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0년 12월 28일 월요일

Singapore and North Korea(2) /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which experienced the Choseon Dynasty and Japanese rule, civic consciousness did not grow easily. In a broad sense, the birth of the Park Chung-hee military government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against it were inevitable.

 

When I was young, Korean society was not completely institutionalized yet. At that time,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played the song of the Saemaul Undong(a campaign to create a new town) on its speakers every morning to awaken the people’s consciousness. I can’t forget those days. And soon after, the nation was shaken by the fatigue of long-term rule and the aging of its leader. And I can’t forget that the pro-democracy movement took place to correct the situation.

 

Singapore’s Prime Minister Lee Kuan Yew has long-term power, and has grown people’s citizenship through a system called strong legislation. Prime Minister Lee Kuan Yew did not let authority arise from force and personal charisma like President Park Chung-hee did. As British lawyer, he left the role to the system (especially the law), and he pursued the public interest thoroughly. Therefore, Singapore’s law is strong.

 

I saw and learned more than any other university during the three and a half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of Singapore. At that time I still didn’t understand Mao Zedong saying that power comes from the gun. However, experiencing the brutality and force of the Japanese army, I witnessed for sure what determined the superior and the servant, what made them obey and even more loyal.

 

-omission -

 

The final stage of colonization is to allow locals to accept the ethnic superiority and domination of the Japanese as a natural course of nature. If Japan had time to spare, it would have succeeded.

 

-omission -

 

However, there were exceptions. Koreans have not stopped resisting since Japan began to rule. Japan tried to destroy Korean customs, culture, and language, but Koreans protested against barbaric oppressors with firm determination. Japan has killed countless Koreans, but has never defeated their souls.

 

However, it was rare for Koreans. Taiwan, which had been ruled by China, Portugal, the Netherlands and Japan in turn, did not resist them much. And if Japan continued to dominate Singapore and Malaya, they would probably have succeeded in colonizing it as they did in Taiwan in 50 years.

 

- [ The Singapore Story] by Lee Kuan Yew -

Double translation

 

When I think about it, I hated the sense of authority that occurred in the workplace from my youth. The older generations of Korea were unwittingly imitating the military government’s leader. Everyone wanted to be a king of some degree. Prime Minister Lee Kuan Yew has developed a sense of civic consciousness through the system for Singaporeans, which is to be praised.

 

It would be hard to expect sudden democratization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a strong sense of pride and negative feelings toward Japan for quite some time. As I have felt in South Korea for quite a long time, there will be many people in North Korea who who are tamed by strong government. Such people can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civic consciousness because their views are vertical and powerful. This is especially true given the fact that the vestiges of authority, including the prosecution, last for quite a long time in Korea.

 

Chairman Kim Jung-un the new generation, may have the advantage of not learning the ‘bad things’ of the old generation. If North Korea reforms, I think the Singapore model is the best. First of all, the North Korea should focus on reforming the system, including laws(especially commercial laws and tax laws). The reason why the nation continues to be healthy despite the occasional collapse of unreasonable leaders in Korea may be because of the solidly established system.  

싱가포르와 북한(2) / 제도화

조선왕조 시대와 일본 통치기를 겪은 한국에서 시민의식은 쉽게 성장하지 않았다. 대국적으로 생각하면 박정희 군사정부의 탄생과 그에 맞선 민주화 운동 세력은 한국 역사에서 필연적이었다는 생각을 한다.

 

나는 어렸을 때 아직 완전히 제도화 되지 못한 한국 사회에서 국민의식을 일깨우기 위해 새벽마다 앞산의 스피커에서 들려오던 새마을 노래를 잊지 못한다. 그리고 얼마 후 장기적인 집권과 권력자의 노화(老化 / aging)로 인한 피로감 때문에 국가가 흔들리고 그것을 교정하기 위해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것도 잊지 못한다.

 

싱가포르의 리콴유 총리는 장기적인 집권을 하며 강력한 법률이란 제도를 통하여 시민의식을 성장 시켰다. 박정희 정부와 다른 점은 권위라는 것이 개인의 카리스마나 무력을 통하여 발생하게 하지 않고 영국 변호사 출신답게 제도(그 중에 특히 법률)에 그 역할을 맡기고 집권자는 철저하게 공리성(共利性 / the public interest)을 추구했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싱가포르의 법이 강력하다.

