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13년 3월 15일 금요일

배블렌과 골빈나라


운동장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있는데 사람들이 자꾸 스케이트를 쳐다본다. 눈에 띄게 초라한 보급형 스케이트를 신고 매우 경쾌하게 운동하는 모습이 눈에 띄는 것 같았다. 보호하거나 애착을 가질 필요도 없이 구석에 아무렇게나 던져 놓았다가 타기에는 저렴한 막스케이트가 제격이다. 좋은 스케이트는 유리책장에 갇혀 ‘보여주기’의 임무를 완벽하게 해내고 있는 중이다.

베블렌효과라는 말이 있다. 사람들은 남과 차별 짓는 상품을 소유하고 싶어 하며 가격이 높을수록 개별수요와 시장수요가 높아지는 현상이다.

소비자들은 유행이나 주변의 시선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기업은 뛰어나지 않은 상품을 많은 광고를 해서 현시적 가격을 올리기에 주력하는데 배블렌은 이런 노력을 시간과 재능의 낭비라고 말한다.

대체로 사회는 모방에 움직여가는게 맞는데, 배블렌은 유한계급에 대해서 마르크스적인 계급갈등이론을 회피하면서 비판하고 있다.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인 생존과 자기보호는 땀과 노력을 통하여 사유재산을 취득하는 것을 회피하게 하고, 우아한 성공과 그것을 입증하는 상품의 소비를 위하여 다른 방식으로 ‘땀흘려 노력한다’고 말한다.

IMF 구제금융을 받던 시절에 고통을 벗어나고 새로운 마음을 갖게 하는 책이 많이 발간이 되었는데, 그 중에 성공한 예로 저자 자신을 내세우며, 정작 저자 자신은 그런 이야기를 하며 돈을 벌어서 성공하고 있는 ........사회 전체적으로 봐서는 생산성도 없고 창조성도 없는 성공 이야기를 하면서 사람들을 들뜨게 만들고 있었다. 세월이 흘러 급기야 이념적이고 종교적인 정치지도자가 나타나서 허황된 공약으로 알맹이 없는 사회의 절정기를 만들며 서서히 사회의 발전성을 무너뜨리고 있는 것을 보며 손을 쓸 수없이 깊어진 상처를 느낀다.

대중은 모방을 좋아한다. 대중은 땀흘리지 않아도 성공할 수 있는 사례를 더욱 모방하고 싶어한다. 대중의 그런 심리를 이용하여 정치적,종교적,경제적 욕망을 충족하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한국사회는 구제불능의 늪으로 빠져 들어갈 것 같다. 이런 문제의 논의가 ‘잘못된 점의 개선’이라는 관점으로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우파나 좌파라는 이념적인 프레임에 휩쓸리기 쉬운 점도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인 것 같다.

품위를 유지할려는 압박감에 시달리는 폴리네시아의 추장들은 스스로 음식을 입 안에 집어넣기 보다는 차라리 굶어 죽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프랑스국왕의 옥좌에 불이 붙었다. 마침 옥좌를 운반하는 직책을 맡은 시종이 자리에 없었다. 왕은 그 자리에 묵묵히 앉아 있었는데, 엉덩이가 회복불가능한 상태로 구워졌다.

국가와 사회의 장래를 생각해보니 의미있는 이야기다.

배블렌은 엔지니어들의 창조적 추진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현시적인 소비가 사회를 감염시킴에 따라서 창조의욕이 상실되고 있다고 말한다. 경영인은 단기적 이익에 눈이 멀어 장기적 경제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국민을 대표한다는 정부는 사실상 경영인들의 이익을 대변하는데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노동조합 역시 비가입 노동자의 등을 딛고 가입노동자들의 이익을 더 챙기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말한다.

공장과 직업학교등을 경험하며, 그리고 경제를 살렸으면 하는 바램으로 허황된 공약을 하는 정치지도자를 뽑았던 국민을 보며 배블렌의 주장을 크게 공감한 적이 많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