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4년 12월 21일 토요일

Schizophrenia, rationality and ideology

The state of excess ideology is always unstable and precariou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rational thinking does not intervene. In general, if a person wants to solve a problem,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to come up with an answer. However, once the ideological issue, that is, the left-right issue, is involved first, the thinking stops. In other words, it changes similarly to a state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a includes thought confusion and reality analysis confusion. Thinking confusion shows symptoms such as non-logical conversation and disconnection of thoughts. Reality analysis confusion is a phenomenon in which only oneself sees, hears, or believes in what others do not see, hear, or believe. That is why hallucinations and auditory hallucinations appear. Schizophrenia shows progressive deterioration.

 

- David Brizer-

 

It is not a matter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neurosis like two sides of a coin. It is correct to grasp the phenomena of humans and society as a continuous concept. In other words, it is the difference in degree.

 

Although we identify criminals only as bad people,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them as people who have no self-control. There are many people who want to commit crimes or commit crimes in their imagination, but such a attitude of mind is expressed as an action when there is a lack of self-control. There is no one with a strong willpower among neurotic patients or criminals. Perhaps it is true that people become the right human only when they suffer.

 

Those who cannot make rational observation or analysis, that is, those who cannot think reasonably, are more likely to fall victim to gas lighting. People who live in a similar spiritual world will both be gas lighting priests or believers who fall victim to gas lighting. Those who lead the environment independently will be gas lighting priests, and those who are driven passively will be believers.

 

The world of blind ideology is like a delusional world of religion, even though it seems like a grander and more academic world. Ideology and religion can both contribute to our lives through a rational thought process. It is natural that a person who blindly talks about ideology or religion will cause a big problem later on. And we have seen a lot of big problems actually happen.

 


정신분열과 합리성 그리고 이념

과잉 이념의 상태는 항상 불안하고 위태롭다. 합리적인 사고가 개입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체로 사람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서 해답을 내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념 문제, 즉 좌파 우파 문제가 먼저 개입되면 일단 사고가 멈추고 본다. 말하자면 정신 분열 상태와 유사하게 변하는 것이다.

 

정신분열증은 사고 혼란증과 현실 분석 혼란증이 있다. 사고 혼란증은 비 논리적인 대화, 생각의 단절 등의 증세를 보인다. 현실 분석 혼란증은 다른 사람이 보거나 듣거나 믿지 못하는 것을 보고, 듣고 믿는, 현상이다. 그러니까 환각 환청 망상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다. 정신분열증은 진행성 악화 증세를 보인다.

- David Brizer-

 

신경증은 있다 또는 없다를 동전의 양면처럼 구분하는 문제가 아니다. 인간과 사회의 현상은 연속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이 옳다. 즉 정도의 차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범죄자를 나쁜 사람으로만 규명하지만 자제심이 없는 사람이라는 정의도 가능하다. 상상으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저지르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그런 마음 자세는 자제심이 부족할 때 행동으로 표현되어 나온다. 그래서 신경증 환자나 범죄자 중에는 의지력이 강한 사람이 없을 것이다. 아마 사람은 고생을 해야 인간이 된다는 말도 맞는 것일 것이다.

 

합리적인 관찰이나 분석을 할 수 없는 사람들, 즉 합리적 사고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은 가스 라이팅에 희생되기 쉽다. 가스 라이팅을 하는 교주와 같은 존재나 가스 라이팅에 희생되는 신자와 같은 존재는 비숫한 정신 세계에 사는 사람들일 것이다. 환경을 주체적으로 끌고 나가면 교주가 될 것이고 피동적으로 끌려다니면 신자가 될 것이다.

 

좀 더 거창하고 현학적인 세계 같지만 사실상 맹목적인 이념의 세계는 망상적인 종교의 세계와 같다. 이념도 합리적인 사고 과정을 거치고 종교도 합리적인 사고 과정을 거치면서 나와 우리 모두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맹목적으로 이념이나 종교를 이야기 하는 사람이 나중에 큰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는 인과관계는 당연하다. 그리고 우리는 실제로 큰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많이 보았다.         

