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China’s worry

The common people often have conflicts for trivial reasons. The conflict is caused by economic distress or suffering from discrimination. I personally think about how to heal or avoid the conflict by living a double life of academic thought and the reality of the common people. If you run into your opponent when you are in a conflict, you will be caught up in a crude life, and if you focus on other goals or ideals, the conflict will be thrown out.

 

The same is true of relations between countries. China, which borders many countries, will be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s surrounded by oceans and operates a lush state.

 

The U.S. does not associate itself with the outside world and does not resolve or resolve independently, even if there are internal problems such as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United States concentrates on its efforts to pioneer a future-oriented and new world. China mixe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t random. Such problems get worse becaus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divide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agonizing over three issues: division, internal affair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is armed with nuclear weapons to solve these problems in one shot. In fact,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may be a way to counter unspecified outside forces.

 

I read the [NOTHING LASTS FOREVER] of Sidney Sheldon, an American popular novel in the 1980. In the novel, there was a serious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doctors in American doctors society. The issue of racism still has a long lingering effect in the United States, but that fact is known and American society strives to improve it.

 

China is very different. One can guess that behind China’s recent muscle show, there is a concern about internal problems. China, geographically adjacent to neighboring countries, may be choosing a strategy to divert internal distress to external distress. The reason why China emphasizes nationalism is because it has a lot of internal troubles. China’s most important concern will also be economic inequality.

 

One hundred Chinese cities have more than I million people; by 2025 there may be as many as 200. Yet behind all these spectacular numbers lie troubling realities. While wealth is concentrating in the New China, hundreds of millions of citizens in the rural provinces continue to live in poverty. Would-be workers from the villages walked and biked by the millions toward the jobs in the shadows of all those new skyscrapers, but eventually the authorities were forced to stem the migration and reverse it. In the headlong rush to modernize, China’s planners victimized the powerless farmers once again.

 

-[ Why Geography Matters ] by Harm de Blij -

 

In order to control social instability, President Xi Jinping’s absolute power will be justified, and patriotism and nationalism will also be justified.

 

Considering the rapid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ightech era, India is likely to worry about China, The problem will be similar to the one the U.S. has caused because of China and in fact India’s high-tech industry is growing rapidly growing. And India’s population will also overtake China. ‘Because nothing lasts forever. I understand, but China should be more faithful to the basics.

2020년 10월 28일 수요일

중국의 고민

서민들의 삶속에는 이유 같지 않은 이유로 갈등을 겪는 일이 많다. 그 갈등의 이면에는 경제적 고통이나 차별로 인한 고뇌 등이 있다. 개인적으로 학리적인 생각과 서민의 현실이라는 이중적인 삶을 살면서 그 갈등을 치유하거나 그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도 한다. 함께 부딪히면 그런 삶에 물려 들어갈 것이고, 다른 목표나 이상을 위해 몰입하면 갈등상황은 튕겨져 나갈 것이다.

 

국가 간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많은 국가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과 대양에 가로막혀 호젓한 국가운영이 가능했던 미국의 스타일은 다를 것이다.

 

미국은 빈부격차 등의 내부문제가 있어도 외부세계와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해결하거나 아니면 해결이 되지 않거나 한다. 그리고 미래지향적이고 개척적인 세계를 향하여 달리는데 집중한다. 중국은 내부문제와 외부문제가 막 섞인다. 한국과 북한은 분단 상황에 놓여 있기 때문에 그런 현상은 더 심해진다. 분단문제, 내부문제, 국제관계적 문제의 3중고로 고민을 한다. 북한의 핵무장은 이런 고민은 매우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사실 북한의 핵은 불특정한외부세력에 대항하는 방법일 것이다.

 

1980년대 미국의 대중 소설인 SIDENY SHELDON [NOTHING LASTS FOREVER]를 읽으면서 미국 의사사회에서 남자의사와 여자의사를 심각하게 차별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인종 차별문제는 아직도 길게 여운을 드리우고 있지만 어쨌든 미국은 알려지고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 자유국가의 모습은 그렇다.