 

나는 일본군이 점령한 3년 반 동안 그 어느 대학에서보다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그때 나는 아직 마오쩌뚱의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는 말은 모르고 있었지만, 일본군의 야수성과 무력을 체험하며 과연 무엇이 상전과 하인을 결정짓고 무엇이 사람들을 복종하게 하고 더 나아가 충성하게 만드는지 확실히 목격했다.

 

- 중략 -

 

식민화의 마지막 단계는 일본인 자신들의 인종적 우월성과 지배권을 현지인들이 자연의 섭리로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다. 만약 일본에게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면 아마 성공했을 것이다.

 

- 중략 -

 

그러나 예외의 경우도 있었다. 한국인은 일본이 한국을 통치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저항을 멈추지 않았다. 일본은 한국인의 풍습, 문화, 언어를 말살하려 했지만 한국인은 굳은 결의로 야만적인 압제자에게 항거했다. 일본은 수많은 한국인을 죽였지만 그들의 혼은 결코 꺾지 못했다.

 

그러나 한국인과 같은 경우는 흔치 않았다. 중국, 포루투갈, 네덜란드, 일본인에게 차례로 지배당한 바 있는 대만은 이민족 상전들에게 별달리 저항하지 않았다. 또한 만약 일본이 싱가포르와 말라야를 계속 지배했다면 아마 50년 안에 그들은 대만에서 했던 것처럼 식민화에 성공했을 것이다.

 

- [ The Singapore Story] by Lee Kuan Yew -

 

생각해보면 청년기부터 일터 등에서 발생하는 권위주의적인 행태들을 보며 눈살을 찌푸렸는데, 한국의 구세대들은 자신도 모르게 군사정권의 모방의식을 간직한 까닭이었다. 그러니까 누구나 그만큼의 왕이 되고 싶었던 것이다. 리콴유 총리가 대단한 이유는 싱가포르 국민에게 제도를 통하여 시민의식을 성장하게 해 주었다는 점이다.

 

북한에 대해서는 갑작스러운 민주화가 기대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은 아쉬운 면이 있다. 자존심이 강하고 일본 통치에 대한 저항심을 꽤 오래 간직하고 있지만 내가 한국에서 꽤 오랫동안 느낀 점인데, 강력한 통치에 길들여지는 사람들이 꽤 많을 수 있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그런 국민들은 수직적 권력관계의 관점을 가지기 때문에 두고두고 시민의식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 한국에서 검찰등을 비롯한 권위의 잔재가 꽤 오래 간다는 점을 보면 특히 그렇다.

 

신세대인 김정은 위원장은 나쁜 점이 학습되지 않은 이점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이 개혁을 한다면 싱가포르 모델이 최적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가장 먼저 법률(특히 상법과 세법)을 비롯한 제도적인 개혁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끔 한국에서 공리적이지 못한 지도자들의 파행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굳건하게 다져진 제도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2020년 12월 23일 수요일

Singapore and North Korea /Fourth industry

http://www.economywatch.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9

 

Shortly before the Windows System came out, a relative who wa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was learning IT hard using DOS language. I wanted to have a computer while playing Tetris game with my relative’s computer. But I consoled myself that I would be able to enjoy a much better computer life if I waited a little longer. Soon after, the Windows system came out and the Windows system evolved rapidly. At the university, professors who had been talking only about COBOL or FORTRAN for a very long time were attracted to new IT technology.


Developed countries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transfer existing technologies to later countries to prompt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human race. There, it was natural that the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would be faster than that of advanced countries if un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made a little effort. This is why some predict that North Korea, which has many smartphone users compared to its economic level, will be able to succeed if it is immersed in the fourth industry.

  

If there is an agricultural base or a secondary industry base, it may be detrimental to national development. The reason why the development of many underdeveloped countries has stagnated is because agriculture and mining play a minimal role. It is because they do not devote their capabilities to developing human resources, including the knowledge industry. Korea and Singapore have overcome these bad conditions well. The same is true of Japan, but it is different that modernization began early in Japan.

 

Singapore had a prominent leader, Lee Kuan Yew. Prime Minister Lee Kuan Yew seems to have learned strategies to govern Singapore by doing various things to survive under Japanese rule in the past or studying in Britain. Prime Minister Lee Kuan Yew’s ability to get the necessary ideas from many experiences seems outstanding. Intuition seems to come from experience.  

