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9년 10월 19일 토요일

Competitiveness and Limitations / North Korea and Japan

I’ve been to various workplace. In some places it was very happy and in others it was very hard. That’s the result of putting my ego back a little and scrutinizing the members of the workplace. I have come to know what is important to man. People try to relax and competition is its means. Leisure will bring a better competitive edge. Members of uncompetitive and leisurely workplace worked quite spontaneously and efficiently.


Until now, ‘competition’ has been central to liberal ideology and neo-liberal ideology. To begin with, it is North Korea that can see the most impact of competition in the near future, and Japan that has experienced the limits of competition. North Korea is full of energy to achieve its people’s economy and welfare through competition.


Japan is running out of energy that can come from competition. The Japanese people realized that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cannot be done with effort unconditionally. North Korea may have the fearless energy to advance its liberal market economy. The welfare of competition-driven economic development in North Korea will overwhelm the negative effects competition. The Japanese, however, ran out of competitive energy.


The U.S. is rich in resources, technology, territorial land, and geographical location. So the U.S. has the option of choosing a fully liberal market economy or a welfare state. The U.S always has a chance and the people have hope even if the current welfare is reserved for the future. But Japan, which had only the competitiveness arising from extreme mental tensions, couldn’t get beyond the U.S


Northern European countries had the same conditions as Japan. However, they overcame the problem in due course with an ideology that values welfare and community, and Japan missed it. Of course, Korea should not follow Japan’s footsteps. There will be no future for the nation if it fails to choose the proper ideology to suit its time. Focusing on short-term goals, political gambit, demagoguery, extreme one-sided ideology and religious disruption will be poisonous to the nation’s future.


경쟁과 한계 / 북한과 일본

여러 가지 일터를 다녀봤다. 어떤 곳에서는 매우 행복했고, 어떤 곳에서는 매우 고달팠다. 내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고 자아를 살짝 물러서게 하고 일터의 구성원들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가 그렇다. 바깥세상의 시선과는 좀 차이가 있었고, 인간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사람들은 여유를 갖기 위해서 노력하고 경쟁은 그 노력을 위한 수단이다. 본의 아니게 여유는 더 나은 경쟁력을 가져다 줄 것이다. 경쟁하지 않고 여유로운 일터의 구성원들은 꽤 자발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였다.

지금까지 자유주의 이념과 신자유주의 이념의 중심어는 경쟁이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까운 시일 내에 경쟁이란 단어의 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국가는 북한이고 경쟁의 한계를 경험한 국가는 일본이다. 북한은 경쟁을 하여 국민의 경제와 복지를 달성할 수 있는 에너지가 충만하다.

일본은 경쟁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한계에 왔다. 일본 국민은 무조건 노력으로 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바가 있고, 북한은 자유주의 시장경제가 약진할 수 있는 겁 없는 에너지가 있을 것이다. 북한에서 경쟁으로 인한 경제발전이 가져다주는 복지는 경쟁의 부작용을 압도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인은 지쳤다.

자원과 기술이 풍부하고 영토와 지정학적 위치가 우월한 미국은 완전 자유시장 경제나 복지국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 항상 기회가 있고 현재의 복지를 미래에 유보해도 국민은 희망을 안고 살아간다. 그러나 극한의 정신적인 긴장에서 발생하는 경쟁력만 가지고 있던 일본은 미국을 이길 수 없었을 것이다.

일본과 조건이 비숫한 북유럽 국가들은 복지와 공동체를 중시하는 이념으로 적절한 시기에 문제를 극복하였고, 일본은 그 때를 놓쳤다. 물론 한국도 일본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그 시대에 어울리는 적절한 이념을 선택하지 못하고 단기목표, 정략과 선동, 극한 이념이나 종교들이 창궐하면 국가의 미래가 나빠질 것이다.


