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대인(大人)을 향하여 / 포트래취


캐나다의 밴쿠버섬에 있는 크와키우틀족의 추장들은 자기의 부하들이나 이웃 부락의 추장들로부터 존경받는 것을 넘어서 추장으로서의 자격과 합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포트래취라는 잔치를 연다. 이 잔치를 여는 추장들은 손님들에게 선물할 물건들을 크게 쌓아놓고 자랑한다. 손님으로 방문한 다른 추장들은 자신의 포트래취에서는 더 많은 선물을 쌓아놓고 자랑하고 분배할 것을 결심하며 복수를 꿈꾼다. 그리고 초청한 추장의 선물이 별 볼일 없다고 냉정하게 비웃는다. 서로 그렇게 복수혈전을 벌이다가 어느 추장은 "나 말고 이렇게 여러분들을 따뜻하게 해 줄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라는 혼언장담을 하면서 자기 집의 천장에 기름을 뿌리고 불을 붙여 포트래취의 제물로 바치기도 한다.

대인이 되기위한 추장들의 노력은 경쟁적인 측면도 있지만 '재산의 이동'이란 역할도 한다. 생산력이 낮은 부족의 추장은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서 포트래취를 연 추장을 위대하다고 치켜 세우기만 하면 된다.   

-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중 발췌요약 -

미국의 사회비평가인 반스 팩커드(Vance Packard)는 미국이라는 나라는 위신을 얻기 위해 경쟁하는 자들로 이루어진 국가라고 말한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경쟁이 사회동력으로 작용하는 곳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열망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닌듯 하다. 크와키우틀족 같은 미개한 문명의 본능적인 분배방식과 인간의 위신에 대한 열망이 선진문화와 자유라는 포장으로 미국과 같은 발전된 사회에서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논외로 한다면 그 결과나 사회감정의 측면에서 보면은 그다지 나쁠것이 없기 때문이다.사람들을 사회에 공헌하는 인물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는 미국은 기회의 나라이며 그 기회를 이용하여 능력을 발휘할 자유가 주어져 있고,그만한 사회적 댓가를 받는다는 사실은 정당성에 의문을 품을 이유는 없는듯 하다.

문제는 마빈해리스도 지적하고 있지만 이런 위신에 대한 열망을 호혜적인 댓가를 치루지 않고, 세습적 제왕의 지위나 고귀한 신권을 움켜쥔 지배자들이 포트래취가 아닌 군대의 힘으로 도전자들을 굴복시켜서 위신을 얻어내는 경우가 있는듯 하다. 조금 완화된  형태로는 이런 위신을 얻어내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일탈의 방법을 사용하는 사회도 있는듯 하다.

가끔 그런 생각이 든다. 만약 그런 위신을 인정하지 않는 평등한 관점이 지배하는 사회라면 '대인'이 되고자 하는 열망은 어떻게 표현될까 하는 의문이 든다. 댓가를 바라지 않는 단순한 시혜성(施惠性)을 지닌 대인이 등장하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터론토 대학교의 리처드 리(Richard Lee)교수는 항상 사냥감이 변변치 못한 칼라하리 사막의 부시맨족을 관찰하면서 거대한 숫소를 사다 주었는데, 부시맨족의 태도는 냉정했다. 하지만 충분히 게걸스럽게 먹었는데, 리 교수가 이런 점에 의문을 품자 부시멘이 대답했다. "좋소, 물론 우리는 이 숫소가 굉장히 좋은 고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소. 그러나 한 젊은이가 많은 사냥감을 잡게 될 때에 자신을 마치 대인이나 추장같이 여기게 되죠. 그리고 우리 나머지 사람들을 마치 자기의 종인 것처럼 생각하거나 자기보다 못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죠. 우리는 이 점을 인정할 수 없는 것이요. " 그는 말을 이었다. "우리는 자랑하고 다니는 놈들을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그의 자만심이 언젠가 그로 하여금 누군가를 죽이게 하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항상 그가 잡아온 고기가 별 쓸모없다고 해주지요. 그래야만 그의 심장은 식게 되고, 겸손해지게 되지요.

