명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본질적인 목표를 결정하는 것이 그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 [Essentialism] by GREG McKEOWN -

자유주의 국가의 지도자들은 실용적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 가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목적을 잊지 않고 지속성을 지니게 되면 국가와 국민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제 국가에서 자유주의 국가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지도자도 마찬가지다.

1962년 백악관 세미나실에서 역사가인 데이비드 하버트 도널드가 존 케네디 대통령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이 지나치게 실용적이라고 비평했다고 한다. 나중에 케네디 대통령은 인권문제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가해지자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시간이 걸리겠지, 그러나 틀림없이 이 모든 것을 할 생각이야.”

그러나 이념이나 대중에 대한 인기에 몰두하게 되면 목적과 지속성을 전부 잊어버리는 문제가 생길 것 같다

2020년 6월 14일 일요일

New Cold War and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is taking a tough stance because of the fact that a North Korean defector sent leaflets to the North Korea. I understand North Korean defectors. However, such an act is a provocation by civilians against North Korea. And such behavior is also bad for the future of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21st centur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ailed to control the spread of leaflets by North Korean defectors while focusing on internal affairs related to the Corona incident. North Korea is in a situation where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overlap with the Corona crisis. Moreover, North Korea has only seen bad things while specific exchanges wi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delayed.


Chinese medical staff were urgently dispatched to North Korea as the Corona crisis reached its peak. I imagine a lot of appointments with the medical staff would come to North Korea together. Russia has provided 23,000 tons of wheat to North Korea. In addition, the Russian ambassador said North Korea would not negotiate with the United States before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The Russian ambassador’s words contained a clear and concise authority of the benefactor side. It was not South Korea and the U.S. that gave realistic help to North Korea in difficult situations.
.

Instead of Chairman Kim Jung-un, Vice Minister Kim Yo-jung will probably have a reason for it. 1) The intention is not to take the issue to extremes yet. 2) A Loyal Relationship with the South Korean President on Agreeing o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Inter-Korean Summit 3) Chairman Kim’s safety code or as leader may have the intention of working-level education of Vice Minister Kim Yo-jung


Unlike North Korea and China, where power is concentrated on the head of the government, South Korea and the U.S. are liberal countries. That is why there is strong public opinion against North Korea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anne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sending leaflets by law, some say it is a submissive attitude toward the North Korea. Meanwhile, one example is that there is an opinion in the U.S that seeks to see a collective and extreme conclusion rather than a phased negotiation.


These day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re forced to side with each other amid antagonism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North Korea professes to stand on the side of China, which is certainly helpful. It seems justified for North Korea, which has been cut off from the world, to stand on the side of a helping country. China tells South Korea not to get involved in the Hong Kong crisis as a friend. (Personally, when I’m on the U.S. side, people who used to send messages on Twitter often use the word “friend”to me. So I knew he was Chinese.) There was a strong sense of warning in the expression “friend”.


The United States is trying to bring South Korea into the C7 conference. These days, the Korean Peninsula faces a very classical environment. It returned to the Cold War era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The Soviet Union has only been replaced ny China. China has forgotten its much brighter and more flexible past.


The U.S. should have pursued both lifting economic restrictions on North Korea and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The future of North Korea and the stability of Kim Jong-un’s regime are closely related. If there is a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the North Korea will be thrown into chaos like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North Korean military, which is likely to take power, received only ideological education and war-related education. When another character appears, there must be foreign interventio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uld get worse.


Truman’s first instinct was to get along with Stalin, especially since the American chiefs of staff remained anxious for Soviet participation in the war against Japan. Although he had been put off by Molotov’s intransigent behavior at his first encounter with the Soviet Foreign Minister in April 1945, he ascribed the difficulties to a difference in historical experience. “We have to get tough with Russians,” Truman said. “They don’t know how to behave. They are like bulls in a china shop. They are only twenty-five years old. We are over a hundred and the British are centuries older. We have got to teach them how to behave.”

