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Blogger

2020년 5월 31일 일요일

Mao Tse-tung and China's Modern Politics

I finished my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winter of my third year of high school and stoped by a bookstore to by a book called [THE LONG MARCH] written by Harrison E. Salisbury, an American journalist. Originally, I did not study at school and read various books, but in winter when I was a senior in high school, I could afford to be accepted by the world. And I often read [THE LONG MARCH]. I was in a very bad environment but the book fostered my strong will.


I was not interested in the revolution and I was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the long march. I was young and lacked expression, but I knew that trying did not bring a world that I wanted unconditionally. So did the long march. The great willpower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as been exercised. But soon the dark world came.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eradication of sparrows were destructive events caused by ignorant willpower.


The problem was solved by wise figures such as Deng Xiaoping and Zhou Enlai, but as long as the rituals that deify Mao Zedong exist in China, the spirit of China has always been at stake. The revolutionary spirit was also in Western society. The British Revolution, the American War of independence,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Korean Donghak Movement were historic events that occurred in common against the decadence of feudalism.


In common, the West and the East have moved to a better world against the ancient regime.


The issue of applying China’s security law to Hong Kong will be very different between Hong Kong’s citizens and mainland Chinese. Like North Korea, China will have a trauma to imperialist aggression. Hong Kong was British-controlled and Hong Kong citizens were planted with democratic values of Western Europe. But the Chinese must have decided that Hong Kong should be quickly Chineseized because it is a product of imperialist aggression.


Historically, Chinese ideas (中華思想 / China-centered thought) in the minds of the Chinese people were to exert more influence than cool judgment if they had a chance one day. Deng Xiaoping, who has a very cautious and meticulous personality, emphasized the 韜光養晦(He waits patiently without revealing his talent) with the intention of not feeling up and steadily achieving its purpose. He tried to stifle the excessive enthusiasm of the people. Deng Xiaoping, who has spent a long time of patience, must have thought about relativity. It’s like the idea that when I become strong and show my desire to dominate, my opponents must unite.


One day I wrote that Mao Tse-tung had read so many books. But the nature of reading did not accord with the ideal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Mao Tse-tung was an incomparable reading maniac, but he rarely read foreign literary works except for a few famous books like [La Dame aux camelias / 椿姬]. He also did not read China’s modern literature. He did not read further about economic management, especially concerning socialized production management in foreign countries. This has brought about a great negative effect in socialist construction, says Feng Shensz. It was the classics of China that he loved, and in his later years, especially [資治通監].

- [Mao Tse-tung and Zhou Enlai] by Susumu Yabuki -


Mao Tse-tung is said to have always read [史記] hard even on the battlefield. Chinese classics contain the consciousness of feudal society and always have the emperor as the main character. Just as there is an emperor in the story he read a lot, Mao Zedong wanted to be an emperor.

Ten years after I graduated from high school, I experienced another mental distress. At that time I endured reading the song of the [Battle Hymn of China] written by Agnes Smedley, an American woman who served in the Red Army during the Long March, and [History de la France] written by Andre Maurois. When the field of vision broadened, the real world’s worries seemed small. Nowadays, Western society has achieved the purpose of the revolution and China is still lacking. These days China is not the same as the days when Deng Xiaoping and Zhou Enlai ruled, but the days when Mao Tse-tung ruled. The Chinese government says it will not allow other countries to interfere in Hong Kong’s affairs. Clearly, it is not China that has had the best influence on my life.


2020년 5월 30일 토요일

모택동과 현대 중국정치

대입 시험을 막 끝마친 고3 겨울에 서점을 들러 미국 저널리스트인 해리슨 솔즈베리가 쓴 [대장정]을 샀다. 원래 학교 공부는 하지 않고 이 책 저 책 읽는 성격인데, 3 겨울은 세상이 인정하는 여유가 있었다. 그리고 그 책을 자주 읽었는데, 뭐 하나 좋을 일 없는 환경에서 모든 문제는 자신의 의지로 극복해야 하는 것이라는 사상이 심어졌다.

감동을 한 것은 대장정의 과정이지 혁명과 혁명 이후의 세계가 아니었다. 어린 마음에 말로 표현하지는 못했지만 노력한다고 해서 원했던 세상이 오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고 있던 것 같다. 대장정도 그랬다. 중국 공산군의 엄청난 의지력이 발휘되고 난 이후에 다시 암울한 세상이 왔다. 문화대혁명이나 참새박멸사건 등은 무지한 의지가 일으킨 파괴적인 사건이었다.

등소평과 주은래라는 현명한 인물들에 의해서 문제는 수습되어 갔지만 모택동의 혁명 정신을 신격화 시키는 의식들이 중국에 존재하는 한, 항상 중국 정신은 위태로웠다. 그런데 그 혁명 정신이라는 것이 서구 사회에서도 있었다. 영국의 명예혁명, 미국의 독립전쟁, 프랑스 혁명, 한국의 동학운동 역시 봉건제도의 퇴락성에 반발하여 발생한 거대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는 것이다.