  

At that time, I thought that wealth of a country was simply determined by the size of its territory and natural conditions, such as oil and gas, and the rich soil suitable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But a few years after I came to power, I realized that although Singaporeans lived in Singapore the same way, they had different incomes for different ethnic groups and differences existed within the same ethnic group. I have introduced various policies to eliminate this inequality, but the result has been the same.


In the end, I had to conclude that the innate ability,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human individual were the most powerful factors in determining the size of wealth.

 

- [FROM THIRD WORLD TO FIRST] BY LEE KUAN YEW -

(Double translation)

2020년 12월 22일 화요일

싱가포르와 북한 / 4차산업

http://www.economywatch.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19

WINDOW 시스템이 나오기 직전에 전산학과를 다니던 친척이 컴퓨터를 마련하여 DOS 언어를 사용하여 열심히 IT학습을 하고 있었다. 테트리스게임을 하며 컴퓨터를 갖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좀 기다리면 훨씬 발전된 형태의 컴퓨터생활을 즐길 수 있을 거라고 스스로 위로하면서 기다렸다. 얼마 후 WINDOW 시스템이 나오고 WINDOW 시스템은 빠르게 진화해갔다. 대학에선 아주 오랫동안 COBOLFORTRAN 이야기만 하던 교수님들이 새로운 IT기술에 끌려 다니고 있었다.

 

선진국은 신기술을 개발하고 기존의 기술은 후발국가에 넘겨주면서 인류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니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이 조금만 노력하면 경제개발의 속도가 선진국에 비해서 빨라지는 것은 당연했다. 경제수준에 비해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많은 북한은 4차 산업에 몰입하면 성공할 수 있으리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농업기반이 있거나 2차 산업의 기반이 있으면 오히려 국가발전의 독이 되는 경우가 있다. 많은 후진국의 경제가 정체되어 있는 이유는 농업과 광업이 최소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필사적으로 지식산업을 비롯한 인적개발에 역량을 쏟아 붓지 못하는 까닭이다. 이런 나쁜 조건을 잘 극복한 대표적인 나라가 한국과 싱가포르다. 일본도 그렇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일찍 시작되었음이 다르다.

 

싱가포르는 리콴유(이광요)라는 걸출한 지도자가 있었다. 리콴유 총리는 일본 통치하에서 생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일을 하거나 영국 유학생활을 하면서 싱가포르를 통치하기 위한 전략을 학습해 온 것 같다. 많은 경험 속에서 필요한 생각들을 얻어내는 리콴유 총리의 능력이 출중하게 생각 되었다. 직관은 경험속에서 나오는 것 같다.

 

당시 나는 부(/rich)라는 것이 단순히 한 나라가 소유한 영토의 크기 그리고 농업이나 임업에 알맞은 비옥한 토양이나 풍부한 강수량, 또는 석유나 가스와 같은 지하자원 등의 천연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내가 집권하고 몇 년이 지난 후 나는 똑같이 싱가포르에 살면서도 각 민족 계층마다 수입이 다르고 같은 민족내에서도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나는 이런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도입해 왔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나는 부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에는 인간 개개인의 선천적인 역량과 교육 수준 그리고 훈련이 가장 강력히 작용한다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었다. 부의 창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로 지식과 기술이었다.

 

- [THE SINGAPORE STORY] by LEE KUAN YEW -

 

2020년 12월 9일 수요일

Prosecution and Responsibility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80%EC%B0%B0%EA%B0%9C%ED%98%81


Deng Dal, who was studying law hard to become a prosecutor, lost his book. The police man looked for the book and said to Deng Dahl. Is this your chegimgam(Korean Language of Responsibility)?

 

Humor.

 

If there is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society, those who want to have power should try to neutralize it as much as possible. If they take power by using ideological confrontation because they are in a hurry, a relatively strong hostile group will be created. In fact, it’s hard to come to power in such shallow ways now. He will have to find a policy request with responsibility.

 

One day on a snowy morning, I was driving a packed bus to downtown Seoul, and I was afraid and at staked. I never felt as specific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I did in my life. I thought then. “I just had to study calmly. So I should have lived in an abstract sense of responsibility.”

