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3년 10월 29일 일요일

Anti-working society

Having made a living by teaching civil servants or real estate candidates more than 20 years ago, I wanted to do something more specific and empirical. So I went to learn electrical and welding techniques during the day. In particular, I learned a lot of welding techniques, and I wanted to work at a shipyar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Workers wearing ice vests in the middle of summer and running back into the fireball after eating watermelon punch because they were tired of the heat were stimulating. I was more motivated by the experience of doing the same thing. Rumor has it that the salary is high because it is hard welding work.

 

But the reality was bad. Most of the shipyard welding workers belonged to subcontractors, and their salaries were paid the minimum wage. I gave up welding work at the shipyard because I had no profit to work at the destination for the minimum wage. However, such a situation did not improve 20 years later. Due to the lack of welding personnel, the shipyard hired low-paying Vietnamese workers, but when Vietnamese workers were unable to enter the country due to quarantine problems during COVID-19, the shipyard was unable to operate. This is the same with the bus industry I've been through for a long time. The bus industry, which has long forced heavy labor with low salaries, is now said to be socially rumored and lacks manpower to enter. Everything was predicted, and the salary level of Korean engineers is known to be less than half that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Australia, which have a similar economic level.

 

In fact, there is a bigger problem than pay. Korea is a country that traditionally tends to treat technology with contempt. Perhap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tendency to neglect the behavioral value of humans. In a society where the financial economy is superior to the real economy and real estate plays a role in currency value over practicality, the inability of earned income to overcome real estate income is the biggest reason why the Korean economy faces growth barriers.

 

There was one fact that I persistently questioned the attitude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It was questionable why the prosecution should be superior to the police in field work, and why the government born from the prosecution is shaking the roots of the Korean economy with its abstract and ideological tendencies. One day, I worked in a high-end apartment electrical room in Gangnam, Seoul, and sometimes I saw a situation where some residents treated workers so contemptuously that they were comparable to human rights violations. Of course, it was expected, so there was only a question of whether Korean society could revive again. Anti-working societies and anti-realistic and pratical societies are easily affected by external stimuli because of their weak fundamental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destroy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export-led countries such as Korea and only active tabletop theory are now gradually revealing.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should not be deceived by the ideological public's support for nothing. There is no future for a gradually decreasing government that seeks to gain approval ratings through ideology. What's worse, however, is that the future of both the country and the people will be eliminat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wake up quickly and have a pragmatic attitude.

반 근로사회(Anti-working society)

20여년 전에 공무원이나 부동산 수험생들을 지도하면서 생계를 유지하던 나는 좀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일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낮에 전기기술이나 용접기술을 배우러 다녔다. 특히 용접기술은 여러 가지를 배웠는데, 남부지방의 조선소에서 일하고 싶었다. 한여름에 얼음조끼를 입고 일하다가 더위에 지쳐 수박화채를 먹고 다시 불덩어리속으로 뛰어드는 근로자들의 모습이 자극적이었다. 비숫한 일을 해 본적이 있어서 더욱 그랬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힘든 용접일이기 때문에 급여가 높다고 했다.

 

그러나 실상은 나빴다. 조선소 용접근로자들은 대부분 하청업체 소속이었고, 급여는 최저임금을 받고 있었다. 나는 객지에서 최저임금을 받고 일할 이익이 없으니 조선소 용접일을 포기했다. 그런데 20년 후에도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다. 용접인력이 부족해서 급여가 싼 베트남 근로자를 고용했는데, 코로나19때 베트남 근로자들이 방역문제로 입국을 하지 못하자 조선소가 가동을 하지 못할 정도로 용접인력이 부족해졌다. 이런 일은 내가 오랫동안 겪은 버스업계도 마찬가지다. 오랫동안 낮은 급여로 과중한 노동을 강요하던 버스업계는 이제 사회적으로 소문이 나서 진입하는 인력이 무척 부족하다고 한다. 모든 것은 예측했던 사실이고, 한국 기술자의 급여 수준은 비숫한 경제 수준을 갖춘 호주등 서구국가들의 절반이하의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은 급여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기술을 천시하는 성향이 있는 나라다. 어쩌면 인간의 행위적 가치를 경시하는 성향이 있다고도 볼 수 있겠다. 실물경제보다 금융경제가 우월하고 부동산이 실용성보다 화폐가치의 역할을 하는 사회에서 부동산소득을 근로소득이 극복할 수 없는 것은 한국경제가 성장장벽에 부딪힌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나는 현 한국정부의 태도에 대해서 끈질기게 의문을 품는 사실이 한 가지 있었다. 왜 검찰이 현장일을 하는 경찰의 우위에 있어야 하는지, 그리고 왜 검찰에서 탄생한 정부는 추상적이고 이념적인 성향으로 한국경제의 뿌리를 흔들고 있는지 하는 의문이었다. 언젠가 서울 강남의 고급아파트 전기실에서 일을 한 적이 있는데, 간혹 주민중에 일하는 근로자들을 인권침해에 버금 갈 정도로 천대하는 상황을 보곤 했다. 물론 예상했던 일이라서 한국 사회가 다시 회생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만이 생겼다. 반 근로사회(Anti-working society), 반 실사구시사회(Anti-realistic and pratical society)는 기본이 약하기 때문에 외부의 자극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한국과 같은 수출 주도형 국가에서 제조업을 무너뜨리고 탁상공론만 활발해지는 결과가 이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현 한국정부는 아무것도 모르는 이념적인 국민이 지지하는 고정된 지지율에 속지 말아야 한다. 이념을 통하여 지지율을 얻고자 하는 점감주의(gradually decreasing) 정부의 미래는 없다. 그런데 더 나쁜 것은 국가와 국민의 미래가 모두 없어진다는 점이다. 한국정부는 빨리 각성해서 실사구시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2023년 10월 12일 목요일