서양이나 동양이나 각자가 구제도의 모순에 반발하여 역사를 바꾸고 더 나은 세상으로 가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다는 사실은 공통적이었다.

홍콩에 중국의 보안법이 적용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홍콩 시민들과 중국 본토인들의 입장이 매우 다를 것이다. 하물며 북한과 마찬가지로 중국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해서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다, 홍콩이 영국령이 되었고 서구의 민주주의적인 가치가 홍콩 시민들에게 심어진 반면, 중국인들에게는 제국주의 침략에 의한 산물로서 빨리 중국화 시켜야 한다는 의지가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중국인들의 마음속에 잠재해 있는 중화사상(中華思想)’은 언젠가 기회가 되면 냉철한 판단력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고, 매우 신중하고 치밀한 면이 있었던 등소평은 기분 내지 말고 착실하게 목적을 달성하라는 의도로 도광양회(韜光養晦/자신의 재능을 드러내지 않고 인내하면서 기다린다 )를 이야기 하면서 정도가 지나친 열정을 억누르고자 했을 것이다. 하물며 오랫동안 인내의 세월을 보낸 등소평은 상대성에 대한 감각도 남달랐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강해지고 내가 지배하고자 하는 욕구를 드러내면 반드시 뭉치는 상대가 있을 거라는 생각 같은 것이다.

언젠가 글을 썼지만 모택동은 참 많은 독서를 하였다. 그러나 독서의 성질이 중국 공산당이 추구하는 사상과 맞지 않았다.

마오쩌뚱은 비할 데 없는 독서광이었지만 외국 문학 작품은 [춘희/椿姬]같은 몇몇 명저를 제외하고는 거의 읽지 않았다. 중국의 현대 문학도 읽지 않았다. 경제 관리 분야, 그 중에서도 특히 외국의 사회화 된 생산관리에 관계된 것은 더욱 적었다. 이것은 사회주의 건설에 있어서 큰 마이너스 효과를 불러왔다고 펑센즈는 말하고 있다. 그가 애독했던 것은 중국의 고전이었고, 만년에는 특히 [자치통감/ 資治通監]이었다.

- 야부키 스스무가 지은 [마오쩌뚱과 저우언라이]중에서 -

모택동은 전쟁터에서도 항상 [사기/ 史記]를 열독했다고 한다. 중국의 고전은 봉건사회의 의식이 담겨 있고, 항상 황제가 등장하였다. 모택동의 의식은 중국 봉건제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던 것이다. 자신이 많이 접한 이야기가 황제관련 이야기인 것처럼 모택동도 황제가 되고 싶었던 것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10여년 후에 또 한차례 정신적인 고통을 겪은 적이 있는데, 그 때는 대장정 당시 중국 홍군에 종군했던 미국 여성인 아그네스 스메들리(AGNES SMEDLEY)[중국혁명의 노래/ Battle Hymn of China]와 앙드레 모로아의 [프랑스사]등을 읽으면서 견뎠다. 시야가 넓어지면 현실의 고민이 사소해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 요즘 생각해 보면 서구사회는 혁명의 목적을 달성했고, 중국은 아직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등소평과 주은래가 통치하던 시절의 중국과는 달리 모택동의 시절로 회기 하는 중국을 보는 것 같다. 중국 정부는 홍콩 문제에 대해서 타국이 간섭하는 것을 용납지 않겠다고 한다. 분명한 것은 내 인생에 가장 좋은 영향을 주었던 그 시절의 중국이 아닌 것 같은 생각이 든다.

2020년 5월 17일 일요일

A memory of ideology

I was a little embarrassed when I heard the news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s death a few days ago. After monitoring all the related articles, it seemed like information that was actively introduced from outside. However, it has spread like rolling snow in Korea. Furthermore, the conviction of the North Korean defector-turned-lawmakers showed the sad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must have felt pressured to say something even if they didn’t know much because they were elected in the name of an expert on North Korea.


I have had an objective view of idrology since my school days. In high school, I respected President Park Chung-hee before 1972. I respected President Park Chung-hee’s concentration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a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I very respected President Roh Moo-hyun. He made Korea a truly democratic country. If someone criticizes my attitude, that person is an ideologue.

There was a story of Kim Chul, chairman of the Social Democratic Party, who was contributed by his son Kim Han-gil in a current affairs magazine I read in high school. Kim Han-gil said his father sat in his office starving for lunch because he had no lunch money. At that time, Kim Cheol seemed to have lived a life full of faith in the circumstances that were difficult for the Social Democratic Party to take root. His belief is like a watch, so he’d better not speak until others ask, Kim Chul said. I still keep such a motto of Kim Chul in my mind.

