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4년 9월 28일 토요일

Superrationality and a return to the Middle Ages

Originally, culture is the result of reason and progress. In other words, culture is the result of human efforts to improve something. Perhaps that's why in Korea, when a conservative government takes power, the atmosphere of the government flows to ultra-rationality, which is an atmosphere of counterculture.

 

Super-rationality means it is not rational. Super-rationality, religion, physiognomy, desired thoughts, and imagination without practical power dominate Korean society. Politics without hard work to agonize and improve cannot be a rational government. It has been creak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opinion is increasingly criticizing the government head and people around him for being fraudulent.

 

I have felt a fatal problem in Korean society while driving a neighborhood bus for various reasons. There were many times when I thought that the atmosphere of Korean society, which neglects and ignores work, recommended fraudulent behavior.

 

Anthropologist Marvin Harris wrote this in his book titled The Return of the Witch.

 

Recently, Charles A. Reich, a minor prophet of counterculture, talks about the millennial state of the mind, which he calls the Third Consciousness. "To reach this third consciousness, there must be deep skepticism about [logic], [rationality], [analysis], [principles], etc."

 

- [ COWS, PIGS, WARS, AND WITCHES ] -

retranslation

  

People with a sense of counterculture think that they can have anything they want. In fact, if your imagination and conviction are excessive, you may get what you want.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it must contribute to the permanence of the neighboring community, that is, the sum of things. In the end, selfish conviction is limited by human greed or just oppression.

 

Korean society is suffering a lot from ideological or religious imagination. This is the case even at this moment. We must not destroy the Korean social community and historical Korean culture.  

초합리성과 중세 시대로의 회귀

원래 문화란 이성과 진보의 결과물이다. 그러니까 인간이 뭔가 나아질려고 노력한 것의 결과물이란 의미다. 그레서 그런지 한국에서는 보수정부가 집권을 하면 정권의 분위기가 반문화 분위기인 초합리성으로 흘러간다.

 

초합리성이란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의미다. 미신, 종교, 관상, 원념, 실천력이 없는 상상력등이 한국 사회를 지배한다. 고민하고 개선할려는 노력없는 정치가 즉 합리적이지 못한 정부가 잘 될 리가 없다. 정부의 초창기부터 삐걱거리더니 국민 여론은 정부 수반과 그 주변 인물들의 실증적이지 못한 행위에 점점 사기롭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근린 버스 운전을 하면서 한국 사회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느낀적이 있다. 근로를 천시하고 무시하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사기적 행위를 권유한다는 생각을 한 적이 많았다.

 

인류학자 마빈해리스는 그의 책에서 [마녀의 복귀]라는 제목으로 이런 글을 썼다.

 

최근 반문화의 미성년 예언자인 찰스 라이히(Chrles A. Reich)는 스스로 제 3의 의식이라고 부르는 마음의 천년지복 상태(millinnial state)에 대해 말하고 있다. “3의 의식이라는 것에 도달하려면, [논리] [합리성] [분석] [원칙]등에 깊은 회의가 있어야 한다.”

 

- [ COWS, PIGS, WARS, AND WITCHES ] -

 

반문화 의식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원하면 무엇이든지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상상력과 확신이 지나치면 원하는 것을 얻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이웃공동체의 영속성 즉 공리(the sum of things)에 기여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결국 인간의 탐욕끼리 충돌하거나 정의로운 억압에 의해서 이기적인 확신은 제한된다


한국사회가 이념이나 종교적인 상상력에 의해서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렇다는 말이다. 한국의 사회공동체와 역사 깊은 한국의 문화를 파괴하지 말아야 한다.

 

2024년 9월 19일 목요일

Sociality and Publicity of Political Power

When I occasionally move to work, I see that a workplace with many long-term employees without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s stable (only for long-term employees), but a special personality of the group is created. For example, even though the company's work is public, such as the bus transportation industry, there is a tendency to gradually build walls with the environment and become socialized.

 

When political power is born in an inner group, the sociality and publicity that the political power should pursue are lost.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which was born i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inner group of prosecution and conservative politics, seems to have lost its sociality and publicity from the beginning until now. As the actions of the head of government and grotesque neighbors are critically reflected in mass media and SNS, leadership and publicity are gradually lost.

