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1월 23일 월요일

A Fair, Not Welfare, Society / Lee Kuan Yew

The title of this article is the title of a chapter in the autobiography of former Prime Minister Lee Kuan Yew of Singapore. Pragmatic Prime Minister Lee Kuan Yew's policy direction is implied. The chapter read:

 

We believed in socialism, in fair shares for all, Later we learnt that personal motivation and personal rewards were essential for a productive economy. However, because people are unequal in their abilities, if performance and rewards are determined by the marketplace, there will be a few big winner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losers. That would make for social tensions because a society’s sense of fairness is offended.

 

A competitive, winner-takes-all society, like colonial Hong Kong in the 1960s, would not be acceptable in Singapore. A colonial government did not have to face elections every five years; the Singapore government did. To even out the extreme results of free-market competition, we had to redistribution the national income through subsides on things that improved the earning power of citizens, such as education.

 

Housing and public health were also obviously desirable. But finding the correct solutions for personnal medical care, pensions or retirement benefits was not easy. We decided each matter in a pregmatic way, always mindful of possible abuse and waste. If we over-redistributed by higer taxation, the high performers would cease to strive. Our difficulty was to strike the right balance.

 

- [From Third World To First] by Lee Kuan Yew -

 

In Korea, where the Cold War-era confrontation is still latent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politicians may be limited to the Cold War (ideological confrontation). Or a politician could use the civic consciousness trapped in the Cold War consciousness as a means to maintain political power. The civic consciousness I looked at was still inert to ideology. In order for politicians to have true leadership to lead citizens, they must not forget the ultimate purpose and have a sense of balance, which will require a lot of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rength. Prime Minister Lee Kuan Yew has truly achieved great results in this regar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o not need capitalism,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o not need socialism, and the two countries nee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countries and societies. I have experience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xpressing political opinions in a balanced manner at the bottom of Korean society, and much more, North Korea, which has a strong tendency to be an ideological state, will have serious difficulties in having balanced thinking. To put it simply, even if North Korean President Kim Jong-un wants to accept the market economy, he cannot rapidly change the scientific socialist ideology deeply rooted in public consciousness. That's why 'incremental opening' may be necessary. Looking at Korean politicians and citizens whose minds are trapped in ideological thinking while the country is globalized, I can guess how difficult it is to change ideas.

 

These days, Korea's current government has proposed a bill to extend working hou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or growth. From what I experienced directly at the working site, the efficiency improved and the turnover rate was low only when the working site was pleasant and comfortable. One big realization I have gained in the workplace for more than a decade is that humans are not machines. Huma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ology or efficiency. Low birth rate or rapid economic problems in Japan or Korea should be interpreted as a negative effect toward a capitalist society without realizing a true equal society.

 

In many ways, not only South Korea but also North Korea should refer to the purpose-oriented policy direction that abandons the ideology carried out by Singapore's Prime Minister Lee Kuan Yew.

 

복지사회보다 공정한 사회 지향 / 리콴유

싱가포르 리콴유 전 총리의 자서전에 나와 있는 어느 챕터의 제목이다. 실용주의적인 리콴유 총리의 정책 방향이 함축되어 있다. 그 챕터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자기 몫을 갖게 하는 사회주의를 신봉했었다. 그후 우리는 개인적인 동기와 보상이야말로 생산 경제의 근본임을 배웠다. 하지만 사람들의 능력은 똑같지 않기 때문에, 만일 일과 보상이 시장에 의해서 결정된다면, 큰 승자는 아주 적고, 대부분의 사람은 그저 그런 승리를 얻는데 지나지 않을 것이며, 적잖은 패배자들이 생겨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사회의 공평성이 손상되어 사회적 긴장을 초래할 것이다.