- 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중 발췌요약 -

물질적인 풍요가 진전된 사회에서 문명이란 외형을 지녔지만 부시멘보다 못한 정신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회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풀기 어려운 또 하나의 '문화의 수수께끼'인듯 하다.
 



2014년 6월 24일 화요일

이라크 내전과 칸트


이라크에서 시아파 정부군과 수니파 반군간의 참혹한 내전이 일어났다. 한국이 64년전에 겪었던 '믿는 바'가 바탕이 된 동족상잔의 비극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종교적인 색체가 강한 이슬람 국가인 만큼, 내전과 같은 불행한 사태의 동기도 종교적인 관점의 차이가 되어버렸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인간은 누구나 이성의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누군가 타인에게 이성적인 판단을 의존하는 것은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고, 용기가 없어서 그렇다고 말한다.

자신의 종파를 위해서 총을 드는 것은 용기가 아닌듯 하다. 스스로가 판단의 주체가 되어 냉철한 관점으로 '선(善)의 의지를 추구하는 것이 용기 있는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나뭇가지를 부러뜨리는 것이 붙이는 것보다 훨씬 쉬운 것처럼 파괴에는 용기가 필요없는 것이 인간의 마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종교적인 믿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지나친 사람을 볼때면 '나약하다'는 생각이 든다.

2014년 6월 16일 월요일

케네디의 흑백통합


1960년 10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애틀란타의 흑백이 분리된 백화점의 식당에 성큼 성큼 걸어들어갔다.그 댓가로 그는 무면허운전과 건조물침입죄로 조지아주교도소애서 수갑에 묶인체 6개월 중노동형을 선고받았다. 남부의 백인들을 자극할까봐 두려웠던 대통령후보 케네디는 공개적으로 그 선고를 비난하지 않았다. 케네디의 민권 담당 보좌관 해리슨 와퍼드는 상원의원의 몸조심에 화가났다. 그는 인간의 평등성에 대해 신념을 공유했던 존 케네디의 자형인 사전트 쉬리버에게 말했다. "아름답고 열정적인 케네디 가문의 문제점은 그들은 결코 그들의 열정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케네디는 킹의 부인에게 전화를 걸어 그가 도울 수 있는 일을 하겠다고 약속했고, 이 사실이 신문기사로 알려지자 케네디의 상대 후보인 닉슨의 진영에 서 있던 마틴 루터 킹 시니어는 며느리의 눈에서 눈물을 마르게 할 사람에게 표를 몰아주겠다고 말하였다. 1960년 선거일 흑인들은 따뜻한 마음을 가진 후보가 백악관에 입성하는데 기여했다.

- 마이클 베슐로스 저 [PRESIDENTIAL COURAGE]중에서 발췌요약 -

한국에서도 인간 평등에 대한 신념을 가진 따뜻한 마음을 가진 정치지도자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을것 같다. 하지만 이런 기대가 선전(propaganda)에 의해서 슬그머니 이념의 문제로 왜곡되어 버린다. 

2014년 6월 14일 토요일

무너지는 신화와 권위


매스미디어의 발달을 넘어 정보화시대인 현 시대에 어떤 정치인들의 부도덕성과 비합리성은 많이 알려진다. 생활속에서 많은 생각을 하는 시민들의 시간과 인식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이슈거리가 되기도 한다. 생각해보면 과거에 정치인이라는 지위는 현재의 권력이거나 미래의 권력으로서 권위적인 상징성을 띄어온듯 하다. 그러나 요즘은 그 신화가 무너져가고 있는듯 하다. 정치인이나 후보자는 과거의 권위적인 잔상과 우스꽝스러운 현실앞에서 방황하는듯 하다.

