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2년 5월 26일 토요일

경제적 통일부터

http://media.daum.net/politics/newsview?newsid=20120527110308224

몇주전  남한의 자본주의 체제에 적응을 하지 못하여 방황하는 새터민 이주자를 직접 만나본 적이 있다. 그러나 그들이 사회체제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있을뿐이지 경제적인 욕구는 한국사람들이나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을 느꼈다.

통일을 하면 남한 사람들이 북한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통일을 하면 서로 손잡고 아름다운 미소를 지으며 남북을 왕래하는 꿈같은 일은 당분간 꿈으로만 접어 두어야 한다. 통일은 시작은 갑자기 찾아오되 완성은 느려야 한다는 생각이다. .

중국의 높은 임금으로 인하여 중국으로 진출했던 경공업산업이 철수하고 있다. 동남아의 추세도 같을 것이다. 북한의 경공업산업을 일으켜 대체해야 한다.게다가 한국의 외국인이나 조선족들의 노동력을 새터민들이 대체할 수 있다. 북한의 자원이나 국토개발은 경제수요를 엄청나게 창출할 것이다. 감소하는 국방비는 통일자본으로 대체될 수 있을것이다.

알면서도 안되는 이유는 결국 사람에게 있다.   

2012년 5월 21일 월요일

대장정(大長征)



1985년 겨울에 사서 수십번도 더 읽은 책이다. 퓰리처상을 받은 미국의 언론인 해리슨솔즈베리가 이념을 넘어서 인류역사상 전대미문의 사건인 대장정의 루트를 답사하면서 쓴 책이다. 유태인들에게 출애굽기가 있다면 중국인들에게는 '대장정'이 있다고 할정도로 중국인들에게 신념의 통합을 이루게한 정신적자산이된 사건이다.

1934년 중국남부의 장시성근처에 웅거하던 홍군주력부대8만6천명은 국민당군의 포위를 벗어나기위해 중국서부 오지의 24개의 강과 천개이상의 산을 넘어 6천마일이상의 대장정을 하게된다. 그들은 내내 국민당군의 추격부대와 회족과 같은 지방이민족부대와도 전투를 벌이며 이동을 하였다.  혹독한 굶주림과 추위로 중국북부의 산시성에서 대장정을 완료할 무렵에는 4천명만이 남아 새로운 중공(이 책을 처음 읽을 당시의 중국을 한국에서는 중공이라 불렀다.)을 건설하게되는 바탕이 된다.





 대장정내내 홍군의 우두머리였던 모택동은 위대한 '결론'을 살리지 못하고 말년에 광기의 '문화대혁명'으로 무너졌지만 홍군수뇌부였던 등소평은 문화대혁명때 숙청을 당하는 고난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리고 이념의 '고루함'을 벗어난 실용주의 노선을 걷게되며 대장정의 정신을 살린 증거를 남겨놓았다. 그 증거물은 지금의 '중국'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주관적으로  홍군에게 가장 고난으로 느껴졌던 사건은 같은 홍군인 장국도의 4방면군과의 충돌사건이었던것 같다. 대장정을 끝내가는 소수의 홍군주력부대와 그보다 10배 더 많은 장국도의 4방면군과의 만남은 모택동과 장국도의 헤게모니싸움으로까지 비화하게 된다. 결국 두 부대는 각자의 길을 가게되고 장국도의 부대는 국민당군에게 소멸되게된다. 한 가지 이념으로 뭉쳐진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해결되는지를 알게되는 사건이었던것 같다.   





2012년 5월 20일 일요일

집단광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5/20/2012052000220.html
집단밖에서 보기에는 광기(狂氣)로 보이는데 집단내부에서는 평범한 일들로 느껴지는것들이 많은것 같다. 이념과 세뇌등으로 연대(連帶)한 정신들은 서로를 보면서 평가하기때문에 광기를 느끼지 못한다. 서서히 덥혀지는 물속의 개구리처럼 익숙해지는것이 위험하다

