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12월 17일 일요일

신분 상승에 대한 열망

요즘 한국에서 방영되는 고려-거란 전쟁이라는 드라마에서는 강감찬 장군이 부인에게 타박을 받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고려 이후에 조선 왕조의 유교적인 불평등 사회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다. 그러나 그 장면은 모계 사회이자 불교 사회였던 고려 왕조 시대의 사회상을 제대로 고증하여 반영했다고 생각되는 장면이다. 


한국에서 조선 왕조의 카스트 제도의 영향력은 한국 사회를 꽤 오랫동안 괴롭혀 오고 있는 중이다. 어쩌면 빠른 대책이 없다면 망국의 길로 인도할 수 있지 않을까 고민 중이다. 특히 이번 한국 정부의 탄생(검찰이란 내 집단에서 탄생한)과 운영 과정 그리고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대통령 처가쪽의 비리 문제까지 생각해 보면 한국인의 신분 상승에 대한 열망은 인간의 양심과 도덕성에 대한 열망을 압도하는 것 같다. 한 편으로는 이렇게 국가의 운명이 쇠하게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도 하게 된다.  


한 편으로는 오랫동안 사회 하층부(표현은 이렇게 하지만 하층부가 아니라 주요부다)에서 건강한 근로자로서 살아 오면서 사회적으로 천시 받던 생각을 하면 신분 상승을 위하여 일탈 행위를 하는 사람들의 심정을 좀 더 사회 개혁적인 관점을 가지고 접근해봐야 한다는 생각이다. 요즘은 그런 고민이 상당히 필요한 시기이다. 


한반도에서 동족 상잔의 내전을 일으키고 한반도인의 운명에 많은 고난을 가져온 이념 논쟁도 한반도에서 참을 수 없는 존재였던 유교적인 카스트 제도에서 기반한다는 사실을 볼 때, 뿌리 깊은 나무가 아닌 뿌리 깊은 병폐를 없애지 않고는 한반도의 영속적인 번영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슬람은 또 다른 문화보다 경제발전에 적합하다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남 아시아의 힌두교와  동아시아의 유교 사회와 달리 이슬람 사회는 출생과 출생에 따른 직업 선택과 사회 이동의 제한을 받는 카스트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힌두교 카스트 제도의 모순과 경직성으로 인한 사회 이동의 부정적인 영향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습게도  힌두교의 카스트제도 만큼은 아니지만 전통적 유교 사회도 만만치 않다. 


- 중략 -


일찌기 전통적인 카스트 제도가 공식적으로 무너진  유교 사회는 아직도  재능 있는 젊은이가  엔지니어가 되거나 비지니스맨이 되는데 어려움을 가졌다. 이들 직업들은 유교 국가에서 경제발전이  되고 나서 부터 존중 받고  경제적인 보상이 따랐으며  사회적인 권위가 생겼다. 


- [ EDIBLE  ECONOMICS ] BY HA-JOON CHANG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