신뢰성을 표방하는 현 정부의 인사관리는 계속 실패하는듯 한데, 장기적으로는 정치적인 권위를 대폭 저감(低減)시키는 효과가 있는듯 하다. 어쩌면 인사권자인 대통령이나 인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추천자들은 개인의 재능 또는 능률성과 도덕성 또는 신뢰성은 상반된 가치를 지닌것이라는 오해를 할 수도 있었을것 같다. 쉽게 표현하면 도덕성은 고리타분한 무능력함으로 비춰질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이미 그런 전국민적인 오해가 나쁜 결과를 일으킨 것을 경험한듯 하다.

왕이나 여왕에 대해서 반응할 때 우리는 그들의 인격에 따라서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지닌 신화적인 역할에 따라서 반응합니다. 어떤 사람이 판사가 되거나 미합중국의 대통령이 될 경우, 그 사람은 더 이상 그 사람이 아니라, 그 신성한 직함을 대표하는 사람이 됩니다. 그래서 그 직함이 의미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은 자기의 개인적인 욕망과 심지어는 자기 삶의 다른 가능성까지 희생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 조셉캠벨과 빌모이어스 공저 [신화의 힘]중에서 -   

생각과 재능은 있지만 외면과 표현이 이상적이지 못함을 핑계 삼을수도 없는듯 하다. 큰 문제중 하나는 동류집단(예를들면 정치인이나 정부관리들)에 대한 신뢰감이라는 신화가 점점 무너지는 점인듯 하다. 내가 살아가는 사회의 저변에는 훨씬 신뢰감있는 사람들이 넘쳐나는듯 하다. 설령 그렇지 못하더라도 신뢰감있는 사회나 더 합리적이어서 안정감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듯 하다. 훨씬 전체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살펴볼때 무너지는 권위는 정치적인 힘이나 지위가 부여하는 힘들을 많이 소멸시킬것 같다.

언젠가 어떤 법조인이 성적일탈을 일으킨 사건이 알려졌을때, 해당 법조인은 법적 책임을 면했지만 고스란히 법조계의 도덕적 권위를 손상시키는 연대책임 아닌 연대책임으로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대통령의 총리 인선과정에서 발생한 불협화음들은 장기적으로는 고스란히 주변에서 떠맡는 결과가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2014년 6월 13일 금요일

한국적 총리와 대중정치


총리 인선(人選)과 관련하여 이해되지 않는 일이 벌어진 이면에는 이해되는 면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상징적인 국가수장의 역할을 제외하고는 대통령과 비숫한 통치행위를 할 수 있는 의원내각제의 총리는 합리적인 여과와 검증과정을 거치게 마련인듯 하다. 대중정치사회에서 직접선거라는 이름으로 무차별한 정치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대중보다는 의회라는 여과과정을 한 번 더 거친 후에 정치적인 책임성을 발휘하기 때문인듯 하다.

하지만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가 혼합된 한국적인 대통령제하에서의 총리는 대통령의 집권적인 성향의 강도에 따라서 참모와 보완의 역할에만 충실하게 될 듯하다. 하지만 국민들로서는 총리라는 지위가 표상하는 표면적인 위상을 먼저 생각하면 실질적인 권한과 책임이 없는 총리라는 인식보다 정부의 성향을 상징하는 모습으로 보여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한국정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념 또는  종교적인 성향과 맞물려 돌아가는 '대중성'인듯 하다. 오랫동안 정치 시장에서 이념과 종교는 선거에서 '고정표'를 얻어내는 기반이 되어온듯 하다.  이런 문제는 정치권만의 문제는 아닌듯 하다. 합리적인 주권자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대중정치적인 성향이 강한 한국유권자들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해야 할 일 보다는 권력투쟁을 우선시하는 목적전도현상으로 물려들어간 책임은 모두에게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합리성에 저항하는 한국사회


18세기 무렵 조선에서 야인이라 불리던 만주족이 세운 청은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만주족으로부터 두번의 침략을 받은 조선은 북벌을 계획했지만 팽창하는 청의 국력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청은 중국의 전통적 통치원리인 유교사상을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을 기본으로 하는 고증학(考證學)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문화를 개척하며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3대 황제 통치하의 130년동안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양반사회이자 성리학 사회인 조선은 당시 붕당정치에서 배제된 지식인들이 청나라 고증학의 실사구시 정신을 연구하여 실학이란 이름으로 현실을 개선하고자 노력했지만 성리학의 관념적이고 보수적인 양반사회였던 조선은 실학이란 새로운 합리성에 대해서 강하게 저항하였다.