 

I took the first bar exam once in my youth. Cultural history and economics and criminal law far exceeded the passing mark. I thought I would pass quickly if I study in earnest. However, there was no passion for the course after passing the exam. At that time, a former prosecutor who won the first place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 and the first place in the bar exam was in the spotlight as the crown prince of the Fifth Republic. His eyes were fierce and sharp, but I thought he had crooked ambitions as a second-class servant of the military government. One day he attacked the leader of the opposition party fiercely. Then my naive friend sarcastic him. “He think he’ll be in the same league with the opposition leader if he does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people who have long studied only professional fields and worked only in professional fields to objectify themselves.

 

These days, when reform of the prosecution is becoming an issue, politicians and people around them from the prosecution often assu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nior and junior prosecutors. It proves that the prosecution is an inner circle. They seem to be constantly stuck in their own world because their responsibilities have never been tested as much as bus drivers. Sometimes they try to use ideology to find a political breakthrough. But the outside world seems to change quickly. 

2020년 12월 8일 화요일

검찰과 책임감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2%80%EC%B0%B0%EA%B0%9C%ED%98%81


검사가 되고자 열심히 법률공부를 하던 덩달이가 책을 잃어 버렸다. 경찰아저씨가 책을 찾아 주면서 덩달이에게 말했다. “이게 자네 책임감?”

 

유머다.

 

사회에 이념 대립이 있으면 권력을 잡으려는 사람들은 가능한 이념대립을 중화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당장 급하다고 이념 대립을 이용해서 정권을 잡게 되면(이젠 그러기도 힘든 세상이 되었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강렬한 적대적 패거리가 만들어진다. 책임감을 가지고 필요한 정책요구를 찾아내야 할 것이다.

 

언젠가 눈오는 날 아침에 만원버스를 운전하며 서울시내로 내 달리고 있었는데, 마음이 위태로웠다. 살면서 그만큼 구체적인 책임감이 느껴진 적이 없었다. “그냥 얌전히 공부해서 추상적인 책임감속에서 적절히 어우러져 살 걸하는 생각이 났다.

 

청년기에 사법시험(1)을 시험 삼아 한 번 보았다. 문화사와 경제학, 형법이 커트라인을 넘어섰다. 본격적으로 공부하면 될 것 같았다. 그런데 도무지 합격후의 진로에 대한 열정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 당시에 대학입학도 수석을 하고 사법시험도 수석합격을 한 검사출신의 인재가 5공 황태자로서 각광받고 있었다. 서슬이 퍼런 눈매는 형형했지만 군사정부의 2류 로서 왜곡된 야망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사람이 야당 당수를 심하게 공격하니 순진한 내 친구가 저러면 자기가 야당 당수와 동급이 되는 줄 안다고 비꼬았다.

 

오랫동안 전문적인 분야만 공부하고 전문적인 분야에서 일 하던 사람들이 자신을 객관화 시켜보기는 힘든 것 같다.

 

검찰 개혁이 이슈화되는 이때에 종종 검찰 출신 정치인이나 주변인물들이 검사 선후배 관계의 돈독함을 확신시켜 준다. 검찰이 내집단이라는 것을 꾸준히 확신시켜주고 있었다. 버스기사만큼의 책임감도 시험당할 곳이 없어서 그런지 꾸준히 자기세계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것 같았다. 간혹 이념을 이용해서 정치적인 돌파구를 찾을려는 노력도 한다. 그런데 바깥세상은 빨리 변해가는 것 같다.            

2020년 11월 25일 수요일

U.S.-North Korea negotiations / imprinting effect and stigma effect

Thinking about the U.S.-North Korea negotiations, Trump’s presidency was a good time for the U.S. and North Korea. The businessman-turned president values real profits rather than principles, and sometimes throws his surroundings into confusion with capriciousness. However, he tends not to imprint or stigmatize his opponent because of his tendency to seek real profits. Therefore, there was a chance to start each other’s relationship at zero base. Around President Trump, there were ministers and deputy minister who were not biased.


Bolton, a former hardliner on the Trump team, was a figure from the Cold War era. He was imprinted with hostility toward communism and stigmatized North Korea a very hostile opponent. He deserved it because he lived during the Vietnam War and during Reagan’s presidency.

 

Under Kim Jong-il, North Korea had no intention of reform. In order to solve the North Korean problem at that time, it must have an outside orientation, which gradually became internal cohesion. The world of Kim Jong-il’s education and thinking had a narrow foundation. He was unable to cope with the transition from the Cold War to the era of globalization. Kim Jong-il imprinted the world surrounding North Korea as a battlefield, when North Korea was branded a terrorist state.


