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4년 4월 5일 토요일

행복이란 개념의 진화 / 알랭


사회적인 평가의 귀천(貴賤)을 묻지않고 한국의 일터는 치열하다. 사회에 대한 헌신과 공익보다는 경쟁을 강조하던 시절의 근로에 관한 인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듯 하다. 사회가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존(共存)이란 가치를 인식할 여유없이 달려온 한국의 경쟁적 의식은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으며 서서히 사회붕괴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점이 여기저기서 느껴지기도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갈등관계'가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데 도움을 줄 수 없다는 사실은 진리인듯 하다.

"우리는 싸울 것이다. 바다에서도 싸우고, 산에서도 싸우고, 직장에서도 싸우고, 학교에서도 싸울 것이다."해서는 곤란한듯 하다.

세계 헌법의 기본권 사상이 자유권을 지나서 복지를 중시하는 사회권으로 발전하고, 이제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지구촌의 인연과 결속을 무시할 수 없다는 '연대권'을 중시하는 시대로 발전하는 동안, 한국은 복지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고, 복지란 개념이 좌우 이념과 연계되어 정쟁(政爭)의 도구로서만 사용되고 있는듯 하다. 그동안 일을 해도 벗어날수 없는 가난에 지친 백성이 하나 둘 스스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길 포기하는 불상사가 발생하며 사회붕괴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점은 긴급히 시정되어야 할 문제인것 같다.

부정적인 관념이 지배하는 사회의 시민은 불행한듯 하다. 부족한 일자리중 하나를 구해서 기계적 능률성과 싸우고, 동료들과 밥그릇 경쟁을 하다보면 근로의 사회공헌적인 의미는 안드로메다에 있는듯 하다.

헌법상 기본권의 흐름이 자유권에서 사회권으로, 사회권에서 연대권으로 흐름이 진화하듯이 '행복'에 대한 인식도 자신의 이기적(利己的)인 행복에서 이타적(利他的)인 행복으로, 이타적인 행복에서 기타적(己他的)인 행복, 즉 나도 행복해지고 타인도 행복해져야 옳다는 진화된 의미로 생각해봐야 할것 같다.

다음은 시몬느베이유의 스승이기도 한 프랑스의 철학자 알랭(Alain Emile Auguste Chartier : 1868 ~ 1951 )의 행복에 대한 생각이다.

우리는 외투 정도로밖에는  관계가 없는 그러한 종류의 행복이 있다. 예를 들면 유산을 상속하거나 복권을 뽑아서 한몫보는 것이 그것이다. 명예도 그러하다. 명예는 우연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자신의 힘에 의존하는 행복에 젖어 있는 것은 마치 양털이 붉은 색깔로 염색되어 있는 것 이상이다. 옛날의 현명한 사람들은 이웃 사람의 행복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행복을 구하였다. 

그런데 오늘의 현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자기 행복을 구하는 것은 고상한 일이 아니라고 가르치고 있다. 그리고 어떤 사람은 덕(德)은 행복을 모욕한다고 가르치지만, 이런 말을 하는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 다른 사람은 공동의 행복이 자기 행복의 참된 원천이라고 가르친다. 이것은 아주 공허한 말이다. 왜냐하면 마치 구멍이 뚫어진 그릇에 술이라도 부어 넣은 것처럼, 주위 사람들에게 행복을 부어넣는 것보다 더 공허한 일은 없기 때문이다. 스스로 권태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을 즐겁게 할 수는 없다.반대로 조금도 탐내는 일이 없는 사람에게야말로 무엇을 줄 수가 있다. 스스로 강하고 행복한 사람은 타인에 의해 더욱 강해지고 행복해질 것이다. 그렇다. 행복한 사람들은 이득이 많은 장사나 거래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남에게 행복을 주기 위해서는 자기 내부에 행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행복해지려고 결단을 한 사람은 이러한 면을 잘 알아야 한다. 그렇게 하면 아무 소용에도 닿지 않는 사랑을 베풀지 않아도 된다. 자기 자신의 행복은 결코 덕애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 힘을 의미하는 이 덕이라는 아름다운 말이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란 옷이라도 벗어서 집어던지는 것처럼 다른 행복 같은 것은 서슴치 않고 던져 버리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의 참된 행복은 절대로 내던지지 않는다. 행복해지기를 원하고 이를 위해서 애쓸 필요가 있다.

나의 행복과 타인의 행복은 연결이 되어 있고, 행복한 삶은 개인의 의무이자 권리이기도 하며, 개인이 모인 집합체인 국가의 의무이자 권리이기도 한듯 하다. 행복이란 개념 조차도 잃어버린 이념적인 정체(政體)인 '북한'이란 존재때문에 '복지'에 관한 논의가 행복이란 관점보다도 이념적인 관점으로 논의가 되어 한국민의 '행복한 삶'을 방해하는 사실조차도 타인의 행복과 나의 행복은 연결되어 있다는 속성을 보여준다는 생각이 드는데, 궤변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적 경험속에서 내부 갈등이 가져온 불행한 사태의 예는 많이 찾을 수 있는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