그로부터 2세기~3세기가 흐른 후에도 한국사회는 합리성에 대해서 저항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는데, 최근에 와서 국가적 재난에 종교가 개입된 문제라든지, 국정을 위해서 일을 할 사람을 인선(人選) 하는 문제에 있어서 종교적인 인물이 추천되는 사례도 있고, 심지어는 이전에 종교편향적인 정치지도자가 나타나 국가분위기를 침체시키기도 한 사례가 있는듯 하다. 

어느 홈페이지에서 이런 문제를 토로하니 어떤 종교인이 현대는 문화지체현상이 심각해 종교가 물질문명의 문제점을 보완해준다고 말한다. 사실 옳은 말이다. 종교가 문화지체현상을 해결해주거나 공공의 선으로 부담감없이 수용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종교인으로서 직접 뵙고 감명을 받아 내 자신을 조금이나마 선량한 정신으로 인도해준 분도 계시다. 

한국전쟁 당시에 뙤놈이란 멸시를 받은 침략자였던 중국인들이 지금은 국가정책으로 과학기술에 집중하며 모든 과학기술 분야에서 한국을 압도해 나가는 동안, 한국은 이념이란 관념과 종교라는 관념이 다른 가치에 우선하는 사회를 벗어나지 못하는듯 하다. 심지어는 한국사회는 합리성에 저항하는 사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어떤 종교인들은 이미 도태된 공산주의를 아직도 싫어한다. 공산주의는 유물론과 계급투쟁을 본질로 하는 이념이기 때문에 "나도 공산당이 싫어요." 그러나 생각해보면 종교와 이념의 충돌은 비숫한 가치를 지닌 관념끼리의 충돌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때가 있다. 둘 다 보편적으로 사회에 수용되는데 실패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때도 있다. 또는 투쟁과 도그마라는 측면에서 보면 유사성을 보이기도해서 그렇게 느껴지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국에서 가장 건드리지 말아야 할 것은 종교와 이념이라고 말한다. 한국민들의 의식 저변에 잠재해 있는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문제라서 그렇다는 생각도 있지만 그건 아닌듯 하다. 간단히 말해서 합리적인 토론과 설득이 불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한다. 다른것끼리의 장점을 수렴하여 발전의 토양으로 삼는 습관을 없애버린 탓이기때문에 그렇다는 생각도 든다. 합리성, 토론문화, 논리적인 사고를 잃어버린 국가의 미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념이나 종교의 비합리적인 도그마는 개인이나 국가사회의 발전을 저지하는듯 하다.  

 합리성, 토론문화, 논리적인 사고는 종교나 이념과 배척되는 부분이 아닌듯 하다. 종교나 이념을 더욱 개선시키고 발전시켜줄 부분일수도 있다. 다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열려있는 사고가 필요할 것 같다. 요즘 한국사회를 보면서 18세기 조선과 청나라를 보는듯 하다.