2024년 12월 13일 금요일

His voice / Emile

If a political leader doesn't understand the people's will and draws a parallel line, it is urgent to find the "him" behind him - not a ghastly or genomic. The "him" could be an educational system, or an ideology, or a gaslighting religion.

 

The reason I respect the rational spirit of Presidents Park Chung-hee and Roh Moo Hyun is that they were more powerful people driven by their own rational will than 'him'. President Park Chung-hee soothed himself by practicing kendo like a warrior, even though he was evaluated as dark Japanese style. Of course, the situation of the time itself was an ordeal. President Park Chung-hee was wary of confusion by focusing on 'tearing down the mystery (similar religion). President Roh Moo Hyun must have been a process of hard trial and training in his life as a dirt spoon, where he could only attend high school. He had a clear sense of goal.

 

I had a funny and sad experience as a young man. I was caught in the aggressive network of religious groups at the time. I had a big ordeal at that time. I lost 15 kilograms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 was miserable. So I became the goal of a religious program to help and evangelize people in need. And I naturally permeated religious groups. And I ran an exercise program with the goal of not losing myself by doing 100 push-ups a day. A religious group that later found out that I was not gentle called me a bad person. Those experiences seem to have contributed to my liking for sports in the future.

 

On my middle school graduation day, students who won excellent attendance awards were given a copy of Rousseau's educational book [Emil], a great thinker who argued for social contract theory. There was something like this.

 

Emile, who must learn on his own, uses his own intelligence (reason and intelligence), but does not use others' intelligence. He must not tie anything to authority if he wants to tie anything to his opinions. And most of our errors come from others than from us. Through such constant training, the health of the body and the dull mental health given to the body by labor and fatigue are created.

 

If someone leaves his or her mind to “him”, he or she can be helplessly invaded by neurosis. Some of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symptoms are monolithic,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panic, but bipolar disorders such as bipolar disorder such as bipolar disorder and affective disorder (an alternating between silence and jumping). Even psychiatrists cannot judge bipolar disorder because it can be just a personalit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controlled by itself. - Excessive energy, bluster, chatter, impatience, tremendous planning, and sexual engagement appear in the up stages of bipolar disorder.

 

A leader who has lived a low life or a leader who has suffered a prison sentence tend to be good at politics. But a weak leader or a hereditary leader who sits only at his desk slowly ruins the nation. - He doesn't eat rice soup but eats the nation.

 

So, if you think that it's me who will be the leader, you have to hold your hands and leave the hardships.

 

그 놈 목소리 / 에밀

정치지도자가 국민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평행선을 긋는다면 그 뒤에 그 놈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개놈 또는 게놈이 아니다. 그 놈은 교육시스템일 수도 있고, 아니면 이념일 수도 있고, 가스라이팅을 하는 종교일 수도 있다.

 

내가 박정희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합리적인 정신을 존경하는 이유는 그들은 그 놈보다 자신의 합리적 의지에 의해서 움직이는 힘이 강한 인물들이었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비록 왜색이 짙다는 평가를 들었지만 무인답게 검도 연습을 하면서 자신을 추스렸다. 물론 그 당시 시대적 상황 자체가 시련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미신 타파에 주력하면서 혼망함을 경계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고등학교밖에 나오지 못한 흙수저의 인생 자체가 고된 시련과 훈련의 과정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목표 의식이 뚜렷했던 인물이었다.

 

나는 청년기에 웃픈(웃기고도 슬픈)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나는 그 당시 종교단체의 공격적 전도망에 걸려 들었다. 내가 그 당시에 큰 시련이 있었다. 체중도 단기간에 15킬로그램이 줄어 비참한 몰골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어려운 사람을 도우며 전도한다는 종교 프로그램의 목표가 되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종교단체에 스며들어갔다. 그리고 나는 하루에 팔굽혀펴기등을 100개씩 하며 내 자신을 잃지 않으려는 목표를 가지고 운동 프로그램을 실행했다. 나중에 내가 녹녹치 않음을 알게 된 종교단체는 나를 나쁜 사람이라고 둘러쳤다. 훗날 그렇고 그런 경험들이 운동을 좋아하게 된 이유가 된 것 같다.

