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4년 7월 27일 토요일

U.S.-North Korea negotiations and 2nd Marshall Plan

The essence of capitalist ideology is human desire. It aims to satisfy human desires as much as possible in institutional or common-interest ways. It is a good act. Most of all, because desire is related to the desire to survive.


Despite former President Trump's unexpected and unusual political moves, I have seen a ray of light regarding North Korea. North Korea must have had President Kim Jong-un's desire to protect the regime and Chairman Kim Jong-il's desire to make North Korea a strong and powerful country. And the West must have had a desire to turn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 country and take political and economic benefits from it. In particular, I anticipated that President Trump would have an economic perspective rather than an ideological one because he had a businessman's philosophy. I thought that those desires would be combined to change North Korea's position. That was true at the time. We all had desires. Capitalist philosophy can refer to such desires as that. - Why I refer to 'us' is understood by negotiators, including US Secretary of State Pompeo and US Secretary of State Biegun, who participated in the US-North Korea negotiations at the time.



As the highest policymaking circles in Washington considered these questions, a document arrived from George Kennan, a Russian expert who was a relatively junior diplomat, arrived at the U.S. Embassy in Moscow. The report provided a philosoph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talin's foreign policy. One of those rare embassy report that would by itself reshape Washington’s view of the world, it became known as "The Long Telegram." Kennan maintain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top blaming itself for the Soviet Union's intransigence; The sources of Soviet foreign policy lay deep within the Soviet system itself. In essence, Kennan argued that Soviet foreign policy was an amalgam of communist ideological zeal and old Russian tsarist expansionism.

 

- [DIPLOMACY] BY HENRY KISSINGER -

 

And without a second term, there was a revivalist and reactionary craze all over the world. President Trump failed to win a second term, President Putin returned to Stalin's expansionism at the time, and President Kim Jong-un realized that the wall of reform was too high. In fact, Korea is in a complex situation where ideological conflict creates ghosts that do not exist, so it will result in being rejected from US-North Korea negotiations. Please, in Korea, a president with a political philosophy must be elected. If the Korean president lacks a political philosophy, he is treated like a child. Practicalism can be used to describe political action without a political philosophy. It will be seen by the public and the world as an attempt to benefit from opportunities without a sense of duty under the pretext of pragmatism.

 

Let's reflect on the question of whether we can go back to those days. Russia is at war with Ukraine, North Korea and Russia are close, and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Kim Jong-un are getting older. All of these factors are obstacles to US-North Korea negotiations. At this point, why don't we replace political philosophy with a moderate means to achieve each other's desires.

 

Let's put it in a bit of a rough, off-the-cuff language. If the Trump administration intends to open up Kim Jong-un's government and take advantage of the economy, it should develop North Korea. The situation will be the same as in the Marshall Plan, when the United States provided economic support to restore Europe to ruin after World War II.

 

 

 

 

북미협상과 2차 마샬계획

자본주의 이념의 본질은 인간의 욕망이다. 인간의 욕망을 제도적인 방법 또는 공리적인 방법으로 최대한 충족 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그것은 선량한 행위이다. 대게 욕망이란 생존하고자 하는 욕구와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매우 돌발적이고 이례적인 정치 행보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관련한 한 가닥 빛줄기를 본 적이 있었다. 정권을 지키고자하는 김정은 위원장의 욕망, 북한을 강성대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김정일 위원장 때부터의 욕망이 북한에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북한을 자본주의 국가로 만들어 북한으로부터 정치적, 경제적인 이익을 취해야 한다는 서방측의 욕망이 있었을 것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사업가의 철학이 있어서 이념적인 관점보다 경제적인 관점이 앞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런 욕망들이 어우러져 북한의 입지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생각했다. 당시 사실 그랬다. 우리들은 모두 욕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 욕망을 자본주의 철학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왜 우리들이라고 하는지는 당시 북미협상문제에 가담했던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비건 미국 국무부장관을 비롯한 협상측 인사들은 알 것이다.


워싱턴 내 최고위층 정책결정 집단이 이런 질문을 검토하고 있을 때, 주소련 미국 대사관에서 상대적으로 주니어급 외교관에 속했던 러시아 전문가인 조지 케넌(Geoge Kennan)이 작성한 보고서가 도착했다. 이 보고서는 스탈린의 외교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이고 개념적인 틀을 제공했다. 미국의 전 세계적 관점을 바꿔놓은 보기드믄 대사관 보고서는 긴 전보(The Long Telegram)”로 알려졌다. 케넌은 소련의 비타협적인 태도에 대하여 미국이 자책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련 외교정책의 근원은 소련체제 자체의 내부 깊은 곳에 있다는 것이다. 케넌은 소련외교정책이 본질적으로 공산주의의 이념적인 열정과 오래된 러시아 전제군주제의 팽창주의가 혼합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 [DIPLOMACY] BY HENRY KISSINGER -


그리고 누가 먼저라고 할 것도 없이 전 세계가 복고주의, 반동주의 열풍이 불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임에 실패하고, 푸틴 대통령은 그 시절 스탈린의 팽창주의로 회귀했으며, 김정은 위원장은 개혁의 벽이 너무 높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사실 한국은 이념적인 분란으로 없는 귀신을 만들어 내는 복잡한 상황에 있기 때문에 북미협상에서 배척당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그래서 제발 한국에서는 정치철학이 갖춰진 대통령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철학이 없으면 어린아이 취급을 당한다. 그걸 실용주의라고 포장해봤자다. 실용주의를 핑계로 사명감이 없이 기회를 보아서 사적인 이익을 챙기겠다는 의도로 국민과 세계의 눈에는 비춰질 것이다.