- [ DIPLOMACY ] BY HENRY KISSINGER -              

2020년 6월 13일 토요일

새로운 냉전과 한반도

탈북민들이 북한에 전단을 살포한 이유로 북한이 강경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탈북민들의 사정이나 북한 체제에 대한 증오심은 이해하지만 한 국가에 전단을 살포하거나 코로나 방역활동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살포하는 행위는 비군인의 도발행위로 여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21세기의 남북한 관계의 미래에 어울리는 방법도 아니다.

한국 정부는 코로나 방역과 관련된 내치(內治)에 몰두하다가 전단 살포 행위에 대한 관심을 놓쳐버린 문제가 있고, 북한은 코로나 사태까지 겹친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 한국과 미국에 어떤 구체적 교류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나쁜 것만 보게된 형국이 되었다.

코로나 사태가 절정에 이를 무렵 중국 의료진이 긴급하게 북한에 파견이 되었는데, 나의 상상에 불과하지만 의료진과 더불어 많은 약속들이 함께 방문했을 것이다. 더구나 23000톤의 밀을 긴급히 지원한 러시아의 대사는 북한은 미국의 대선전에 미국과 협상할 의도가 없다고 혜택을 주는 쪽의 권위를 실어 명료하게 잘라 말한 적이 있다. 어려운 상황에서 북한에 현시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나라는 한국과 미국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나마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나서지 않고 김여정 부부장이 나선 것은 1)문제의 사안을 아직은 극단으로 끌고 가지 않겠다는 의도 2)남북 정상회담에서 두 나라의 협력관계를 합의 한 한국 대통령과의 최소한의 의리 3)김여정 부부장의 지도자 또는 김정은 위원장의 안전코드로서의 현장 실무 교육등의 의도가 있을 것이다.

집권적인 국가인 중국이나 북한과는 달리 한국과 미국은 지유주의 체제이다 보니 북한에 대한 태도가 일관되지 못하거나 강경한 여론이 존재하는 이유도 문제다. 한국이 탈북자들의 전단 살포행위를 법으로 금지하자 그것은 북한에 대한 굴종의 태도라는 의견이 나오거나 미국에서 단계적인 협상이 아닌 일괄적이고 극단적인 결론을 볼려는 의견이 존재하는 것도 문제다.

요즘 북한과 한국은 미국과 중국의 반목 속에서 어느 쪽 편들기를 강요받고 있다. 북한은 확실히 도움이 되는 중국 편에 서겠다고 공언 한다. 세계와 단절된 북한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나라의 편에 서는 것은 당연하다. 중국은 한국에 친구로서 홍콩 사태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고 한다. (개인적으로 북한 문제에 대해서 미국 편을 들 때, 공작해 오던 트위터 상의 인물들이 나에게 친구라는 표현을 자주 써서 중국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다.) 친구라는 표현 속에 강한 경고의 의미가 있었다. 미국은 한국을 G7회담에 끌어넣고자 한다. 이 즈음 에서 남북한이 매우 고전적 환경에 직면했다는 생각이 든다. 소련과 미국의 냉전 당시로 회귀했다. 소련이 중국으로 대체되었을 뿐이다. 중국은 훨씬 유연하고 밝은 태도를 가지고 있던 과거를 잊어버린 문제가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미국이 경제제제해제와 비핵화 협상을 점진적으로 동시에 추구해 나가야 했다는 아쉬움이 있다. 여러 차례 언급 했지만 정치적으로 혼란한 중동국가들처럼 북한에 급변 사태가 났을 때 고개를 들 수 있는 북한군부 인물들의 교육성향, 다른 인물들이 등장했을 때의 외부 세력이 개입할 가능성을 생각해 볼 때 북한의 미래와 김정은 위원장 체제의 안정성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과 미국관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Truman’s first instinct was to get along with Stalin, especially since the American chiefs of staff remained anxious for Soviet participation in the war against Japan. Although he had been put off by Molotov’s intransigent behavior at his first encounter with the Soviet Foreign Minister in April 1945, he ascribed the difficulties to a difference in historical experience. “We have to get tough with Russians,” Truman said. “They don’t know how to behave. They are like bulls in a china shop. They are only twenty-five years old. We are over a hundred and the British are centuries older. We have got to teach them how to behave.”

- [ DIPLOMACY ] BY HENRY KISSING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