2019년 10월 11일 금요일

Absolute Northeast Asia

In general. if a nation or idea is geographically isolated or lacks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t has an absolute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ideas in areas where trade and scientific exploration were active have a relativistic atmosphere. Absolutism has a hard and stubborn conservative atmosphere. Relativism has an ever-changing tendency toward progressivism based on human-centered usefulness and rationality.


Eastern thought is largely an absolutist idea. Among Western ideas, Bacon’s empiricism, pragmatism and James Mill and Dewey’s utilitarian ideas tend to be relativistic. On the other, Germany’s Kant thought tends to be absolute. If we expend further, that is why Japan’s ultra-rightist ideology is due to its geographical isolation and North Korea’s long-standing adherence to Marxism. Because of its political isolation, China’s economic relativity eventually failed to overcome the absolutelity of politics.


Recently, Northeast Asia has been plagued by the closed politics of Japan and China. South Korea has become an independent variable from neighboring powers, but North Korea appears to have many barriers to cross. Japan has become more cohesive and far-right to overcome the crisis, but it seems to be misdirected. Japan should be more benign, work toward globalization and strengthen its connection with other countries. Chine has a special economic zone like Hong Kong or an entrepreneur like Marwin. But they are oppressed by political absoluteity.

Even in Korea, conservative religions and politicians refuse to change on absolute grounds such as religion and ideology.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Japan, it is clear that it is not a good thing.    

절대적 동북아시아

대게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문화적 특징이 외부세계와의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던 지역의 사상들은 절대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고, 무역활동이나 과학적인 탐구가 활발했던 지역의 사상들은 상대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절대주의적이란 변하기 힘든 완고한 성향을 의미하여 보수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상대주의적이란 인간 중심의 유용성과 합리성에 바탕을 두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성향이 있어서 진보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동양사상은 대체로 절대주의적이고 서양사상중 베이컨의 경험론사상, 프래그머티즘, 밀과 듀이의 공리주의 사상같이 영국과 미국의 사상은 상대주의적 성향을 띄며 독일의 칸트사상 같은 대륙의 사상은 절대주의적 성향을 띈다.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일본이 극우사상을 쉽게 가지는 배경에는 지리적 고립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고, 북한이 공산주의 사상을 오래 고집한 것도 외부 국가와 교류할 수 없는 특징 때문에 불가피했음을 토로한 바 있다. 중국은 정치적인 고립 때문에 결국 경제의 상대성이 정치의 절대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많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근래에 들어와서 일본과 중국의 폐쇄적 정치성향 때문에 동북아시아가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은 주변 강대국들의 종속변수 역할을 벗어나서 독립변수 역할을 하고 있지만 북한은 넘어야 할 장벽이 많아 보인다. 일본은 국가가 어려워져서 위기를 극복하고자 응집력이 강해지고 극우성향을 보이는데, 방향을 잘못 잡은 것 같다. 더 양성적이고 세계화에 힘쓰고 다른 나라와의 연관성을 강화하는 등 상대주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중국은 홍콩 같은 경제특구나 마윈과 같은 경제인이 정치적인 절대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내부에서도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가진 종교나 정치세력들은 종교나 이념같은 절대주의적인 근거를 내세우며 변화를 싫어하지만 일본의 상황을 볼 때 좋은 일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2019년 10월 4일 금요일

The conservatism of law and religion

The reason why Korean legal professionals, including prosecutors, are so conservative is because they have not seen the other world. The studied at school with superhuman effort and entered a good university. They passed the bar exam with superhuman efforts during and after college. It seems undeniable that these talents have spent the golden years of their lives in a peripheral way.


If they have religious contact during a lonely and difficult life, they become very dependent on religion. Later on, he does his best to contribute to religion even after gaining social status. Religion has a conservative character. Religious thinking is rooted in the past. It begins with a scripture in which the saints of the past appear, the state of the old times appear, the kings of the old times appear, and the characters of the old days appear. Religion, therefore, is apt to label the new order unethical.

Sometimes religion attracts people with social status in this way. This helps solidify the position of the clergy. If this process repeat itself, it becomes preoccupied with a power struggle rather than with a power struggle rather than with morality, which is an essential duty of religion. In particular, Protestantism in Korea plays many such roles through aggressive missionary work. I know that because I have been to Protestantism for 6 years.