 

다시 한 번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곱씹어보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전쟁중이고,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나이는 점점 많아지는 요소들은 모두 북미협상의 방해 요소다. 이쯤에서 정치철학을 서로의 욕망을 달성하기 위한 온건한 수단으로 대체해보면 어떨까.

 

좀 거칠고 막 되먹은 언어로 표현해보자. 트럼프 정부가 김정은 정부를 개방시켜서 경제적 이익을 취할려는 의도가 있으면 북한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그 상황은 미국이 2차 세계대전 후에 폐허화된 유럽을 복구시키기 위해 경제적 지원을 했던 마샬계획 당시와 같을 것이다.

 

 

 

 

2024년 7월 19일 금요일

The territory of the spirit and the process of comparison

The reality of Korea's political elite these days shows how Korean education has failed to globalize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political power of Korea created in the inner group of prosecutors shows evidence that those who spent their youth suffering from harsh test takers failed to achieve horizontal globalization, immersed only in vertical status rise.

 

If the territory of the spirit cannot be expanded through reading and sports during adolescence, only oneself and one's surroundings are mistaken for being everything in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They do not have an axiomatic sense of purpose or altruism, and compare and compete within the environment they know.

 

An excellent and capable young man has been at work for a long time. He started a work life full of dreams and hopes, but increasingly, he became immersed in the world inside the workplace. The dream disappeared day by day, and only the boss and colleagues settled in the world of the young man. The world he sees more than eight hours a day establishes itself as all his world. The young man repeats the habit of competing for grades with his classmates in school. Then he gets old again fighting for promotion with his co-workers. The young man's ability to lead is gradually disappearing.

 

Leon Festinger, a social psychologist, says that the social comparison process is a universal characteristic of humanity. Everyone on Earth compares themselves to people in socially awkward positions, and doesn't really care about groups up or down. They want to have a big house because they want to look like members of a success group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e reason they want to buy a large house even if they are forced to because they know the narratives that others are trying to do so even if they are forced to.

 

McGinn's "Where You Live Is You" effect confirms the power of real estate comparison narratives. When the housing market boom reached its peak in the early 2000s, there were no other comparable measures of success that can be easily found on the Internet as they are today.

 

- [NARRATIVE ECONOMICS] BY ROBERT SHILLER -

retranslation

 

In the early 2000s, the real estate fever was severe because the only world that could be compared to others was home.

 

In order to develop young people into global leaders, they must be educated to think globally. Young people with a wide range of spiritual territories will understand both the difficult and the wealthy (without being biased toward ideology), find the most righteous among various religious beliefs, and develop the future without regressing. 

정신의 영토와 비교 과정

요즘 한국의 정치 엘리트들의 실상은 과거 한국 교육이 얼마나 세계화에 실패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검찰이라는 내집단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정치권력은 혹독한 수험생활로 시달리며 청년기를 보낸 사람들이 수직적 신분 상승에만 몰입하면서 수평적 세계화에 실패했다는 증거를 보여준다.

 

청소년기에 많은 독서와 스포츠등을 통하여 정신의 영토를 넓혀주지 못하면 자신과 자신의 주변만 자신이 살아가는 세상의 전부인 줄 착각한다. 그리고 공리적인 목적의식이나 이타심이 없고, 자신이 알고 있는 환경 안에서 비교하고 경쟁한다.

 

우수하고 능력 있는 젊은이가 직장생활을 오래 하였다. 꿈과 희망으로 가득찬 직장생활을 시작하였지만 갈수록 직장 내부의 세계에 몰입하게 되었다. 날이 갈수록 꿈은 사라지고 직장 상사와 직장동료들만이 젊은이의 세상 속에 자리 잡았다. 하루 8시간이상 자신이 보는 세상은 자신의 모든 세상으로 자리 잡는다. 젊은이는 학창 시절 급우들과 성적을 다투던 습관대로 직장동료들과 승진을 다투며 늙어간다. 그 젊은이는 리더의 능력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사회심리학자인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는 사회비교과정이 인류의 보편적 특성이라고 말한다. 지구상 모든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비숫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고, 위나 아래에 있는 집단에게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이 큰 집을 갖고 싶은 것은 그들에게 익숙한 성공 집단의 일원처럼 보이고 싶었기 때문이다. 무리를 해서라도 큰 집을 사려고 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들이 무리를 해서라도 그렇게 하려는 내러티브(narrative)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맥긴의 당신이 사는 곳이 곧 당신이다효과는 부동산 비교 내러티브(narrative)의 위력을 확인해 준다. 2000년대 초반 주택 시장 붐이 절정에 달했을 때는, 요즘처럼 인터넷에서 간단히 찾아볼 수 있는 다른 비교가능한 성공의 척도가 없었다.

 

- [NARRATIVE ECONOMICS] BY ROBERT SHILLER -

 

2000년대 초반에는 남과 비교할 수 있는 세상이 집밖에 없었기 때문에 부동산 열기가 심했다는 설명이다.

 

젊은이를 세계적인 리더로 키울려면 세계적인 생각을 하게 교육을 시켜야 한다. 정신의 영토가 넓은 젊은이가 어려운 이와 부유한 이를 모두 이해하고(즉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여러 가지 종교적인 신념 속에서 가장 정의로운 것을 찾아내며, 미래를 퇴보시키지 않고 더욱 발전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