2014년 6월 12일 목요일

공공의 가치와 일본에 대한 인식


1985년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이 유럽여행중 비트부르크의 나찌 친위대의 전몰자 무덤에 헌화하는 스케줄이 있었다. 이때 유태인으로서 강제노동수용소를 경험했던 엘리위젤은 "그곳은 당신이 갈 곳이 아닙니다. 당신이 갈 곳은 놈들에게 희생당한 자들의 옆입니다. "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 문제는 유럽 전역을 흔들었는데, 그 당시 레이건은 국민의 정서를 뛰어넘은 판단을 한 것이라는 자부심을 가졌고, 적어도 나찌 친위대 젊은이들도 히틀러의 희생양으로 여기는 폭 넒은 관점을 유감없이 과시했던 모양이다. 하지만 미국은 2차대전중 나찌의 직접적인 영토침략의 피해를 입지 않은 승전국이고, 유럽은 나찌의 지배하에서 참혹한 시간을 보낸것과 비교하면 레이건과 유럽인들의 정서는 같을 수가 없는데, 레이건의 이런 돌출 행동은 두고 두고 유럽에서 비난을 받았던것 같다.

한국에선 유명인이나 정치인이 일제치하의 문제에 대해서 레이건과 비숫한 관대한 관점을 보이다가 비난을 당하는 장면을 종종 본다. 당사자들은 극일(克日)의 관점을 가진것으로 폭 넓은 심사(心思)를 표현할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한국민의 대부분은 일제치하를 '아주 나쁜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종종 잊는것 같다.

공익을 위한 자리에 있으면 공익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 옳은듯 하다. 국민은 공익적인 가치를 지닌 이를 존중하는것 같다. 큰 잘못이 없는데도 미움을 받는 이의 2% 부족한 점은 '공공의 가치'를 함께 하지 못한 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2014년 6월 10일 화요일

고독속에서 자아(自我)와의 연결고리를 끊다 / 호세무히카


남미의 강소국인 우루구아이의 대통령은 호세무히카다.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이란 별명을 가지고 있는 그는 젊은 날을 도시게릴라활동과 그로 인해 수감생활을 하면서 보냈다. 급진좌파적인 이미지를 벗을려고 노력하면서 대통령이 되었고, 유일하게 등록된 재산인 20년된 자동차 한 대를 빼고 나머지 재산과 월급을 공익을 위해 '기부'하고 있다. 대통령으로서 모든 국민의 존경을 받고 있으며,우루구아이는 호세무히카 대통령의 임기동안 정치와 경제가 안정된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

언젠가 등소평이 문화대혁명 당시, 숙청을 당해 시골의 공장노동자로 있으면서 시간만 나면 뒷산에 올라가 혼자만의 시간을 가졌다는 이야기가 생각난다. 호세무히카도 14년의 수감생활동안 많은 것을 생각하면서 지냈다고  한다.

편향성, 아집, 욕망은 강력한 자아의 산물인듯 하다. 고독한 시간동안 끊임없이 자아를 두들겨서 마음을 비운 경험이 있는 지도자는 국가와 국민이 필요로 하는것이 무엇인지 알게된다는 해석을 하는것이 무리가 아닌듯 하다. 욕망이 부글거리는 땅에서 지혜의 샘은 솟아나지 않는다는 확대해석을 해 보았다.

2014년 6월 7일 토요일

At the DMZ


At the DMZ

At the spot,
Around which even the sky
Seems to have the smoke of bullets
And the blurred smog of war,
The wiggling life of spring
Is suspended like a dead volcano,
And so cold

The spirits of trees
Lose their minds before the muzzle of brothers'guns
Being hostile to one another, hating......
And the violet lilac
Waves in the spring wind
Flapping around the DMZ,
Only with strange moves without fragrance.

The father of daddy
Already buried at the spot,
Daddy
As a fine young man,
Walked down to a south
Looking at the northern sky for about 60 years,
Before passing away.
Today
I came here
Along the ridge-line of history.

Looking at the flag of North Korea
Waving before my eyes,
Even my allegiance to our national flag of Korea
Carved a seal in my heart,
I can,t be reconciled to two ideologies.

In the place,
Feeling
The tension of a charged bullet,
I got up
During short the 2 hours' film.

