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Leader's willingness to reform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B0%BD%EC%97%85


There are leaders who are easy to settle for the system created by the founder. In the end, they continue their vitality with the will of power, not the will to reform. It is natural that the results of pursuing private interest, not public interest, will not be good.

 

Deng Xiaoping, who created a new China, changed himself and China very intensely

 

In fact, as everyone knows, it w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eng Xiaoping was a "total guardian," although my father did not direct the great protest activities of this People's Army. After my father's reinstatement, the remarkable achievements of full-scale reform, and his keen spirit of sharply confronting and struggling with the four made the whole nation predict the future, and the hope they had for the entire nation through this process encouraged them to fight the four leftists.


My father knew well that he would be attacked again while watching this exercise. However, he firmly believed that all of his actions and the individual's sacrifices would be the best catalyst to awaken the Chinese and reach a new starting point. He firmly believed that no matter what his political destiny was, justice and truth must prevail. From the angry appeals and shouts of the people's crowd and the people's public in front of Tienanmen Gate, he clearly saw the future and hope of China. 

 

- [immortal leader Deng Xiaoping] written by his son Deng yong-

-Double translation -

 

Deng Xiaoping, who always had to fight the crisis of circumstances and personal affairs, is so famous for training his mental strength and physical strength by training his intelligence with bridge games and swimming in ice water even after the age of 90.

 

A few days ago, news of North Korean President Kim Jong-un's assassination and the appearance of a stand-in appeared in the U.S. media. The media also cited a U.S. Defense Department official saying that President Kim Jong-un is not the same person through various technical observations.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9%80%EC%A0%95%EC%9D%80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Kim+Jong-un+


I think that President Kim Jong-un's change reflects his will to reform. There may be an opinion that Korea is still siding with the leader of an enemy country. However, it is the right calculation to side with a new generation of leaders who have taken power by overpowering the North Korean military, which is an essential communist. In addition, I think it is right to constantly awaken the will of the South Korean leader in order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North Korean leader in the future. Otherwise, impractical decisions such as the closur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could be repeated.

 

If ideological controversies are excluded, then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and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should both be highly regarded for their entrepreneurial will to reform. The same is true of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Future leaders should look like that.    

2021년 10월 26일 화요일

지도자의 개혁의지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C%B0%BD%EC%97%85


창업자가 만들어 놓은 시스템에 안주하기 쉬운 지도자들이 있다. 결국 그들은 개혁의지가 아닌 권력의지로 생명력을 이어 나간다. 공익(a public interest)이 아닌 사익(a private interest)을 추구한 결과가 좋지 않을 것은 당연하다.

 

새로운 중국을 만들어 간 등소평은 참으로 격렬하게 자신과 중국을 변화시켜 나갔다.

 

사실 누구나 다 알다시피 이 인민군중의 위대한 항의활동은 비록 아버지가 직접 지휘하지는 않았지만, 어떠한 의미로 말할 것 같으면 등소평이 총체적인 후견인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아버지가 복직한 후 대담하게 진행한 전면적인 쇄신, 전면적인 쇄신의 현저한 성과, 그리고 4인방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투쟁한 그의 예리한 기세가 전 국민들로 하여금 미래를 보게 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전 국민들에게 가져다 준 희망은 그들이 4인방 좌익세력과 투쟁할 수 있는 용기를 주었다.

 

아버지는 이 운동을 보면서 자신이 재차 타도될 것임을 잘 알았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한 모든 행동과 그 개인의 희생이 중국인민을 각성시켜 하나의 새로운 기점에 이르게 하는 가장 좋은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는 자신의 정치 운명이 어떻게 되든지 정의와 진리는 반드시 승리한다고 굳게 믿었다. 천안문 앞에서 인민 군중들과 인민 대중이 뿜어내는 분노의 호소와 고함소리로부터 그는 중국의 미래와 희망을 분명하게 보았다.

 

- 아들 등용이 지은 [불멸의 지도자 등소평]중에서 -

 


항상 정세와 신변의 위태로움과 싸워야 했던 등소평은 90세가 넘어서도 브릿지 게임으로 지력을 단련시키고 얼음물에서 수영을 하면서 정신력과 체력을 단련시킨 일화는 너무나 유명하다.

 

몇 일전 북한 김정은 총서기의 암살과 대역이 등장한다는 소식이 미국 언론발로 나왔다. 여러 가지 기술적인 관찰로 동일인물이 아니라는 미국 국방부 관계자의 말도 인용했다.


https://hyeong-chun.blogspot.com/search?q=%EA%B9%80%EC%A0%95%EC%9D%80


내 생각에는 김정은 총서기가 변화한 모습은 개혁의지가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행여나 한국에서 아직은 적성국 지도자의 편을 든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원론적인 공산주의자들인 북한 군부를 힘들게 제압하고 정권을 잡은 신세대 지도자의 편을 드는 계산법이 옳다. 더불어 향후 북한 지도자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국 지도자의 의지도 끊임없이 각성되어야 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 그렇지 않으면 개성공단 폐쇄와 같은 비 실용적인 결정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념 논란을 배제하면 박정희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김일성 주석은 모두 창업적인 개혁의지를 높이 평가 받아야 한다. 그런 모습을 닮아야 할 것 같다.  