The Economics of the Hammer

There was a saying by sociologist Maslow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looks like a nail head to a man with a hammer. It really was. I have had a sense to compare work sites after working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working in the sun (active) and meeting a certain number of colleagues in a small space. The limited people and limited space you meet every day narrow your horizons. When I worked in an office or an electrical room or a machine room, I always read books related to world history, geography, and diplomacy from time to time because I was afraid of narrowing my horizons.

 

As I've often mentioned, the biggest reason for the Korean government's disruption is that it was born based on an internal group called the prosecution. From the beginning, it seemed unreasonable for all the views, habits, and thinking systems of the regime to be globalized. Though unintentionally (they could have tried to do well), the limitations of ability seem to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feedback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and fruit.

 

Considering the link between economic policy events

 

1. in the prosecution's position

 

2. the birth of a conservative view of the prosecution

 

3. The birth of a government from conservative political prosecutors

 

4. The regime has a far-right bias view, not a nationwide view

 

5. Reducing taxes on rich people based on supply-oriented economics

 

6. a lack of tax revenue

 

7. Reduce foreign currency reserves (using foreign currency instead of tax revenue, reducing exports)

 

8. Increasingly resembling the IMF bailout days

 

It is difficult to have the same link as above. Worse yet, Seoul has played a role in aggravating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of the global new Cold War through ideological politics. Conflict and struggle relationships have a large negative synergy effect. It should be thought of as losing not only the loss at that time, but also the opportunity cost of not developing. Of course, the effects of national policy appear over time, so there may be a situation where the next government has to try to compensate for the losses.

 

In many ways, the oper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been operated in a very negative and negative atmosphere.

 

 

 

  

망치를 가진 자의 경제학

망치를 가진 사람은 세상의 모든 것이 못 대가리로 보인다는 사회학자 매슬로우의 말이 있었다. 실제로 그랬다. 나는 오랫동안 여러 가지 방식의 근로를 하면서 근로 현장을 비교할 수 있는 감각을 가지게 되었다. 햇볕을 보며(액티브한) 일하는 현장 일과 좁은 공간에서 일정 수의 동료를 만나면서 하는 일은 차이가 컸다. 매일 만나는 제한된 사람들과 제한된 공간은 시야를 좁힌다. 사무실이나 전기실 기계실 등에서 일 할때는 시야가 좁아지는게 두려워서 늘 세계사, 지리, 외교와 관련된 책을 틈틈이 읽었다.

 

자주 언급했지만 이번 한국 정부의 파행의 가장 큰 원인은 검찰이라는 내 집단에 근거해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정권의 모든 관점, 습관, 사고 체계가 세계화 되기에는 처음부터 무리가 있어 보였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잘 해볼려고 할 수는 있었지만) 능력의 한계는 투자와 결실의 피드백 관계를 명확히 보여 준 것 같다.

 

경제학 관련된 정책사건의 연결고리를 생각하면

 

1. 검찰의 지위에서

2. 검찰의 보수화된 관점 탄생

3. 보수화된 정치검찰에서 정권 탄생

4. 정권은 국가 전체적인 관점이 아닌 극우 편향적 관점을 가짐

5. 공급중시 경제학에 근거한 부자감세

6. 세수부족

7. 외화비축량 감소(외화를 전용, 수출감소)

8. 점점 IMF 구제금융시절과 닮아감

 

이런 연결 고리를 가지면 곤란하다. 더욱 나쁜 일은 신 냉전의 갈등 관계를 이념 정치로 악화 시키는데 한 몫 했다는 점이다. 갈등과 투쟁 관계는 마이너스의 시너지 효과가 크다. 그 당시에 손실을 본 것 뿐만 아니라 발전을 하지 못한 기회 비용까지 손실을 보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물론 국가 정책의 특질상 효과는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기 때문에 다음 정부가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여러 가지로 이번 한국 정부의 운영은 매우 부정적이고 음성적인 분위기에서 운영되었다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