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7년 5월 9일 화요일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과 습관 / 한국의 대선결과

대충 한국의 대선결과가 드러났다. 문후보가 당선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신기한 것은 과거의 적폐에 대해서 청산의지가 없는 후보가 뜻밖의 선방을 했다. 한국인들이 아직 정치문제에 대해서는 정의감보다는 이념감정이나 지역감정등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듯 하다.


언젠가 쉬운길로 갈려는 대중이 허황된 공약에 설득된다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오랫동안 관습처럼 행해졌던 부패의 습관이나 부정에 대한 불감증은 습관으로서 그리고 청산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부족함으로서 대중은 부정부패를 있어서는 안될 것이 아닌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듯 하다.

심리학에서는 강화이론이라는 것이 있다. 선악의 판단기준은 경험으로부터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예를들면 도둑질을 했는데도 발각되지 않고 끝나거나, 도둑질의 성공이 같은 패거리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경험이 반복된 아이는 도덕적으로 둔감해져서 바늘도둑이 소도둑이 된다는 이론이다.

어느 날 종교적인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인 문제점을 발견한 적이 있다. 무엇인가 부도덕한 일을 저지르고 나서는 양심에 시달리는 시간이 매우 짧다는 사실이었다. 인간 본연의 양심이 주는 고통을 '회개'라는 행위로 빠르게 해소시켜나가고 있었다. 그러니까 부도덕이 오랫동안 양심을 괴롭혀 이런 나쁜 행위를 다시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심을 확고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았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비숫한 행위를 또 반복하였다. 한국에서 이념이나 종교자체가 적폐가 될 수 있다는 이유는 그런 것이다. 부정한 일을 빠르게 합리화시켜준다. 반성할 시간을 주지 않고 오히려 정당화시켜주기도 한다. 특히 정치적범죄는 그 추상성으로 인해서 무궁무진한 양심적 회피의 퇴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우리편이 잘못한건 알지만 저쪽이 더 나쁜 좌익이나 우익이기때문에 형평성의 원칙으로 계산을 해보니 우리의 부정부패는 조금 더 사소한 문제였다고 합리화시켜나가는 것이다. 어떤 심리학책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요즘 아이들 중에는 '경찰에 붙잡히는 것은 별거 아니다.' '퇴학 당해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일반적인 가치관이 통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아무리 도둑질에 엄벌을 가하더라도 벌이 벌로서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채, 조금도 줄어들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아이들에 있어서 벌이 무거운 만큼 발각되지 않고 훔칠 수 있는지 어떤지의 스릴을 높이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도둑질이라는 범죄행위를 더욱 더 부채질(강화)하고 마는 얄궂은 결과를 낳게 될지도 모른다.

도둑질을 줄이고자 한다면, 도둑질에 대해 벌을 엄중히 하기 보다는 도둑질 이외의 행동이 강화될 수 있도록 상점 간의 장치 혹은 협조를 이루어 나가는 편이 효과적일 것이다.

- Chris Ravan 과 Jeudie Williams 공저 [Joy of Psychology]중에서 -

그래서 사회적 관심사가 좀 더 미래지향적이고 발전적이며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