I wonder about the nature of Biden’s administration, which will soon enter the U.S.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nited States will form a blind cabinet that does not leave room fo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But it’s not desirable.

 

Chairman Kim Jong Un, who received Western-style education without living in the harsh Cold War era, is not expected to disturb his will to reform by imprinting or stigmatizing effects.     

2020년 11월 24일 화요일

북미협상 / 각인효과 낙인효과

북미협상에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 집권기는 미국이나 북한에 좋은 시절이었다. 원래 사업가 출신 대통령은 원칙보다 실리를 중시하며, 변덕스러움으로 주변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과거에 대한 각인이나 상대에 대해 낙인을 찍지 않는 경향이 있다. 서로의 관계를 제로베이스 상태에서 구축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 주변엔 편견에 빠지지 않는 국무장관과 국무부장관이 있었다.

 

트럼프 팀의 강경파였던 볼턴은 냉전시대의 인물이었다. 공산주의에 대한 적개심이 각인되어 있고, 북한을 매우 적대적인 상대로 낙인찍었다. 베트남 전쟁과 레이건 대통령 시절을 지냈으면 그럴만 했다.

 

김정일 위원장 시대의 북한은 개혁의지가 전혀 없었다.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외부 지향성을 가져야 하는데, 점점 내부로 응집되어 갔다. 김정일 위원장의 교육이나 사고의 세계는 기반이 협소했다. 냉전시대에서 세계화시대로 넘어가는 시대적 상황을 감당할 수 없었다. 김정일 위원장에게 북한을 둘러싼 세계는 전시적인(전쟁중인 시기)세계로 각인되어 있었고, 김정일 위원장 시절에 북한은 테러국가로 낙인 찍혔다.

 

곧 미국에 들어설 바이든 행정부의 성격에 대해서는 궁금했다. 그래서는 안되지만 협상의 여지를 두지 않을 맹목적인 내각이 구성될 가능성이 생각났다. 실제로 국무장관 내정자가 북한에 대해서 매우 강경한 발언을 한 적이 있다는 언론 기사가 나온다.

 

극렬한 냉전 시대를 살지 않고 서구식 교육을 받은 김정은 위원장은 각인 효과나 낙인 효과에 의해 개혁의지를 어지럽히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2020년 11월 11일 수요일

Relationship between Mao Zedong and Zhou Enlai

Korea has severe ideological conflicts due to regional, generational and economic difference. That’s natural because the public makes short-term, sensual judgments. It also provides conditions for politicians to use the instigation as a means to seize power.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93%B1%EC%86%8C%ED%8F%8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A3%BC%EC%9D%80%EB%9E%98


Zhou Enlai had great qualities as a leader because of his abundant academic knowledge and diplomatic ability. But he faithfully assisted Mao Zedong. Zhou Enlai did not think Mao Zedong was qualified as a good leader. However, Mao Zedong took power by instigating peasants and proletariat. So the peasants and the proletariat continued to admire Mao Zedong.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had a progressive tendency to seek change, but would not have had confidence to persuade the ignorant public in a short time. Not yet has Mao Zedong established himself as a proper leader. But they must have felt frustrated at the limits that Mao Zedong’s leadership had to change in other for China to change properly. But anyway, they had to burn their will to reform under conditions given for China.

 

Mao Zedong would have intended to play the role of emperor. Looking at Mao Zedong’s thoughts and the great trial and error of his reign, it is clear that Mao Zedong wanted to be an emperor.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on the other hand, would have aimed to raise China up. They knew what was important. Winbao and some have flowed heavily into the trap of power. However, the policy ideas and diplomatic ideas of Zhou Enlai and Deng Xiaoping, both pure and practical, were moved and dependable by Mao. Mao was unable to do so because of his large ideological immersion and his classical inclination.

 

From the feudal point of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o and Zhou would look that way. In terms of China’s reform, Zhou had to become the next leader of China. In a world without Zhou, Deng Xiaoping must have had a hard time leading the conservative Chinese Communist Party, which failed to shed Mao’s shadow.

 

Although reform is being made due to education and so on, the elders of Korean society have easily sympathized with the charisma of their leaders. Those who wanted to be leaders tried to show charisma somehow. Perhaps China will see this more intensely. 