 

나의 중학교 졸업식 날 개근상을 타는 학생들에게 사회계약론을 주장한 위대한 사상가인 루소의 교육학 저서 [에밀]의 복사판이 한 권씩 주어졌다. 거기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자기 스스로 배워야 하는 그는 자기의 이지(이성과 지능)는 사용하지만 남의 이지를 사용하는 짓은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의견에 아무것도 매이지 않으려면 아무것도 권위에 매이지 말아야 할 테니까 말이다. 그리고 우리들의 오류의 대부분은 우리들에게서보다 타인들로부터 생기는 일이 더 많다. 그와 같은 끊임없는 단련으로 하여 노동과 피로에 의해서 육체에 주어지는 건강함과 비숫한 정신의 건강함이 생겨나게 된다.

 

그 놈에게 정신을 맡겨두면 신경증에 무력하게 침범당할 수가 있다. 특히 많이 나타나는 신경증 증상으로는 우울증, 불안증 그리고 공황증 같은 단일성 방향으로 나타나는 증상도 있지만 조울증이나 정동장애(고요함과 들뜀이 번갈아 나타나는 증상)같은 양극성 질환이 나타난다. 양극성 질환은 스스로 조절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그냥 성격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정신과 의사들도 판단하기 어려운 증상이다.- 양극성 질환의 조증기에는 과도한 에너지, 허풍, 수다, 조급, 어마무시한 계획, 섹스에 몰두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밑바닥 인생을 살았던 지도자나 감옥생활의 시련을 겪은 지도자는 정치를 잘 하는 편이다. 그러나 책상에만 앉아있던 문약한 지도자나 세습지도자는 서서히 말아먹는다.- 국밥이 아니고 국가를 말아먹는다.

 

그래서 지도자가 될 사람이 하필이면 나잖아 하는 생각이 든다면 두 손을 잡고 고생길을 떠나야 하는 것이다

2024년 12월 12일 목요일

In the midst of faith, habit and governance /Rudolf Smend

My job is the people

 

I had a certain intuition of the flow of martial law, but that is not the point. Each effort to change the bad situation is important. Somehow, this situation seems to be a confrontation between people with strange minds and people with sound minds. Anyway, German constitutionalist Carl Friedrich Rudolf Smend 1982-1975 put forward a democratic logic as a constitutionalist by describing a state as a 'process' of integration. He was persecuted by the Nazi government.

 

The Korean Constitution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German Constitution. However, with the late formation of a modern state, Korea's constitutional theory developed two beats later than the German Constitution. The reason for the delay in two beats was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and laws first came to Korea via Japan, starting with Germany. This is also integr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system. So Germany, Japan, and Korea have been prone to nationalism, ranging from the education system to the social system it has formed, leading to the mass production of extreme rightists who say strange things.

 

The president, who shook Korea's future by declaring martial law, insists that his actions are not judicial because they are "acts of governance." By the time the president was studying the bar exam, constitutional education in Korea was carried out by constitutional scholars from the Carl Schmitt 1888-1985 school of determinism. Perhaps anyone who studied the bar exam at that time had not read the test book of constitutional studies written by Korean professor Kwon Young-sung. Shortly afterwards, Rudolf Sment's theory began to be accepted by Professor Huh Young, but Karl Schmitt's theory posed as an absolute dogma in Korea.

 

Korea was in the era when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of the 5th Republic came to power at that time. The decisive constitutional school instilled legitimacy in despotic governments such as the Nazis or the Korean military government by clarifying the constitution that the constitution was a promise made by a powerful person to become a sovereign. Among them came words such as governing and new presidential systems. The decisive constitutional school did its best to bring events that cannot be understood in today's reality into the realm of constitutional studies.