Somehow
Forever-,
Doubting ou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I look
Only at the vacant sky,
Fretfully, in an an anxious state of mind

- Lee Dok-mill -



하늘도
탄환의 연기가 남아
전쟁의 스모그가 뿌우연
그곳에는
봄날의 꿈틀거리는 생명이
사화산처럼 정지되어
그렇게 차디찼다.

나무의 정령은
반목하고 증오하는
형제의 총부리 앞에 정기를 잃고
보랏빛 라일락 나무는
향기 없는 서름한 움직임만
DMZ를 휘돌아 부는
봄바람에 날렸다.

아버지의 아버지는
이미 그곳에 묻히시고
아버지는
해맑은 청년으로
남하하여
육십 여년, 북녘 하늘만 바라다
돌아가시고
오늘
역사의 능선을 따라
나 이곳에 왔다.

눈앞에 펄렁이는
인공기를 보며
내 가슴속에 각인된
태극기에 대한 맹서는
두 개의 이념을 화해시키지
못했다. 

무덤 속같이 고요한 이곳
자유의 마을에
장전된 총알의 긴장을
느끼며
두 시간짜리 짧은 영화속에서
깨어났다.

어쩌면
영원히 - ,
통일을 의심하며
답답한 가슴에
어찌할 줄 몰라 초조히
빈 하늘만 바라본다

- 이독밀 -

2014년 6월 6일 금요일

경쟁과 불안 / 해리 설리반


협력과 공정성에 관한 교육이 부재한 탓인지 자신과 타인의 우열(優劣)을 비교하면서 천국과 지옥을 들락거리는 불안정한 성격을 가진 이들을 많이 본다. 그런 이들은 우월감을 가질 수 있는 환경에서는 무한한 행복을 느끼지만 자신보다 더 거대한(?)것이 다가오거나 쇠락의 지점에 이르러서는 무한한 절망으로 빠져드는듯 하다. 하지만 인성이 성장하는 학창시절부터 우열의 분위기에 익숙한 탓인지 쉽게 고쳐지는 성격이 아닌듯 하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해리 설리반(Harry S. Sullivan 1892 ~1949)은 성격이 고정된 구체적인 구조를 갖는것이 아니라,일시적인 사회적 상황과 교류하며 형성되는 진행적인 모습을 지닌다고 말한다. 때문에 개인의 성격에 대한 해석은 사회속에서 대인관계의 틀을 살펴봄으로서 규명될 수 있다고도 말한다.

설리반은 사회속에서의 불안이 정서적인 고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불안에 대한 방어기제로 분리(dissociation), 병렬적 왜곡(parataxic distortion), 승화(sublimatin)를 말하고 있다. 분리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에게 위협적인 것을 의식에서 배제시키는 경우를 말하며, 이중인격, 몽유병, 잠꼬대, 건망증의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병렬적 왜곡은 과거의 나쁜 경험이 나중에 비교할 수 있는 비숫한 상황에서 과거의 경험과 같은 상황으로 왜곡되어 해석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권위적인 가정의 나쁜 경험이 성장해서 직장상사와의 관계에서도 비숫하게 해석되는 경우를 말한다. 승화는 위협적인 충동이나 실패를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양성적인 방법으로 해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사회집단의 성격은 개인성격의 종합이란 생각을 하면, 긴박한 상호경쟁과 배타적인 의식의 성장이 사회 전체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사회 구성원들의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이중인격의 모습이나 수직적인 사회관계의 틀을 벗어날 수 없는 모습, 사회관계가 주는 위협을 피하기 위해서 '저 높은 곳으로'오르려는 출세지향적 사고는 모두 불안한 경쟁사회의 병리적 현상을 보여주는듯 하다