 

Koreans are prone to confusing publicity with left-wing ideologies while making ideological judgments first. However, in a democratic society, it is the role of political power to adjust interests in various private areas using public minds.

 

Hannah Arendt (1906-1975), a Jewish and German political scientist, says that humans should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with the will to do so. However, Korea's current political power is very private. Korea's political power seems to confuse capitalism with selfishness, presumably on the premise of immature ideological thinking.

 

Politicians' roles have already ended since they made people feel tired. Many politicians made people feel trustworthy and cozy. However, it seems that politicians who made people feel trustworthy had a great will for the public space.

정치권력의 사회성과 공공성

가끔 일터를 옮겨 다니다 보면 외부와 교류가 없이 장기근속자들이 많은 일터는 안정적(장기근속자들에게만)이지만 집단의 특별한 개성이 생긴다. 예를 들면 버스운송업과 같이 그 회사의 업무가 공공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점 환경과 선을 긋고 사조직화 되는 성향도 생긴다.

 

정치권력이 내집단에서 탄생하면 정치권력이 당연히 추구해야 할 사회성과 공공성을 잃어버리게 된다. 검찰이란 내집단과 보수정치의 협력속에서 탄생한 현 한국의 정부는 시작부터 지금까지 계속 사회성과 공공성을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 정부 수반과 그로테스크한 그 주변 인물들의 행보가 매스미디어나 SNS에 비판적으로 비추어지면서 점차 리더쉽이 상실되고 공공성도 상실되는 결과가 생기고 있다.

 

한국인들은 이념적 판단을 먼저 하면서 공공성을 좌파적 이념과 혼동하기 쉬운 여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민주사회에서는 다양한 사적인 영역의 이해관계를 공적인 마인드를 이용하여 조정해 나가는 것이 정치 권력의 역할이다.

 

유태인이면서 독일의 정치학자인 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1906-1975 )는 인간은 공적 공간에 대한 의지로 공적 영역에 참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한국의 현 정치권력은 매우 사적이다. 아마 성숙하지 못한 이념적인 사고가 전제되어 자본주의랑 자기 멋대로주의를 혼동하는 듯 하다.

 

정치인은 국민들로 하여금 피로감을 느끼게 만들때부터 이미 역할이 끝났다고 봐야 한다. 신뢰감과 포근함을 느끼게 만든 정치인들도 많았다. 그러나 신뢰감을 느끼게 만든 정치인은 확실히 공적 공간에 대한 의지가 대단했던 것 같다.   

2024년 9월 12일 목요일

Intelligence operations of a person living in a wide world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5%EC%9E%91



Even when I was driving a bus, I did not leave economics-related books, diplomacy-related books, or history-related books. I was thirsty for knowledge. I thought that the reason why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ed a tragic history, swayed by ideology, was that it did not have a mature education. Even while studying practical things such as law and engineering, I often read books that were far from studying for the exam because I thought I needed to know more.

 


At one point in the past, a president was diligently engaged in craft politics. I almost became the victim because I had passed on to the work of intelligence agencies related to my father. But at that time, I realized that I knew a lot. I carried out my own battles brilliantly. My enemy was an ideology. I thought that it would benefit all of us on the Korean Peninsula only if we deal with something more fundamental and historical than a barely crafted president. Then, there is one more thing I learn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Japanese intellectuals had many reformist patriots such as Takamori Shaiko. Patriotism has paved the way for the far-right Japanese politics that have been passed down so far. The Japanese leadership, who attempted to expand Japan with the idea of co-prosperity with the East Asia, must have been developing knowledge and ideas appropriate to their will. It w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ours, which was passive in ideology or foreign power.

 


As mentioned before, the Korean leadership fighting over ideological issues must have been very small to the Japanese leadership, who have developed extensive knowledge and strategies. I know that feeling. I think those who live in a smaller mental world than me are those who can move.

 


After annexing Korea, Japan only gave Koreans practical educ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engaged in craft politics to get rid of the habit of Koreans becoming aware of themselves as Koreans. Since the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engaged in craft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scholarships to create pro-Japanese figures in Korea. I also saw the 7-hour incident between the Yomiuri Shimbun and former President Park Geun Hye as a craft activity. At that time, Japanese figures and Korean politicians frequently drank, and all of these actions seemed to me to be Japan's craft activities. And when an anti-Japanese president was elected, I don't know anything else, and it was good to just have a cold view of Japan-I'm not saying let's make Japan an enemy. I mean, let's have a cool and objective perspective.