 

Thinking back to the old memories, I heard the Korean president say his act was an act of governing. The President seems to know how to recall those days when he studied with a clear mind. For those who have lived through those eras, the word governing might also be one of the inseparable old habits. What matters, however, is not the constitutional identification but the lives of the people. If the President voluntarily resigns soon, everything will be normalized quickly. The prevailing currency defense would be easy, too. Although the decisive constitutionalists will dislike it........

 

Governance is not important, but the future of the people is important.

믿음과 습관과 통치행위 중에 / 루돌프 스멘트

그 중에 제 일은 국민이라

 

나는 계엄 사태의 흐름을 어느 정도 직감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나쁜 상황을 변화시켜가는 각자의 노력이 중요하다. 어쩐지 이번 사태는 이상한 정신을 가진 사람들과 건전한 정신을 가진 사람들의 대결로도 보인다. 어쨌거나 독일의 헌법학자인 루돌프 스멘트(Carl Friedrich Rudolf Smend 1982-1975) 는 국가란 통합되어 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하므로써 헌법학자로서는 민주적인 논리를 내세웠다. 그래서 나치 정부로부터 핍박을 받기도 하였다.

 

한국 헌법은 독일 헌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근대국가의 형성이 늦은 만큼 한국의 헌법 이론은 독일 헌법에 비해서 두 박자 늦게 발전했다. 두 박자가 늦은 이유는 한국의 헌법이나 법률은 독일을 발단으로 일본을 거쳐서 한국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것은 교육시스템의 수입과도 일체화 되어 있다. 그래서 독일과 일본 그리고 한국은 교육시스템과 그것이 형성한 사회 시스템까지 국가주의 성향이 심해서 지금까지 이상한 말을 하는 극우주의자들을 양산하는 원인이 되었다.

 

계엄을 선포하여 한국의 미래를 흔들리게 한 대통령은 자신의 행위가 통치행위이기 때문에 사법적 판단이 되지 않는다고 우긴다. 그 대통령이 사법시험을 공부할 무렵에는 한국의 헌법교육은 결단주의 학파인 칼 슈미트(Carl Schmitt 1888-1985)계열의 헌법학자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아마 그 시절에 사법시험 공부를 한 사람이라면 한국의 권영성 교수가 쓴 헌법학 수험서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었을 것이다. 얼마 후 루돌프 스멘트 교수의 이론이 허 영 교수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했지만 칼 슈미트 이론은 한국에서 절대적인 도그마로 행세 했다.

 

한국은 그 당시에 5공화국의 권위주의 정부가 집권한 시대였다. 결단주의 헌법학파는 헌법은 힘을 가진 자가 주권자가 되어 결단하여 만든 약속이라고 헌법을 규명함으로써 나치 같은 전제 정부나 한국의 군사 정부에게 정당성을 심어주었다. 그 속에서 통치행위나 신 대통령제같은 말이 나왔다. 요즘의 현실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을 헌법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데 최선을 다 한 헌법학파가 결단주의 헌법 학파인 것이다.

 

나는 옛 추억을 생각하며 한국의 대통령이 자신의 행위는 통치행위라고 한 말을 들었다. 대통령은 맑은 정신으로 공부했던 그 시절 그 추억이 또 다시 올 줄 아는 것 같다. 그 시대를 살아 온 사람들에게는 아마 통치행위라는 말도 오랜 습관 속에 자리 잡은 떨어뜨릴 수 없는 망념중에 하나일 듯 하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헌법학적인 정체 규명이 아니고 국민들의 생활문제이다. 대통령이 빨리 자진 하야 한다면 모든 것이 빠르게 정상화 될 것이다. 지금 위태로운 환율방어도 손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비록 결단주의 학파 헌법학자들은 싫어하겠지만........

 

통치행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국민들의 미래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