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2년 5월 16일 월요일

고립국가에서 중심국가로 / 러시아

지리적 위치가 고립된 북한이 국가를 존속시키기 위하여 이념으로 문단속을 하면서 관계적 위치까지 고립시킬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은 생각을 좀 더 깊이 해 보면 충분히 이해될만 하다. 한국은 경제적 교류를 중시하는 자본주의 이념을 선택하고 해양을 통한 외부와의 경제적 소통을 활발히 하게 됨에 따라서 동북 아시아의 변방에서 나름 제대로 성장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는 먼 거리보다는 지역적으로 보다 쉽게 흐르기 때문에 하나의 산업 중심은 오늘날 우리가 기술적 파급(technological spillovers)이라 부르는 것을 낳는다.

 

- [Geography and Trade] by Paul Krugman -

 

러시아는 구 소비에트 시절에 합병되어 있었던 우크라이나가 분리가 된 이후 많이 아쉬워했을 것이다. 우크라이나는 자원과 농산물이 풍부한 것은 물론이며 러시아 보다는 훨씬 지리적으로 중심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동유럽과 구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합쳐져 있던 국가들이 점차 경제적 중심지인 서 유럽 쪽으로 경제적으로 또는 문화적으로, 심지어는 이념적으로도 이동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는 냉전의 구도를 이용해서라도 무리하게 동쪽 진영의 맹주를 자처하면서 고립의 불편함을 해소 하기 위하여 노력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러시아는 북한과 한국이 교류하여 동아시아가 좀 더 활발한 경제적 교류의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했을 것이다. 시베리아 개발과 더불어 러시아가 좀 더 중심지화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 안타까운 점은 러시아가 좀 더 실용주의 적인 정책을 시도하지 않고 습관처럼 전쟁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실용주의는 푸틴 대통령이 싫어할 것 같은 기회주의와는 다르다, 평화주의에 가깝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푸틴 대통령만의 책임이 아닐 것이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일부라는 러시아 국민들의 고집스러운 편견에 푸틴 대통령이 포획될 수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전쟁을 종결시키고 고립국가에서 중심국가로 위치를 다지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경제적으로 외교적으로 좀 더 유화적인 태도를 갖도록 국가이념을 변화시켜야 한다. 더불어 북한은 한국의 보수정부와 전통적으로 적대 관계에 있긴 하지만 한국의 보수정부가 북한에 좀 더 실용적인 태도를 보여 준다면 북한도 그에 호응하는 것이 낫다. 젊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크게 기대되는 점이었기도 하다. 코로나 백신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 같은 실용적인 교류는 받아들이는 것이 낫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