2014년 6월 5일 목요일

파동(cycle)에 관하여 / 콘트라티에프


학창시절 친구들에게 미래를 알아맞춰보겠다고 장난을 치던 생각이 난다. 경제적으로 열등한 친구에게 반드시 부자가 될것을 예측했는데, 실제로 수십년이 지난 지금은 커다란 사업체를 운영하며 열등감과 극복의 사이클 순환을 고스란히 운명으로 받아들인것을 보면서 친구들끼리 나의 빛나는 선견지명을 칭찬하며 웃기도 하였다. 실제로 몸이 가장 약했던 내 자신은 친구들중 가장 건강한 모습이 되었다. 물론 건강 말고 다른 문제는 말하기도 싫다고 말하며 또 웃었다.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은 경기파동을 겪게 마련이다. 경제영역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을 장기적인 안목으로 살펴보면 파동의 규칙성을 경험하는듯 하다. 권위주의적인 정체(政體)가 무너지면서 갑자기 확산되는 자유에 대한 인식은 갈망의 정도에 비례하여 강력한듯 하다.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종교적인 권위가 지배하는 사회는 과학적 발견이라든지 르네상스와 같은 인간 중심적인 사고가 발전함에 따라서 급격히 붕괴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생명력을 가진 인간사회 시스템의 오류나 오류를 자정(自訂)하기 위한 노력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되는 문제인듯 하다.


경제학에서는 이 사이클을 이해하는게 무척 중요한듯 하다. 물론 현실 경제에 도움이 될 만큼 장기적이거나 거시적이지 않은 안목으로 이해하는것 도 중요하다고 케인즈는 말한다.


 그후 1936에 케인즈가 [고용과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이라는 책을 통해 일반적인 단기 경기변동과 대공황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그는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 수요가 감소하면 경기침체나 불황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케인즈는 오래전부터 고전학파의 거시경제이론이 경제정책의 장기적 효과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해왔다. [일반이론]을 발표하기 몇 년 전에 케인즈가 고전학파 경제이론에 대해 쓴 글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있다.


장기 분석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장기에는 우리 모두가 죽는다. 경제학자들의 역할이 고작 태풍이 닥치는 계절에 "태풍이 지나가고 한참 있으면 바다가 잠잠해질 것이다."라고 말하는 정도에 그친다면 그 역할은 너무 쉽고 쓸모없는 것이다.

- N. Gregory Mankiw [ESSENTIALS OF ECONOMICS] -

러시아의 유명한 경제학자이자 통계학자인 콘트라티에프(Nikolay Dmitriyevich Kondratieff 1892~1938? )는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은 불황기,회복기,호황기,후퇴기의 4단계를 거치는 중기파동이 5,6차례정도 되풀이되면서 장기파동이 발생한다고 말한다. 그 원인은 혁신적인 기술과 발명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콘트라티에프는 1기 순환은 산업혁명, 2기 순환은 철강과 철도산업의 발달, 3기에는 전력, 자동차, 화학공업의 발달에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콘트라티에프는 1차 소련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입안을 도와 소련의 경제성장을 위해 노력했는데, 스탈린의 농업 집단화정책과 공업과 농업의 불균형적인 발전계획을 비판하다가 숙청되었다. 


생각해보면 자본주의 경제시스템의 경기순환을 잘 이해하고 있는 콘트라티에프로서는 지나치게 인위적이고 경직된 공산주의 경제정책의 미래가 불투명함을 생각했을듯 하다. 정치적인 가치판단을 배제해야 하는 경제학자의 주장은 스탈린에게 장애가 되었던것 같기도 하다. 경기순환을 정부가 조절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시장실패의 문제점을 해결할려는 시도가 스태그플레이션같은 정부실패의 결과로 나타나는 문제를 보면 콘트라티에프의 비판은 선견지명이 있었던듯 하다.


그렇다고 해서 신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으로의 회귀'가 진리라고 할 수는 없는듯 하다. 정치적 또는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가치와 서로 깊은 관계에 있으며 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의 문제는 신자유주의 경제시스템이 그대로 물려받고 있기 때문인듯 하다. 달리 표현하자면 신자유주의 시스템의 문제점은 제거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또 하나의 순리적인 사이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스탈린의 정책에 반대한 콘트라티에프는 공산주의 경제정책에 대해서 정치적인 가치판단을 한 것이 아니라 경직된 시스템이 보여주는 반동(反動)적인 의지를 우려했기 때문인것으로 추정된다.