 

중국은 많이 다르다. 최근에 두드러지고 있는 중국의 힘 자랑의 이면에는 내부에 많은 고민이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주변국가들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내부고민을 외부고민으로 관심을 돌리는 방법을 선택했을 것이다. 중국이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부고민이 많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고민으로는 역시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고민일 것이다.

 

 

중국에는 인구 1백만 이상의 도시가 1백 개나 있으며, 2025년에는 2백개까지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현란한 수치들 뒤에는 불편한 현실이 놓여 있다. ‘신중국으로 부가 집중되는 한편, 수억명에 달하는 농촌 지역의 주민들은 계속 빈곤하게 살아가기 때문이다. 농촌 마을에서 일자리를 구하러 온 예비 노동자들이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새로 솟은 마천루의 그늘 아래로 수백명씩 모여들기 시작하자, 결국 정부 당국은 이주를 저지하여 이 흐름을 되돌려 놓아야만 했다. 현대화를 향한 질주 속에서 중국의 경제 계획가들은 다시금 농민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던 것이다.

 

-[ Why Geography Matters ] by Harm de Blij -

 

사회의 불안정을 통제하기 위해서 시진핑 주석의 절대 권력은 정당화되고 애국주의 민족주의 역사관에 많은 임무를 떠 맡겼을 것이다.

 

생각해 보면 하이테크 시대에 경제성장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생각할 때 중국과 인구가 비숫하고 하이테크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주변국인 인도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고민하는 점을 똑같이 중국이 인도에 대해서 고민하게 할 것 같다. 영원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이해는 하지만 중국은 좀 더 기본적인 문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Work and irrationality

One day, two middle-aced brothers got on the bus and started a quarrel with me. I wanted to respond with legitimate advice, but when I saw their faces, I responded mildly. They were not very harmonious in body and mind. Their voices were mingled with irritation and quivering weakly. Their words were not logical and their eyes were hazy. Their faces were lifeless. The passengers belittled the bus driver, but in reality the bus drivers were mostly bold and mentally strong. This is because if the spirit of the bus driver is not good, it can lead to a major accident.

 

Korean society has a chronic problem. Korean society regards legitimate work. On the other hand, Korean society tends to be respected for its absurd political delusions. So people who can invest time and cunning tricks try to take the initiative in society. The far-right religious people’s incitement, which has been a big stir these days, is a negative effect of society that did not respect due work.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at life as a worker is so undesirable are apt to evade by religion. That is why extreme religious and believers are prone to fanatical antagonism against labor-oriented socialism. In this way, religion and far-right ideological spectrum are linked.

 

The reality of the divided country is easy to interpret the above situation only as an ideological spectrum and use it as a tool for instigation. But we must change our perspective to the negative action of the mind swayed by emotion rather than reason. In Korea, inflammatory politicians are gradually disappearing. And from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you can see other rational conditions with the leaders of his predecessors. The conclusion was based on his academic background, youth, and eyes.

 

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2%AC%EB%8B%B4+%ED%9B%84%EC%84%B8%EC%9D%B8

 

Along time ago, I saw a picture of Saddam Hussein and thought he could do many strange things. Later I read and understood [GIDEON’S SPIES], the nonfiction disposal treasure of Israel’s intelligence minister, Mossad. Hitler was a vegetarian and art student. And he participated in World War 1. He became a figure with imagination, emotion and a cruel heart from war. Causes produce results.

 

Eduardo and I called this idea the emotional cascade. I don’t know about you, but I find the notion that our decisions can remain hostage to emotions long after the emotions have passed rather frightening. It is one thing to realize how many ill-considered decisions we have made based on our mood-choices that, in perfectly neutral, “rational” moment, we would never make. It is another matter altogether to realize that these emotional influences can continue to affect us for a long, long time.    

 

- [THE UPSIDE OF IRRATIONALITY] BY DAN ARIELY-    

2020년 10월 20일 화요일

근로와 비합리성

언젠가 버스에 형제로 보이는 중년의 승객들이 타서 시비를 걸었다. 무엇이 정당한지 말해주고 싶었지만 얼굴을 대면하고는 온화한 표정으로 대했다. 몸과 마음이 매우 부조화해 보였다. 목소리는 짜증과 떨림이 있었고, 논리는 전혀 없고, 눈은 총명하지 못하고, 얼굴은 접혀 있었다. 버스기사를 무시하는 승객의 시도와는 다르게 정신이 형형하지 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 버스운전이다. 그래서 버스기사들은 대부분 대담하고 정신력이 강하다.