위인전과 고전

내가 보고 들은 것이 나의 운명을 결정한다. 이때만이라고 생각하면서 좋지않은 환경속에서 살아보았는데........ 세월은 가고 몸은 늙는다. 말과 행동은 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되돌아올 수 없는곳으로 가버렸다. 소중한 것들을 잃어버리지 않고도 좋은것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이 위인전이나 고전을 탐독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알렉산더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항상 주의깊게 경청했으며 일리아드를 항상 가지고 다녔다. 나플레옹도 다독가였고 고전을 다독한 처칠은 노벨문학상까지 받았다. 고전이 백성들에게 어떻게 정신적 구심체로 작용하는지는 구약을 읽으면서 살아온 이스라엘민족, 패관잡기를 많이 읽다가 망해버린 명나라, 읽을만한 고전이 없었던 청나라가 소멸한 역사들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인전이나 고전의 내용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신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할것 같다.  자신을 신뢰해야지 타인의 경험도 신뢰할 수 있는것 같다.

2012년 5월 12일 토요일

도해(渡海)

바다를 건널날을
생각치 말자

꽃피는 언덕위에
고즈넉히 기대앉아

물결의 멜러디를
들어보렴

어이없이 살아야
볼 수 있고

어이없이 살아야
들을 수 있는 것들.......

그런것을 모르고

모든 것이 허망한
꿈인줄만 알았다

 - 이형춘 -


2012년 5월 10일 목요일

구읍(舊邑)의 골목

읍내의 투명한 햇살 
시리고도 적막한데

잊혀진 기억은
어느 골목에서 길을 헤메는가.

상경한지 30년
보고 들은 많은 일들이

다시 이곳을 걷다보면
옛일이 되지 않겠는가.

- 이형춘 -


2012년 5월 8일 화요일

정세가 변하면 정책도 변한다

ㅡ자유민주주의 승리를 이야기했지만, 금융 위기 이후 미국 모델을 비판했다. 생각에 변화가 있었나?

"나는 미국식 모델을 역사의 종언 모델이라고 한 적이 없다. 1980년대 레이건 시기 이후 경제 자유화가 전개되면서 너무 나갔다. 특히 금융 부문에서 그랬다. 스스로 규제하도록 내버려뒀다. 내가 역사의 종언을 이야기한 것은 미국의 특정 경제정책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한 것은 아니었다. 시장과 민주주의에 기초한 사회를 가리켰을 뿐이다."

ㅡ당신은 레이건 지지자로 알려졌는데.

"레이건은 당대에 중요한 일들을 했다. 1980년대 서구의 복지국가는 너무 비대해졌고 국가는 과대팽창했다. 시장과 정부간에 적정한 균형관계가 아니었다. 조정이 필요했다. 지금은 국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프리스턴대 교수인 프랜시스후쿠야마교수의 인터뷰내용중 일부이다. 정세가 변화하면 그에 대응하는 정책도 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있다. 신자유주의 정책중 하나인 레이거노믹스에 대해서는 옹호하는 입장이었지만 상황이 변한 지금은 바람직한 정책이 아니라는것도 이야기하고있다

오레스테스의 신화/ 자기자신에게 달려있다

오레스테스는 할아버지 아트레우스가 신에게 도전한 죄때문에 저주를 받았다. 어머니 클리템네스트라가 남편인 아가멤논을 죽였다. 오레스테스는 아버지의 원수인 어머니를 죽여야하는 의무가 있었고, 어머니를 살해해서는 절대 안되는 의무도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를 살해했다.

두 의무 사이의 갈등은 신이 내린 저주였다. 오레스테스는 오랜 고통을 받고 자기반성을 하였다. 아폴로는 죄는 오레스테스의 탓이 아니므로 저주에서 해방시킬것을 주장했지만 오레스테스는 자기 어머니를 죽인 것은 자기자신이지 결코 신의 탓이 아니라고 펄쩍 뛰었다.

이 때 신들은 놀라서 오레스테스에게서 저주를 벗게하였다.

   - 스코트팩 <끝나지 않은 길> - 

인간사는 오레스테스의 입장처럼 얽혀있는 것이다. 자신을 벗어난 해결책을 찾는 것은 신의 영역이다. 

누구나 성장을 하며 자기 완성을 위해서 살아간다. 또한 누구나 성장통을 겪게된다. 부끄러운 것도 아니다. 일찌감치 겪지않으면 세월이 흘러서 언젠가는 겪게 된다. 쉽지 않지만 모든 문제와 해결책은 자신에게 주어져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살아야 하며 자신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끊임없이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