1.사이클은 모든 분야, 모든 영역에서 존재한다.
2.사이클은 오류의 조정과정이다.
3.어떤 경제이념이든지 경직성은 개선되어야 한다.


불운하다는 생각이 들때 "오늘 우는 자여 내일 웃으리라"라는 성서의 구절을 떠 올리기도 하는데, 사이클에 관한 깊은 의미가 성서속에 살아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웃기도 하였다.


2014년 6월 3일 화요일

공동체내에서의 역할분담 / 매킨타이어


한국은 선거때가 되어 교육정책을 위해 일할려는 고시3관왕의 전력을 가진 후보의 가족사가 이슈가 되었다. 비평하는 이들은 '인간'으로서 소중해야 할 가족관계보다 출세지향적인 후보의 성향을 탓하기도 한다. 그런데 생각해보건데 내 자신이 가정,건강, 머리 무엇하나 주어진게 없던 시절, 그 후보의 의지와 노력을 생각하며 법률서적을 읽던 시절이 잠깐 있었다.

생각해보면 부끄러울것도 없이 당시의 수직적이고 권력적인 한국사회의 가치내에서 모두 최선의 가치를 선택했던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먼훗날 나의 모친은 내가 운동에 특기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뒷바라지 해줄만한 여건이 안되었음을 후회하기도 했지만 고백하건데 그런 여건이 됐으면 열심히 공부했을것 같다. 더구나 그 당시의 한국사회에서 권력적인 출세외에 다양한 가치는 지금보다 더욱 인정받기 힘든 시절이었기 때문인듯 하다.

사회가 형성하는 가치를 생각하면 고대 그리스의 정치와 사회시스템, 그리고 그런것들을 운영하는 인간의 도덕성은 2000년이 흐른 시대의 한국사회를 무안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은것 같다. 지금의 한국사회를 분열시키는 가장 큰 문제인 이념대립을 해소 시킬려고 노력했던 솔론이나  한 인간으로서 좋은 삶을 산다는것은 인간의 덕을 실현하는 것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사회적 역할을 중시했던 고대 그리스인의 눈으로 본다면 한국사회는 후진적인 '야만의 땅'인 동시에 '야망의 땅'이라고 불릴듯 하다.

도덕성을 중시하는 정치철학자인 매킨타이어(Alasdair Mcintyre 1929 ~ )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타인과 연관을 맺고 살아감을 전제로 합리적이고 좋은 삶을 규명해야 한다고 말한다. 동시에 한 공동체내에서 살아가는 개인은 다음 세가지 사실을 항상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첫째,사회적 선을 추구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 둘째, 어떤 행위가 이루어진 이유에 대해서 끊임없이 규명할려고 노력함으로써 좋은 삶을 이끌어내는데 공헌할 것, 셋째, 전통을 축적하고 발전시켜 미래세대에 물려줄 것 등이다.

한때 도덕적 가치를 상실한 형식적 합법성이나 공동체주의로 많은 문제를 일으켰던 독일은 사회나 국가개조의 가장 근본적인 방법인 '교육'을 통하여 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한다. 능률성과 충돌하여 문제가 되긴 하지만, 국민, 나아가서는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는 잊지않는듯 하다.


현실을 살펴보건데 한국사회에서 수직적이고 권력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현상은 노블리스오블리제의 의무를 지니고 있는 지도층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저변에 속속들이 베어있는 병리적 현상인듯 하다. 선거권을 가지고 있는 시민이 그런 문제를 개선하는 속도가 느린 이유도 '모두가 익숙해진 학습효과' 때문인듯 하다. 각자의 사회적인 역할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모든 시민들에게 책임과 능력과 심지어는 도덕적인 감정도 갖추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국가개조는 교육부터 시작된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