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9년 12월 24일 화요일

The aged and the city

I lived in various types of cities under the pretext of work or technical training. I used to observe how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ities and the behavior of citizens and the form of citi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I have searched in the midst of a life of distraction, and I have learned that many things connect with one another to create civil behavior.

The young and the old are very different. Korea’s economic growth has progressed rapidly. The middle-aged and over-aged generations who spent their youth in those days are ideologically shaped by the ideas of those days. Such problems have become a reality in Japan and Korea is on a similar path.

There is something you should be careful about as you get older.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one’s aging should not be radicalized for a cause such as ideology or creative excuse. I felt something while working as a bus driver for many years. Passengers who rushed or made unreasonable complaints were mostly middle-aged or older. In the past, the atmosphere of society, which was fast moving in the era of economic growth, had become habitual. Such a phenomenon was particularly severe in light industry-oriented cities. The manufacturing-oriented industrial structure of the past centered on speed was reflected in urban and human characteristics.

Sometimes politicians or religious people turn social crisis into conflict with radical verbal and irrational logic. Perhap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problems of old people(bad health) and the problems of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past are reflected in the importance of speed.

There are many old people around me who always try and live young because they are always gentle. Such people have a more future-oriented mind than in the past. Such a mindset slows down aging.         

노인과 도시

일터나 기술훈련 등을 이유로 여러 유형의 도시들을 옮겨가며 그곳의 문화적 특성과 시민들의 행태, 심지어는 가로의 형태와 건물의 밀집도등이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 관찰하곤 했다. 산만한 생활 속에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고 탐색을 하다보면 많은 것들이 서로 인연을 맺어 시민들의 행태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젊은이와 노인은 매우 다르다. 경제성장이 급속히 진행된 한국에서 경제성장시대에 청춘을 보낸 노인들이나 중년이상의 세대는 그 당시의 생각들이 이념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그런 문제들이 현실화되고 있고, 한국도 유사한 길을 걷고 있다는 건 확실하다.


나이를 먹으면서 조심해야 할 점 중의 한 가지는 자신의 노화와 관련된 특성들이 다른 대의적인 문제, 즉 이념이나 창조적 핑계들을 이유로 과격해지는 점을 삼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년간 버스기사로서 승객들을 대하면서 느낀 것인데, 서두르거나 비합리적인 불편을 토로하는 승객은 대부분이 중년이상이었던 것 같다. 과거 경제성장 시대에 빠르게 진행되던 사회의 분위기가 습관화 되어 있었다. 경공업 도시에서는 그런 현상이 심했는데, 속도를 중시하는 과거의 제조업중심의 산업구조의 분위기가 도시의 특성에 그대로 반영된 느낌이다.

가끔 정치인이나 종교인이 막말을 하거나 비합리적인 논리를 내세우며 사회분위기를 갈등관계로 몰고 가는 경우를 보는데, 노인의 기질적인 문제와 창조성보다는 속도를 중시하던 과거 산업사회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주변에 항상 노력하며 온화하여 젊게 사는 노인분들도 많은데, 그런 분들은 과거 보다는 미래 지향적인 마음가짐이 노화도 늦춘다는 사실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2019년 12월 14일 토요일

북미협상과 집중력

북한과 미국과의 관계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권태기에 접어든 느낌이다. 여론들은 가능한 갈등관계를 강조하기 위해서 애쓰는 모습이다. 각국의 이익을 위해서, 아니면 한국내에서 이익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개선은 축복받지 못하는 느낌이다.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위해서 총력을 기울였던 한국의 대통령은 성과에 대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북한이란 국가의 생래적(from birth)이고 역사적인 아주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아주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와 협력해야 하는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내에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 나쁜 조건을 떠맡은 지도자다. 김정은 위원장은 파탄이 난 국가를 일으켜 세워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고,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특성상 임기와 여론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다.
 
과거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의 재직기간 중에 많은 업적을 이룬 것은 사실이다. 물론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초 중반기까지의 업적은 많은 한국내 국민들과 해외의 비숫한 조건을 가진 지도자들에게 칭송받는 면이 있다. 같은 독재자라고 평가받는 지도자들 중에 차우세스코나 후세인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야 한다는 지도자의 본질적인 목적을 잊어버림으로서 집중력을 상실하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기왕에 이렇게 된 조건이니 주어진 조건에서 북한이라는 부담스러운 국가를 최대한 일으켜 볼려고 집중력을 발휘하고 있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나 트럼프 대통령은 여론에 대해서 좀 더 강해져야 한다. 그리고 북한과의 협상은 좀 더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풍요로운 자본주의 강대국의 지도자들이 빠질 수 있는 함정인 배팅(go for a shot at a gambling house}에 관심이 많이 갈 것이다. 일시적으로 모든 성과를 보겠다는 자본주의 강대국들의 입장과 김정은 위원장의 입장은 많이 다를 것이다. 집중할 수 있는 조건에서 본다면 한국의 대통령이나 미국의 대통령은 북한의 지도자에 비해서 참 나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북한의 개방이라는 목적, 북한과 한국의 협력, 북한과 미국과의 협력이라는 목적에 최대한 집중을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