2020년 11월 10일 화요일

모택동과 주은래의 관계

한국은 지역과 세대, 경제력의 차이로 인하여 이념갈등이 심한 편이다. 대중들은 단기적이고 감각적인 판단을 하기 때문에 당연한 일일 것이다. 정치인이 정권을 잡기 위해서 선동을 잘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이 되기도 한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93%B1%EC%86%8C%ED%8F%89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A3%BC%EC%9D%80%EB%9E%98


주은래는 학식과 외교력 등 지도자로서의 많은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모택동을 성의껏 보좌했다. 모택동이 훌륭한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농민과 무산계급을 선동해서 정치권력을 잡은 만큼 농민과 무산계급의 지도자로서 추앙받았기 때문이다. 주은래와 등소평은 변화를 추구하는 진보적인 성향을 가졌지만 무지한 중국의 대중들을 빠른 시간에 설득해야할 자신은 없었을 것이다. 제대로 된 중국의 변화는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모택동의 변화를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는 현실에 좌절감을 느끼면서 개혁의지를 불태웠을 것이다.

 

모택동은 황제의 역할이 목표였을 것이다. 모택동의 생각과 통치시기에 많은 시행착오를 보면 분명히 그렇다. 주은래와 등소평은 중국을 살리는 일이 목표였을 것이다. 주은래와 등소평은 모택동의 지시에 따르기보다 모택동에 대한 설득에 많은 힘을 쏟았다.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잘 아는 사람들이었다. 마음이 권력의 장속으로 많이 흘러들어 온 임표등과는 달리 주은래와 등소평의 정책력과 외교력등은 모택동이 감동하고 의지할 만했다. 이념 몰입도가 깊고, 중국의 고전적 인물 그 자체인 모택동이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주군과 신하라는 봉건적 관점을 가지면 모택동과 주은래의 관계가 그렇게 보이겠지만 개혁적인 관점으로 보면 주은래는 차기 지도자로서 인정받아야 했다. 주은래 없는 세상에 등소평 혼자서 모택동의 잔영을 벗어버리지 못한 보수적인 중국 공산당을 이끌기 힘들었을 것이다.

 

교육 등으로 인하여 많이 개혁이 되고 있지만 한국 사회의 연장자들은 지도자들의 카리스마에 쉽게 동조하고, 지도자가 되려고 하는 이들은 카리스마를 발휘해 보려고 하는 몸짓들이 많았다. 아마도 중국은 이런 현상이 더욱 강렬할 것이다.

 

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China’s worry

The common people often have conflicts for trivial reasons. The conflict is caused by economic distress or suffering from discrimination. I personally think about how to heal or avoid the conflict by living a double life of academic thought and the reality of the common people. If you run into your opponent when you are in a conflict, you will be caught up in a crude life, and if you focus on other goals or ideals, the conflict will be thrown out.

 

The same is true of relations between countries. China, which borders many countries, will be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s surrounded by oceans and operates a lush state.

 

The U.S. does not associate itself with the outside world and does not resolve or resolve independently, even if there are internal problems such as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United States concentrates on its efforts to pioneer a future-oriented and new world. China mixe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t random. Such problems get worse becaus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divide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agonizing over three issues: division, internal affair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is armed with nuclear weapons to solve these problems in one shot. In fact,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may be a way to counter unspecified outside forces.

 

I read the [NOTHING LASTS FOREVER] of Sidney Sheldon, an American popular novel in the 1980. In the novel, there was a serious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doctors in American doctors society. The issue of racism still has a long lingering effect in the United States, but that fact is known and American society strives to improve it.

 

China is very different. One can guess that behind China’s recent muscle show, there is a concern about internal problems. China, geographically adjacent to neighboring countries, may be choosing a strategy to divert internal distress to external distress. The reason why China emphasizes nationalism is because it has a lot of internal troubles. China’s most important concern will also be economic inequality.

 

One hundred Chinese cities have more than I million people; by 2025 there may be as many as 200. Yet behind all these spectacular numbers lie troubling realities. While wealth is concentrating in the New China, hundreds of millions of citizens in the rural provinces continue to live in poverty. Would-be workers from the villages walked and biked by the millions toward the jobs in the shadows of all those new skyscrapers, but eventually the authorities were forced to stem the migration and reverse it. In the headlong rush to modernize, China’s planners victimized the powerless farmers once again.

 

-[ Why Geography Matters ] by Harm de Blij -

 

In order to control social instability, President Xi Jinping’s absolute power will be justified, and patriotism and nationalism will also be justified.

