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4년 3월 28일 금요일

아포리아(aporia)의 해결


어렸을때 크게 말썽을 일으켰다. 세상의 끝을 볼만한 사건이었는데 부모님은 의외로 고요했다. "다음부터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하라"는 부친의 간략한 부탁은 내내 마음을 눌렀고 이후에 말썽이 없도록 행동하는 지침이 되곤 했던것 같다.

아포리아(aporia)란 그리스어의 '길이 없는 것'에서 유래한 철학적 용어이다. 하나의 문제에 대해서 두 가지 결론이 도출되거나 해결 곤란한 문제상황을 의미한다. "너 자신을 알라"는 말로 유명한 그리스의 절대론적인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대화의 상대를 아포리아에 빠지게 해서 상대방의 무지(無知)를 자각하게 만든것으로 유명하다.

소크라테스는 당시 만연하던 소피스트들의 '진리없는 궤변'에 맞서서 지치지 않고 진리에 대한 탐구를 재촉했다. 소크라테스의 이런 탐구의욕은 철학을 한다는 구실로 생활에 무능한 소크라테스를 괴롭혔던 악처로 유명한 아내 크산티페에 의해서 키워진듯 하다. "마술을 하는 자는 사나운 말을 다루는 법을 먼저 배운다. 그로 인해 다른 말을 다루기 쉬워진다."는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소크라테스의 철학세계를 만드는데 크산티페가 크게 도움을 주었다는 생각이 든다.

조선시대 성리학은 이기론(理氣論)적인 성향이 강했는데, 퇴계 이황선생을 중심으로 원리원칙에 가까운 이(理)를 중시한 주리론(主理論)과 율곡 이이선생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현실에 가까운 기(氣)를 중시하는 주기론(主氣論)은 대립하여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의 대립인 당쟁으로까지 비화되었는데, 임진왜란이라는 엄청난 사건의 발생은 해결되지 않는 두 사상의 대립을 '일시적으로' 잠재우는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것 같다.

다산 정약용 선생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18세기까지 계속되던 성리학의 해결되지 않은 분열적인 세계를 혈기론(血氣論)적인 인간, 즉 현실적인 욕망을 벗어날 수 없는 인간을 인정함으로써 철학적인 아포리즘에 빠져 헤매며 소홀히했던 조선의 민생을 챙길려고 시도했다고 할 수 있을것 같다.  

독일의 수학자이며 논리학자인 프레게(Gottlob Frege 1848 ~ 1925 )는 '인간은 논리 밖으로 나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개인적인 주관보다 논리가 우선한다는 뜻인데, 과학적인 발견조차도 논리의 바탕위에서 현실화 됨으로써 언어의 논리형식을 명확히해야 한다고 말한다.

현실은 관념을 만들고, 관념은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 논리적으로 표현되지만 주관과 감정이 개입하여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듯 하다. 답이 없는 듯이 보이는 문제는 관념으로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있고, 관념이 일으키는 문제는 현실이 해결해 주기도 한다. 그래도 해결되지 못하는 것들의 배후에는 냉철하지 못한 인간의 감정과 욕망이 도사리고 있는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