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딩크감독이 한국의 월드컵팀을 지도할때, 한국팀이 정신력은 강한데 체력이 약하다는 전통적인 평가와는 반대로 한국팀은 체력은 강한데 정신력이 약하다고 평가한적이 있었다. 파노라마처럼 지나간 주변의 수많은 사건들을 생각해볼때, '더 나아간다'는 명분으로 얼마나 많은 '인간적인 것들'이 희생되어 왔는지에 대한 생각이 들때가 있다.
희생까지는 바라지 않지만 선량하지도 않고, 진정성도 없으며 오직 부글거리는 욕망을 위해 앞장서서 달렸던 리더의 시선이라면 히딩크와 같은 통찰력이 생길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나쁜 리더는 공명심과 같은 탐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본질적인 목적을 잊는듯 하다. 더 나쁜것은 그런 욕심은 구성원들에게 포착되게 마련이고, 중대한 약점으로 존재하며 모든 구성원들이 그 리더가 선 자리를 향해 경쟁을 하는듯 하다. 그래서 나쁜 리더는 자신이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착각을 하지만 사실상 그 권력을 지켜내기 위해 구성원들과 경쟁을 하며, 목적을 잊은 리더와 목적을 잊은 구성원, 목적을 잊은 집단이 삼위일체가 되어 파국으로 치닫는듯 하다.
그래서 나쁜 리더가 있는 집단은 항상 바쁘고 재촉하는데, 뭔가가 잘 안되는 성향이 있는듯하다.열심히 일한다는 생각은 했으나 실상은 집단의 구성원들과 투쟁을 해왔던 리더들을 생각하면 원인과 결과의 정확한 연계성을 보여주기도 하는듯 하다.
비숫한 시기에 북극과 남극을 탐험했던 스태팬슨의 칼릭호와 섀클턴이 이끌었던 인듀어런스호의 결말은 리더의 중요성을 알려주는듯 하다.
섀클턴은 항상 낙천적이었다. 아무리 위급하고 어두운 상황에서도 대원들이 의지를 상실할까봐 낙천성을 잃지 않았다. 권위를 생각하지 않고 허드렛일을 마다하지 않았는데, 주방장으로부터 대장이란 이유로 특별대우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면 몹시 싫어했다. 침낭과 같은 긴급물품을 배급하는데 있어서도 대원들보다 더 나쁜 것을 먼저 차지했다. 대원을 선발할때 어떤 뛰어난 재주가 있는 것을 선발을 위한 척도로 삼은 것이 아니고 어울려서 노래를 부를 수 있는지 질문을 했다.
수개월동안 조난을 당했을때 칼럭호의 승무원들은 거짓말하고 도둑질하는 일상속에서 팀이 붕괴되어 전원 목숨을 잃는 결말을 보여줬다. 하지만 인듀어런스호는 섀클턴이라는 리더의 희생과 의지로 전원 무사귀한하는 결말을 보여줬다.
국가라는 배의 승무원들에게도 섀클턴과 같은 리더가 필요한듯 하다. 국가의 본질적인 목적을 아는 리더는 통찰력이 있으며 구성원들도 협력하여 따르는듯 하다. 나쁜 리더는 선량한 구성원도 무기력하게 만드는듯 하다. 한반도에서 필요했던 것은 이념이 아니라 좋은 리더였던것 같다. 구성원과 투쟁하지 않는 리더, 구성원과 심정적으로 격리되지 않는 리더, 솔선수범하는 리더가 필요했던것 같다.
북한을 보면 본질적인 목적이 없는 국가와 리더가 없는 국가의 결말을 보는듯 하다. 북한과 대칭사회인 한국에서 북한을 비교의 척도로 삼아 '어느 선'에서 만족할 것을 말한다면 나쁜 결말을 볼것 같다. 사회의 밑바닥에 살다보면 많이 안좋은 상황이 예고됨을 알고 전율이 느껴질때가 있다. 어떤 학습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작은 집단의 구성원들도 수직적 권위에 물들어 있다. 그리고 구성원 누구도 그런 리더에 협력하지 않을려는 모습을 보인다. 문제가 있으면 문제의 해결책을 찾지를 못하는듯 하다. 그냥 자신이 분위기를 이끌고 있다는 상상력만 있는듯 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