 

1960년대의 식민지 홍콩처럼 승자가 모든 것을 차지하는 경쟁적인 사회는 싱가포르에서 용납될 수 없을 것이다. 식민지 시대의 정부는 그럴 필요가 없었지만 싱가포르 정부는 5년마다 선거를 치러야 했다. 자유 시장 경쟁에서 비롯될 수 있는 불공평한 결과를 고르게 하기 위해, 우리는 교육처럼 시민의 소득을 향상시켜주는 분야에 대해서는 보조금 지급을 통해 국가의 수입을 재분배해야 했다. 주택 공급이나 공중위생 역시 분명 바람직한 것이었다. 하지만 개인의료보험이나, 연금, 퇴직 수당에 대한 올바른 해결책을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오용하거나 남용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하면서 모든 문제를 실용적인 방법으로 결정했다. 만일 우리가 높은 세금으로 과도하게 재분배하려 했다면, 고 수익자들은 더 열심히 일하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의 어려움은 올바른 균형을 이루어 내는데 있었다.


 - [From Third World To First]  by Lee Kuan Yew - 


냉전시절의 대립이 아직도 국민 의식 속에 잠재해 있는 한국에서는 정치인의 의식수준도 냉전의식(이념대립)속에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아니면 냉전 의식속에 갖혀 있는 시민의식을 이용해 정치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을 수도 있겠다. 내가 살펴 본 시민의식은 아직도 이념에 대해서 타성적이고 관성적이었다. 정치인이 시민들을 이끌 수 있는 진정한 지도력을 갖추려면 대의적인 목적을 잊지 말고 균형의식을 갖추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체력과 정신력이 필요할 것 같다. 이 점에 대해서 리콴유 총리는 진정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이나 북한은 자본주의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사회주의가 필요한 것도 아니며 국가와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의 밑바닥에서 정치적인 의견을 균형감 있게 토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체험 했는데, 하물며 이념국가의 성향이 강한 북한은 그 정도가 심각할 것이다. 쉽게 표현하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고 싶어도 국민의식 속에 깊이 뿌리박힌 과학적 사회주의 사상을 급격히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점증주의적 개방이 필요 할 수도 있겠다. 국가는 글로벌화 되어 있으면서도 정신은 이념적인 사고에 갇혀있는 한국의 정치인이나 시민들을 보면 사상이 변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짐작이 간다.

 

요즘 한국의 현 정부에서는 근로시간 연장에 관한 법안을 발의했는데, 그런 문제는 효율성이나 성장에 관한 관점으로 보지 말고 인간에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야 한다. 근로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바로는 근로현장이 즐겁고 편해야지 능률도 향상되고 이직률도 적었다. 10년 이상 근로현장에서 관찰 분석하며 크게 얻은 깨달음은 인간은 기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인간은 이념으로도 해석 되어서도 안 되고 능률성으로 해석 되어서도 안 된다. 일본 또는 한국의 저 출산이나 급격한 경제문제는 진정한 평등사회를 구현하지 못하고 자본주의사회를 지향한 부작용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여러 가지 점에 있어서 싱가포르 리콴유 총리의 이념을 벗어난 목적 지향적인 정책 방향은 한국뿐만이 아니고 북한도 참조해야 할 점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2023년 1월 9일 월요일

The end of an ideological state / The three countries of the East

A talented person who had difficulty obtaining a doctorate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round 1997 worked as a researcher at the Daedeok Research Complex in Korea. However, he learned that Korea's treatment for scientists was very insufficient, so he prepared for the bar exam and passed it after four years. I also temporarily prepared for the bar exam at that time, so I still vividly remember the case in which the Doctor of Engineering turned into a lawyer.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C%ED%95%99%EA%B8%B0%EC%88%A0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science+and+technology


On the one hand, China's wise leaders, such as Deng Xiaoping and Zhou Enlai, planned China'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escape the ideological collapse. I also read a newspaper article in 1997 that expanded the number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ersonnel from 3,000 during the Mao era to 30 million. Japan'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began during the Meiji Restoration, was undergoing the cutting-edge through the Second World War and Japan's revival.

 

My determination to become a legal person and become a 'useful' person in the country and society has become awkward. In fact, it was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who succeeded in economic development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in Korea. And later, the Chinese leader who liked Mao Zedong changed ideologically. In Japan, hereditary elites from liberal arts became leaders and gradually pushed Japan into the world of ideology. Not to mention Korea. What I myself experienced in the lower part of society made me look at the future of Korea dark. I describe Korea's healthy workplace as the lower class. To that extent, Korea was a society where freedom and equality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like Western society.