On the other hand, my father lived in a remote place and listened to the radio at night. My father expected his family to escape to China, which he left behind in North Korea, while listening to the radio broadcast about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 shed a lot of tears at the sight of my father, who was sad and lacked active faith.


When I was a senior in high school, my homeroom teacher was a bachelor’s officer. He used to give his students anti-communist education sometimes. I was tired, so I joked back at my teacher. “Hello. Don’t say too communist communist.”I used to say that in a North Korean dialect. Of course, I was asked to logically explain why communism is bad, but I didn't say anything logical.


Once, I went to the office of education on an errand from the homeroom teacher. In Korea, the power of management personnel is too strong than of field personnel. The officer in charge of the education office cursed that the teacher did not come in person, but the student came instead. I said a word when I thought of something for a momentarily. “The teacher went to an anti-communist education.(You are a communist, cursing such a teacher)” The attitude of the Officer of Education Office has become very polite and soft.


The intentions of outsiders who spread the news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s death in South Korea, which is hard to prevent Corona, have been successful to some extent successful. It was because of the commotion. If anyone intends to use the tragedy of ideological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 for political benefit, they should reflect on themselves. A greedy person plays into someone’s hands.

2020년 5월 16일 토요일

이념에 관한 추억

몇 일전에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들려왔을 때,  좀 창피했다. 관련 기사를 모두 모니터링 하면서 외부에서 적극적으로 유입시킨 정보임을 생각했는데, 한국내부에서는 눈덩이처럼 확산되어 갔다. 더구나 탈북인 출신 국회의원 당선자들의 확신에 찬 판단에는 분단된 한반도의 서글픈 상황이 담겨 있었다. 북한 전문가라는 명분으로 의원으로 당선된 이들이 뭔가 확신에 찬 판단을 하도록 압박과 갈등을 느꼈을 것이기 때문이다. 몰라도 뭔가 말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는 것이다.


나는 학창시절부터 이념에 대해서 객관적이었다. 고등학교 때 1972년 전까지의 박정희 전 대통령을 존경했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라는 장기계획의 집중력을 존경했다. 훗날 진정한 민주화가 필요한 시기에 등장했던 노무현 대통령 또한 무척 존경했다. 이런 내 태도를 비난하는 한국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이념론자다
 

한 편으로는 시사 잡지에 아들 김 한길 씨가 기고한 김 철 사회민주당 위원장의 이야기가 있었는데, 김 철 위원장을 무척 존경했다. 그 당시 뿌리내리기 힘든 사회민주주의 주창하는 정당의 당수로서 점심값이 없어 사무실 의자에 우두커니 앉아 있었다는 김 한길 씨의 회고는 신념에 찬 삶이 어떤 것인가를 생각하게 했다. 지금도 (자신의 신념은 손목시계와 같은 것이라서 남들이 묻기 전에는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김 철 씨의 좌우명을 마음에 간직하고 있었다.


한 편으로는 외진 곳에서 살면서 밤이면 북에 두고 온 가족들이 연변으로 탈출하지 않았을까 하는 심정에 라디오의 북간도 동포들에 관한 방송을 열심히 청취하는 나의 부친에 대해서 많은 슬픔을 느꼈다. 적극적인 신념이 아쉬운 부친의 모습 때문에 눈물을 많이 흘렸다
   

고등학교 3학년 때 학사장교 출신이었던 담임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뜬금없는 반공교육을 시키곤 했다. 피로감을 느낀 탓인지 나는 가끔 장난으로 반발하였다. “이보라요 거 너무 공산두의 공산두의 하디 말라요물론 공산주의가 왜 나쁜지 논리적으로 설명해 달라는 요구를 논리적으로 하지 못한 탓이다
 

한 번은 예의 담임 선생님이 교육청에 서류봉투를 전달해 달라는 심부름을 시켜서 수업시간에 교육청으로 갔다. 현장인력보다 사무실 인력의 권한이 강한 한국의 특성탓 인지 담당 주무관은 선생님이 직접 오지 않고 학생을 보냈다고 욕설을 하였다. 순간적으로 뭔가 짚히는 데가 있었던 나는 한 마디 했다. “선생님은 반공 교육을 가셨습니다.(그런 선생님을 비난하는 당신은 빨갱이가 틀림없다)” 교육청 주무관의 태도는 매우 온화하고 매우 공손해졌다
    

코로나 때문에 어려운 한국 상황에 김정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뿌린 외부자의 의도는 생각보다는 파문이 컸으니 어느 정도 성공했던 것 같다. 한 편으로는 한국 내에서 누군가 이념과 분단된 비극적 환경을 정치적 이익의 도구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이번 기회에 반성해야 한다. 욕심이 많으면 누군가의 손에 놀아난다