 

한국사회에 쌓여온 문제가 있다면 정당한 근로를 천대하고, 헛된 정치적 망상들이 대접받아 온 점이다. 그래서 시간과 술수적 두뇌를 투자할 수 있는 사람들이 사회의 주도권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요즘 큰 파문이 일었던 극우 종교인의 선동적인 행동은 정당한 근로를 존중하지 않았던 사회의 부작용이다. 근로자로서의 삶이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경험을 한 사람들은 종교로 회피하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극단적인 종교인과 신자들은 노동을 중시하는 사회주의를 광적으로 적대시하는 극우적 이념 스펙트럼을 가지기 쉽다.

 

분단된 조국의 현실은 위와 같은 상황을 이념 스펙트럼으로 해석하여 선동의 도구로 이용하기 쉽지만 문제의 초점은 이성보다 감정에 휘둘리는 정신의 부작용으로 보아야 한다. 선동적 정치인이 조금씩 도태되어 가는 한국도 지도층의 모습이 변해가지만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에게 북한의 상황에 대한 기대감을 볼 수 있는 것은 선대의 지도자들과는 달리 이성적일 수 있는 조건이 있는 점인 듯하다. 학력, 젊음, 얼굴표정을 보고 나름대로 판단한 결론이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82%AC%EB%8B%B4+%ED%9B%84%EC%84%B8%EC%9D%B8


오래전 사담 후세인의 사진을 보고, ‘이상한 짓을 많이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는데, 이스라엘 정보기관인 모사드의 넌픽션 첩보물인 [GIDEON’S SPIES]를 읽고 이해가 갔다. 채식주의자이며 미술학도였던 히틀러가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하여 전쟁의 참상을 자신의 정체성에 받아들이면서 상상력과 감성, 잔혹함의 3위 일체를 이룬 인물로 성장해 간 것은 원인이 결과를 정확히 알려주는 좋은 예일 수 있었다.

 

안드라데와 나는 이러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감정 케스케이드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 당신의 경우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감정에 따라 유발된 의사결정은 그 감정이 사라지고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계속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 그동안 감정에 휘둘려 얼마나 많은 잘못된 의사결정-이성을 잃지 않았더라면 절대로 내리지 않았을 그런 의사결정-을 내려왔는지를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감정에 따른 의사결정의 영향력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일이다.

 

- [THE UPSIDE OF IRRATIONALITY] BY DAN ARIELY-    

2020년 10월 7일 수요일

Inner circle story

I went to Protestantism when I was in middle school. The Korean language teacher was a Protestant and the senior who ran the library was a Protestant. I ran the library on the condition that I go to church. For a middle school library located in the count, it was a very large and magnificent library of stone structures. The working space and reading room were separated by a pawnshop-like wire mesh. There was no student borrowing a book, so I borrowed it by myself and read it hard. The library, so to speak, was dominated by Protestants.

 

I was legally absent from after school study and grew conscious as I read books in the library. I met a Korean language teacher while buying a script for Andre Gide’s novel and Rocky’s scenario, a popular American boxing firm at the time.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old me not to buy [Rocky]. I put it on hold and bought it a few days later.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82%B4%EC%A7%91%EB%8B%A8


Even now I think that religion should not undermine the diversity and development of society and culture. I think we should explore the possibility of growing together. A long time ago (about 20 30 years ago)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At that time, Korea was used by inner circle as means of acquiring power. The solidarity within the religion, the solidarity by ideology, the solidarity within the prosecution, the solidarity of economic entrepreneurs, and the solidarity of the militant labor union have been networked with each other, striving to acquire political power. So to speak, gang culture flourished. These days, civic awareness has grown and such groups cannot interact with citizens. So it ended up as social burden.