 

The three Eastern countries, which are ideological countries, may be slowly on the path of collapse. Someone may be able to "discover" a lot of reasonable logic, but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social strat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a "unfavorable" society. The real estate problem in the three Eastern countries is due to distorted ideals and hopes. It was much more ideal to have a dream of rising real estate prices than earned income from a healthy workplace. Meanwhile, other sectors stagnated and economic demand was concentrated on real estate. So now, as real estate fell, the future of the country was going to fall.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any legal elites want to become politicians. Since the political process is a legislative process and they can retain their lawyer's license after retirement, they have the advantage of focusing on politic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y cause a lot of problems with conservative tendencies (even far-right tendencies) and ideological thinking. In particular, ideological thinking is done more than necessary. They can't think that ideological thinking doesn't exist unless they think. The reason is that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normative value judgment rather than empirical thinking such as scientists and engineers. If this problem is not improved, the future of Korea will be even darker. Of course, it is far more desirable for North Korea to think of becoming a practic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try rather than accepting capitalism.

 

 

이념국가의 종말 / 동양3국

1997년 무렵에 미국에서 어렵게 공학박사를 취득한 우수한 인재가 한국의 대덕연구단지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하지만 한국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대우가 많이 부족한 것을 알고 사법시험을 준비해서 4년 만에 합격했다. 나도 그 당시에 일시적으로 사법시험을 준비한 적이 있어서 아직도 예의 공학박사의 전향적인 사건에 대해서는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3%BC%ED%95%99%EA%B8%B0%EC%88%A0 


한편으로는 덩샤오핑과 저우언라이 같은 중국의 현명한 지도자들은 이념적인 파탄을 벗어나기 위해 중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계획했다. 마오쩌둥 시절에 3000명이던 과학기술 인력을 3000만 명으로 확장시켰다는 신문기사도 1997년 당시에 읽었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때부터 시작된 과학기술 발전은 2차 대전을 겪고 일본의 부흥기를 거치면서 최첨단을 겪고 있었다.

 

법조 인력이 되어 국가와 사회에 유용한인물이 되자는 결의는 멋쩍어졌다. 실제로 한국은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을 성공시킨 것은 과학기술인력들이었다. 그리고 훗날 마오쩌뚱을 좋아한다는 중국의 지도자는 이념적으로 변하였다. 일본은 문과출신의 세습엘리트들이 지도자가 되어 점차로 일본을 관념의 세계로 내몰았다. 한국은 말할 것도 없다. 내 자신이 사회의 하층부에서 경험한 일들은 한국의 미래를 어둡게 보게 하였다. 한국은 건강한 일터를 하층부라고 표현할 정도로 한국은 서구사회와 같은 자유와 평등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은 사회였다.

 

이념의 나라인 동양3국은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고 있는지도 모른다. 많은 합리적인 논리를 발굴해 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빈부격차와 사회계층화는 살맛이 안 나는사회 건설에 이바지 한 것이다. 동양3국의 부동산 문제는 이상과 희망이 왜곡된 탓이다. 건강한 일터에서 얻어내는 근로소득보다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꿈을 갖는 것이 훨씬 이상적이었다. 그러는 동안에 다른 분야는 정체하게 되었고 경제수요는 부동산에 집중되었다. 그러니 이제는 부동산이 몰락하면서 국가의 미래도 몰락하게 될 예정이었다.

 

한국이나 미국에서는 많은 법조엘리트들이 정치인이 되고자 한다. 정치과정이 입법과정이고 은퇴 후 변호사 자격증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에 집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보수적인 성향(심지어는 극우성향까지)과 관념적인 사고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이념적인 생각은 필요 이상으로 많이 한다. 이념적인 사고는 실체가 없기 때문에 생각하지 않으면 없다는 생각을 못한다. 과학기술자와 같은 실증적인 사고보다는 규범적인 가치판단에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이 문제가 개선되지 않으면 한국의 미래는 더욱 어두워질 것이다물론 북한도 자본주의를 받아들인다는 생각보다는 실용적인 과학기술국가로 발돋움 한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