Religion has a strong inner cohesion by nature. The world of people who have studied law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internal cohesion. When the world of religion and law is combined, one may not know much about global affairs or the world of diverse people.


In retrospect, I read too many books in my teens.

[French History] by Andre’ Moreaua
[The long march] by Harrison E. Salisbury
[Zorba The GreeK] by Nikos Kazantzakis
[The last temptation of Christ] by Nikos Kazantzakis
Ernest Hemingway
Yi Sun-sin
Andre’ Gidd
[Simone Weil] by Georges Hourdin or [Simon Weil] by Simone Petrman
[Kim Hong-seop, a priest and judge] by Choi Jong-Ko
Miyamoto Musashi
[The Karamazov Brothers] by Fyodor Dostoyevsky
Tolstoy
Richard Bark
[Don Quixote] by Cervantes
[The king and me] etc etc etc


If I had dug up a book of laws and religious scriptures, I would have listened to experts. But even if I wanted to believe something, I had a hard time getting involved with philosophical insight. Once on SNS, a swindler approached me, and I enjoyed myself showing my stupidity. If life was boring, I was playing by throwing myself away. I did that to the religious people in my youth.

법과 종교의 보수성

검찰을 비롯한 한국의 법조인들이 보수성을 띄게 되는 이유는 다른 세상을 보지 못한 까닭이다. 학창 시절에는 학교 공부에 초인적인 집중을 해서 좋은 대학을 들어가고, 대학 시절과 졸업 후 몇 년을 초인적인 집중을 해서 사법시험에 합격한 인재들이 인생의 찬란한 시절을 지엽적으로 보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고독하고 험난한 수험생활에서 종교적인 접촉을 하는 인재들은 종교에 많이 의지하게 되고 훗날 사회적인 지위를 얻고 나서도 자신의 종교에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러나 종교는 특성이 보수적이다. 종교적 사고는 과거의 일에서 시작한다. 과거의 성인이 등장하고, 과거의 국가가 등장하고, 과거의 왕이 등장하고 과거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경전에서 비롯된다. 때문에 종교는 새로운 질서를 비윤리적인 것으로 낙인찍기 쉽다.

때로는 종교집단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회적 지위를 얻은 사람들을 포섭하여 성직자들의 위치를 공고히 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한다. 그런 과정이 반복되면 모든 종교의 본질적인 의무인 도덕성보다는 사회적 세력 싸움에 몰두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개신교는 공격적인 선교를 통하여 그런 역할을 많이 한다. 나도 6년을 개신교회에 다녀봐서 안다.

종교는 성격상 내적 응집력이 강하다. 법을 공부한 사람들의 세계도 내적 응집력이 강한 특성이 있다. 종교와 법의 세계가 결합되면 걸어서 지구 세 바퀴 반을 돌던지, 세상도 넓고 할 일은 엄청 많다든지 뭐 그런 것을 잘 모를 수 있다.

생각해 보면 나는 10대에 너무 많은 책을 읽었다. 앙드레 모로아의 [프랑스사], 등소평 평전,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헤밍웨이, 이순신 평전, 앙드레 지드, 시몬느 베이유, 김홍섭 평전, 미야모토 무사시, 도스토예프스키, 톨스토이, 세르반테스, 리차드 바크, 왕과 나, 기타 등등 기타 등등.

법서 한 권과 종교 경전 한 권을 매섭게 들고 팠으면 나도 전문가가 되어 대접받는 삶을 살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뭔가 믿고 싶어도 철학적 통찰력이 개입하여 애를 먹었다. 한 번은 SNS상으로 사기꾼이 접근한 적이 있는데, 가능한 멍청한 모습을 보여줬다. 오죽 삶에 무료함을 느꼈으면 자신을 던져가며 놀고 앉아 있었다. 20대에 종교인들에게도 그랬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