 


Now, however, we are all miserable. Those with a narrower vision than me are in power. Both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maneuvers of neighboring countries to keep us in a narrower world than to ideology. And Seoul should stop being pro-Japanese right now. Otherwise,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should let go of its grip.

 


Entering a period of great orcas wriggling again, Korea's only way to live is for its people and politicians to have the cool-headednes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fundamental driv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judge national interests. Diplomacy, as President Kim Dae Jung said, is our masterpiece.

 


- [If you know diplomacy, you can see the world] by Lim Hantaek -

 

 

 

 

넓은 세상에 사는 자의 공작 활동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5%EC%9E%91


나는 버스 운전을 할 때도 경제학 관련 서적이나 외교 관련 서적, 또는 역사 관련 서적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나는 지식에 대한 갈증이 많았다. 한반도가 이념에 휘둘리며 비극적인 역사를 경험한 이유는 성숙한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라고 생각했다. 법학이나 공학 같은 실용적 공부를 하다가도 뭔가를 더 알아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수험공부와 거리가 먼 책을 읽기 일쑤였다.

 

과거의 어느 때, 어느 대통령이 부지런히 공작정치를 하고 있었다. 부친 때문에 정보기관의 일에 물려 들어간 탓에 나도 그 피해자가 될 뻔 했다. 그런데 내가 아는 것이 많다는 사실을 그 당시에 깨달았다. 나름대로의 공방전을 훌륭하게 수행했다. 나의 적은 이념이었다. 겨우 공작질이나 하는 대통령보다는 더 근원적이고 역사적인 것을 상대해야 우리 한반도인 모두에게 이익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다가 알게 된 사실이 하나 더 있다.

 

개항 후의 일본의 지식인들은 사이코 다카모리와 같은 개혁적인 애국자가 많았다. 지금까지 면면히 내려오는 극우성향의 일본 정치는 애국으로 포장되어 있다. 대동아 공영권까지 생각하며 일본을 팽창시키려고 노력한 일본의 지도층들은 의지에 걸맞는 지식과 사상을 만들고 있었을 것이다. 이념이나 외세에 수동적이었던 우리와는 달랐을 것이다.

 

저번에도 언급했지만 폭넓은 지식과 전략을 키워온 일본의 지도층에게는 이념 문제로 싸우는 한국의 지도층들이 무척 왜소해 보였을 것이다. 나도 그 느낌을 아는데, 나보다 협소한 정신세계에 사는 자들은 내가 움직일 수 있는 자들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을 병합한 후 일본은 한국인에게 실용적인 교육만 시켰다. 한국인으로서 자각하는 습관을 없애기 위헤서 공작 활동을 한 것이다. 그 이후에도 줄곧 한국에 친일 인사를 만들어내기 위해서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 공작 활동을 해 왔다. 나는 요미우리 신문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 사건도 예사롭지 않게 보았다. 당시에 일본의 인사들과 한국의 정치인들이 술자리를 하는 일도 잦았는데, 나는 그런 행위가 모두 일본의 공작 활동으로 보였다. 그리고 반일 성향의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때는 다른 것은 모르겠고, 일본에 대해서 냉정한 시각을 갖는 것만으로 좋았다.-일본을 적으로 삼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냉철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갖자는 말이다.

 

그런데 지금은 우리 모두가 비참해지고 있다. 나보다 시야가 좁은 이들이 정권을 잡고 있다. 북한 정부나 한국 정부는 이념보다 우리들을 좁은 세계에 가두어 놓을려는 주변국들의 공작 활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친일적인 태도를 당장 멈춰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정권을 놓아야 한다.

 

거대한 범고래들이 다시 꿈틀거리는 시기에 접어들어 한국이 살길은 국민과 위정자들이 국제사회와 한반도 주변의 근본적인 동인의 변화를 이해하고 국익을 판단하는 냉철함을 갖는 것 뿐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말한 것처럼, 외교는 우리의 명줄이기 때문이다.

 

-[외교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by 임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