 

Considering the rapid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ightech era, India is likely to worry about China, The problem will be similar to the one the U.S. has caused because of China and in fact India’s high-tech industry is growing rapidly growing. And India’s population will also overtake China. ‘Because nothing lasts forever. I understand, but China should be more faithful to the basics.

2020년 10월 28일 수요일

중국의 고민

서민들의 삶속에는 이유 같지 않은 이유로 갈등을 겪는 일이 많다. 그 갈등의 이면에는 경제적 고통이나 차별로 인한 고뇌 등이 있다. 개인적으로 학리적인 생각과 서민의 현실이라는 이중적인 삶을 살면서 그 갈등을 치유하거나 그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도 한다. 함께 부딪히면 그런 삶에 물려 들어갈 것이고, 다른 목표나 이상을 위해 몰입하면 갈등상황은 튕겨져 나갈 것이다.

 

국가 간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많은 국가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과 대양에 가로막혀 호젓한 국가운영이 가능했던 미국의 스타일은 다를 것이다.

 

미국은 빈부격차 등의 내부문제가 있어도 외부세계와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결하거나 아니면 해결이 되지 않거나 한다. 그리고 미래지향적이고 개척적인 세계를 향하여 달리는데 집중한다. 중국은 내부문제와 외부문제가 막 섞인다. 한국과 북한은 분단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그런 현상은 더 심해진다. 분단문제, 내부문제, 국제관계적 문제의 3중고로 고민을 한다. 북한의 핵무장은 이런 고민은 매우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사실 북한의 핵은 불특정한외부세력에 대항하는 방법일 것이다.

 

1980년대 미국의 대중 소설인 SIDENY SHELDON [NOTHING LASTS FOREVER]를 읽으면서 미국 의사사회에서 남자의사와 여자의사를 심각하게 차별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인종 차별문제는 아직도 길게 여운을 드리우고 있지만 어쨌든 미국은 알려지고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 자유국가의 모습은 그렇다.

 

중국은 많이 다르다. 최근에 두드러지고 있는 중국의 힘 자랑의 이면에는 내부에 많은 고민이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주변국가들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내부고민을 외부고민으로 관심을 돌리는 방법을 선택했을 것이다. 중국이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부고민이 많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고민으로는 역시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고민일 것이다.

 

 

중국에는 인구 1백만 이상의 도시가 1백 개나 있으며, 2025년에는 2백개까지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현란한 수치들 뒤에는 불편한 현실이 놓여 있다. ‘신중국으로 부가 집중되는 한편, 수억명에 달하는 농촌 지역의 주민들은 계속 빈곤하게 살아가기 때문이다. 농촌 마을에서 일자리를 구하러 온 예비 노동자들이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새로 솟은 마천루의 그늘 아래로 수백명씩 모여들기 시작하자, 결국 정부 당국은 이주를 저지하여 이 흐름을 되돌려 놓아야만 했다. 현대화를 향한 질주 속에서 중국의 경제 계획가들은 다시금 농민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던 것이다.

 

-[ Why Geography Matters ] by Harm de Blij -

 

사회의 불안정을 통제하기 위해서 시진핑 주석의 절대 권력은 정당화되고 애국주의 민족주의 역사관에 많은 임무를 떠 맡겼을 것이다.

 

생각해 보면 하이테크 시대에 경제성장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생각할 때 중국과 인구가 비숫하고 하이테크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주변국인 인도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고민하는 점을 똑같이 중국이 인도에 대해서 고민하게 할 것 같다. 영원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이해는 하지만 중국은 좀 더 기본적인 문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Work and irrationality

One day, two middle-aced brothers got on the bus and started a quarrel with me. I wanted to respond with legitimate advice, but when I saw their faces, I responded mildly. They were not very harmonious in body and mind. Their voices were mingled with irritation and quivering weakly. Their words were not logical and their eyes were hazy. Their faces were lifeless. The passengers belittled the bus driver, but in reality the bus drivers were mostly bold and mentally strong. This is because if the spirit of the bus driver is not good, it can lead to a major accident.

 

Korean society has a chronic problem. Korean society regards legitimate work. On the other hand, Korean society tends to be respected for its absurd political delusions. So people who can invest time and cunning tricks try to take the initiative in society. The far-right religious people’s incitement, which has been a big stir these days, is a negative effect of society that did not respect due work.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at life as a worker is so undesirable are apt to evade by religion. That is why extreme religious and believers are prone to fanatical antagonism against labor-oriented socialism. In this way, religion and far-right ideological spectrum are linked.