2021년 10월 19일 화요일

Immersion and decline into the real estate economy

If it cannot escape from a conservative society, Korea, like Japan, has a risk of a long-term recession. The biggest problem is the rapid progression of an aging society, but the problem is that earned income and manufacturing-oriented economies have been distorted into financial income and real estate-oriented economies.

 

In the past, during the conservative government in Korea, large-scale construction irregularities caused confusion, bu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rregularities broke out again this time. This is why both supply and demand and investment have focused on real estate. People who realize that they cannot lead a normal life with earned income focus on real estate as much as they can.

 

Citizens do not purchase consumer goods such as automobiles, clothing, and groceries, and do not live in various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or self-employed businesses, do not ride a car, do not wear clothes, do not eat restaurant food, and are immersed in real esta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apitalist economy, which does not value current consumption and wants to take the upper hand of others while promising future consumption, also contributed. The real estate economy is activated even as an investment method to overcome inflation(inflation hedge).

 

As seen in China's Hengda crisis and Korea's Daejang-dong incident, moral hazard is a problem because the public's attention to the real estate economy is likely to cause a big problem, and the state's finances (national taxes) may be involved in the timing of pre-development and post-problems. Eventually, even if corruption is committed, it will be resolved with national taxes, and the government plans to develop real estate under the pretext of revitalizing the economy.

 

The distortion of a capitalist society that values competition with others, far from the sharing economy, becomes a reality with the real estate economy. Since Japan and Korea are conservative societies, if someone talks about a sharing economy, they are evaluated as leftists. In the case of China, it was the result of a strong government promoting undesirable parts.

 

The money raised in real estate demand is diverted from demand in other fields. It would not be a good phenomenon as a whole for workers who are not treated by society to save hard and buy their own house in hopes that one day they will live comfortably. Such an atmosphere gives us a psychological burden that our society is difficult to live in. And it seems to show a vicious cycle that creates an aging society by not having children.

부동산 경제의 몰입과 몰락

보수화된 사회를 벗어나지 못한다면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장기침체의 위험이 있다. 노령화 사회가 급속히 진행되는 문제가 가장 큰 문제지만 근로소득과 제조업 중심의 경제가 금융소득과 부동산 중심의 경제로 왜곡되어 버린 문제가 원인이다.

 

과거 한국의 보수정부 시절에 대규모의 건설 비리로 혼란을 겪었는데, 이번에 또 토목 건축 비리가 크게 터졌다. 수요와 공급과 투자가 모두 부동산에 집중하게 된 까닭이다. 근로소득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국민들은 능력껏 부동산에 집중을 한다.

 

자동차, 의류, 식료품등의 소비재를 구매해서 제조업이나 자영업등의 다양한 분야의 경제생활을 하지 않고, 타지 않고, 입지 않고, 먹지 않으며 부동산에 몰입을 한다. 현재의 소비를 중시하지 않고, 미래의 소비를 기약하면서 타인의 우위에 서고 싶다는 자본주의 경제의 경쟁심도 원인이 되었다. 심지어는 인플레이션을 극복하지 위한 투자 방법(inflation hedge)으로도 부동산 경제가 활성화 된다.

 

중국의 헝다 사태나 한국의 대장동 사건에서 보듯이 부동산 경제에 대한 국민의 관심집중은 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보이지만 사전(개발)과 사후(문제의 해결) 시점에 국가의 재정(국민세금)이 관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덕적인 해이감이 문제가 된다. 결국 비리를 저질러도 국민세금으로 보전이 될 것이며, 정부는 경제를 활성화 시킨다는 명분으로 부동산 개발을 계획한다.

 

공유경제와 거리가 먼 타인과의 경쟁을 중시하는 자본주의 사회가 왜곡된 현상이 부동산 경제로 현실화 된다. 일본이나 한국에서는 공유경제를 말하면 좌파가 되어 버리는 보수화 된 사회도 문제지만 중국 같은 경우는 강력한 정부가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을 조장한 결과가 되었다.

 

부동산 수요에 모인 돈은 다른 분야의 수요에서 전용 된 것이다. 대접받지 못하는 근로자가 언젠가는 여유롭게 살아보겠다고 열심히 저축하여 내 집 마련을 하는 현상은 전체적으로는 좋은 현상이 아닐 것이다. 이런 분위기는 살기 함든 사회라는 심리적 부담감을 낳고, 아이를 낳지 않아 노령화 사회를 만드는 악순환을 보여 주기도 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