 

Even a country of enormous size becomes isolated when it becomes inner group. Not long ago, a senior Chinese official complained that there was no country sympathetic to China in the dispute between the U.S. and China. Modern countries are exploring space, economic, and cultural territories, which is why China has been striving to develop classical territories. As mention several times, President Xi Jinping’s style is thought to be similar to Mao Zedong’s. It is also why Mao Zedong has read many classic books.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EB%A7%88%EC%98%A4%EC%A9%8C%EB%9A%B1 


Alexander the Great was very philosophical and cosmopolitan, influenced by his teacher Aristotle. Aristotle taught Alexander ‘will’ and ‘moderation’. Alexander tried to break away from Macedonia’s inner circle and spread Greece’s advanced culture. And built libraries. He had neither a desire for power nor a desire for possession.

 

Alexander marched on Persia. He gave everything he owned to his friends. They were horrified and said: ‘But what are you leaving for yourself?’ ‘Hope’, he is said to have replied.

 

- [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by E. H. GOMBRICH -    

2020년 10월 6일 화요일

내집단 이야기

중학교때 개신교를 다녔다. 국어선생님이 개신교인이었고, 도서관을 운영하던 선배가 개신교인이었다. 교회를 다니는 조건으로 내가 도서관 운영을 맡았다. 군소재지 중학교의 도서관이지만 규모가 무척 크고 웅장한 석조건물이었다. 그 안에 대출업무를 보는 공간과 열람실은 전당포처럼 철망으로 분리가 되어 있었다. 책을 대출 받으러 오는 학생이 없어 혼자 자가(self) 대출 하면서 열심히 책을 읽었다. 말하자면 도서관은 개신교인이 장악했다.

 

그런데 나는 합법적으로 자율학습을 빠지고 도서관에 갇혀서 책을 읽으면서 점점 의식이 성장해 갔다. 시내서점에서 앙드레 지드의 소설과 그 당시 유행하던 미국 권투영화 [록키]의 시나리오 대본을 사다가 국어선생님을 만났다. 국어 선생님은 [록키]를 사지 말라고 했다. 나는 일단 보류했다가 몇 일후에 샀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82%B4%EC%A7%91%EB%8B%A8


지금도 나는 종교가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과 발전을 저해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함께 성장할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주 오랜 옛날(20,30여년 이전) 정보화가 부족한 시절에 한국은 내집단이 권력 획득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종교내부의 결속력, 이념에 의한 결속력, 검찰내부의 결속력, 경제기업인들의 결속력, 강성노조의 결속력 등이 서로 네트워크화 되면서 정치권력을 위해서 내달렸다. 말하자면 패거리 문화가 창궐했다. 요즘은 성장한 시민들의 의식이 내집단 속으로 피드백 되지 못하면서 내집단은 사회적 부담으로 전락했다.

 

엄청난 규모의 국가도 내집단화 되면 고립된다. 얼마 전, 미국과 중국이 분쟁하고 있는데, 중국을 동정하는 나라가 한 나라도 없다며 중국의 고위관리가 푸념한 기사를 보았다. 현대국가들이 우주영토, 경제영토, 문화영토를 개척하고 있는데, 중국만 고전적인 영토개척을 위해 힘쓴 까닭이다. 몇 번 언급했지만 저우언라이와 다른 마오쩌뚱의 고전적 독서 스타일과 마오쩌뚱의 스타일을 답습하는 시진핑 주석의 스타일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B%AA%A8%ED%83%9D%EB%8F%99+%EB%A7%88%EC%98%A4%EC%A9%8C%EB%9A%B1


알렉산더 대왕은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아서 매우 철학적이었고, 세계주의자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의주의(主意主義/ 의지를 중시하는) 사상이나 중용의 사상을 중시했다. 마케도니아의 내 집단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고, 그리스의 선진문화를 전파하고 도서관을 많이 지었다. 권력욕도 없었고, 소유욕도 없었다.

 

Alexander marched on Persia. He gave everything he owned to his friends. They were horrified and said: ‘But what are you leaving for yourself?’ ‘Hope’, he is said to have replied.

 

- [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by E. H. GOMBRI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