 

The reality of the divided country is easy to interpret the above situation only as an ideological spectrum and use it as a tool for instigation. But we must change our perspective to the negative action of the mind swayed by emotion rather than reason. In Korea, inflammatory politicians are gradually disappearing. And from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you can see other rational conditions with the leaders of his predecessors. The conclusion was based on his academic background, youth, and eyes.

 

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2%AC%EB%8B%B4+%ED%9B%84%EC%84%B8%EC%9D%B8

 

Along time ago, I saw a picture of Saddam Hussein and thought he could do many strange things. Later I read and understood [GIDEON’S SPIES], the nonfiction disposal treasure of Israel’s intelligence minister, Mossad. Hitler was a vegetarian and art student. And he participated in World War 1. He became a figure with imagination, emotion and a cruel heart from war. Causes produce results.

 

Eduardo and I called this idea the emotional cascade. I don’t know about you, but I find the notion that our decisions can remain hostage to emotions long after the emotions have passed rather frightening. It is one thing to realize how many ill-considered decisions we have made based on our mood-choices that, in perfectly neutral, “rational” moment, we would never make. It is another matter altogether to realize that these emotional influences can continue to affect us for a long, long time.    

 

- [THE UPSIDE OF IRRATIONALITY] BY DAN ARIELY-    

2020년 10월 20일 화요일

근로와 비합리성

언젠가 버스에 형제로 보이는 중년의 승객들이 타서 시비를 걸었다. 무엇이 정당한지 말해주고 싶었지만 얼굴을 대면하고는 온화한 표정으로 대했다. 몸과 마음이 매우 부조화해 보였다. 목소리는 짜증과 떨림이 있었고, 논리는 전혀 없고, 눈은 총명하지 못하고, 얼굴은 접혀 있었다. 버스기사를 무시하는 승객의 시도와는 다르게 정신이 형형하지 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 버스운전이다. 그래서 버스기사들은 대부분 대담하고 정신력이 강하다.

 

한국사회에 쌓여온 문제가 있다면 정당한 근로를 천대하고, 헛된 정치적 망상들이 대접받아 온 점이다. 그래서 시간과 술수적 두뇌를 투자할 수 있는 사람들이 사회의 주도권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요즘 큰 파문이 일었던 극우 종교인의 선동적인 행동은 정당한 근로를 존중하지 않았던 사회의 부작용이다. 근로자로서의 삶이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경험을 한 사람들은 종교로 회피하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극단적인 종교인과 신자들은 노동을 중시하는 사회주의를 광적으로 적대시하는 극우적 이념 스펙트럼을 가지기 쉽다.

 

분단된 조국의 현실은 위와 같은 상황을 이념 스펙트럼으로 해석하여 선동의 도구로 이용하기 쉽지만 문제의 초점은 이성보다 감정에 휘둘리는 정신의 부작용으로 보아야 한다. 선동적 정치인이 조금씩 도태되어 가는 한국도 지도층의 모습이 변해가지만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에게 북한의 상황에 대한 기대감을 볼 수 있는 것은 선대의 지도자들과는 달리 이성적일 수 있는 조건이 있는 점인 듯하다. 학력, 젊음, 얼굴표정을 보고 나름대로 판단한 결론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2%AC%EB%8B%B4+%ED%9B%84%EC%84%B8%EC%9D%B8


오래전 사담 후세인의 사진을 보고, ‘이상한 짓을 많이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는데,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넌픽션 첩보물인 [GIDEON’S SPIES]를 읽고 이해가 갔다. 채식주의자이며 미술학도였던 히틀러가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하여 전쟁의 참상을 자신의 정체성에 받아들이면서 상상력과 감성, 잔혹함의 3위 일체를 이룬 인물로 성장해 간 것은 원인이 결과를 정확히 알려주는 좋은 예일 수 있었다.

 

안드라데와 나는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감정 케스케이드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 당신의 경우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감정에 따라 유발된 의사결정은 그 감정이 사라지고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계속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그동안 감정에 휘둘려 얼마나 많은 잘못된 의사결정-이성을 잃지 않았더라면 절대로 내리지 않았을 그런 의사결정-을 내려왔는지를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감정에 따른 의사결정의 영향력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일이다.

 

- [THE UPSIDE OF IRRATIONALITY] BY DAN ARI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